앙골라 콴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8번째 줄: 18번째 줄:
|동전    = 1Kz, 2Kz, 5Kz, 10Kz, 20Kz, 50Kz, 100Kz
|동전    = 1Kz, 2Kz, 5Kz, 10Kz, 20Kz, 50Kz, 100Kz
|중앙은행 = 앙골라 국립은행 (BNA, Banco Nacional de Angola)
|중앙은행 = 앙골라 국립은행 (BNA, Banco Nacional de Angola)
|인쇄처  = [[파일:GoznakLogo.jpg|20px]]<small> 러시아 국인기구(國印-) </small>고즈낙
|인쇄처  = [[File:GoznakLogo.jpg|20px]]<small> 러시아 국인기구(國印-) </small>고즈낙
|조폐국  =  
|조폐국  =  
|환율    = 1.96원/Kz<small> (2020.09.04 기준)</small><br />2.4원/Kz<small> (2020.02.17 기준)</small><br />7.0원/Kz<small> (2016.05. 기준)</small><br />약 10원/Kz<small> (2013.01 ~2015.01 평균)</small>
|환율    = 1.96원/Kz<small> (2020.09.04 기준)</small><br />2.4원/Kz<small> (2020.02.17 기준)</small><br />7.0원/Kz<small> (2016.05. 기준)</small><br />약 10원/Kz<small> (2013.01 ~2015.01 평균)</small>
48번째 줄: 48번째 줄: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 앙골라 2기 콴자 시리즈 (AOA)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Angola 2nd Kwanza Series (AOA)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6%;"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파일:AOA413.jpg]]1차 발행 (1999 ~ 2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1차 발행 (1999 ~ 2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파일:AOA513.jpg]]<br />2차 발행 (20?? ~ 2019 예정)<ref>색상과 세부적인 패턴디자인은 권종별로 조금씩 다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File:AOA513.jpg]]<br />2차 발행 (20?? ~ 2019 예정)<ref>색상과 세부적인 패턴디자인은 권종별로 조금씩 다르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0%;" | [[파일:AOA601.jpg]]3차 발행 (2020 ~ 예정)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2%;" | 3차 발행 (2020 ~ 예정)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 <br />[[카판다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br />[[카판다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610.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 2,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2,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516.jpg]]<br />단데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OA516.jpg]]<br />단데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608.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커피 열매 & 플랜테이션
| style="text-align: center;" | <br />커피 열매 & 플랜테이션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514.jpg]]<br />[[칼란둘라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OA514.jpg]]<br />[[칼란둘라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606.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목화
| style="text-align: center;" | <br />목화
| style="text-align: center;" | <br />[[안둘로]]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br />[[안둘로]]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604.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 200Kz
| style="text-align: center;" | 20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루안다]]의 해안가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br />[[루안다]]의 해안가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br />침부에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br />침부에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602.jpg]]<br />
| style="text-align: center;" | <b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국립은행 본청사
| style="text-align: center;" | <br />국립은행 본청사
| style="text-align: center;" | <br />[[빙가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br />[[빙가 폭포]]
| rowspan="5"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
| style="text-align: center;"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해양 석유시추선
| style="text-align: center;" | <br />해양 석유시추선
| style="text-align: center;" | <br />[[쿠엠바]]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br />[[쿠엠바]]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
| style="text-align: center;" | 1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영양 2마리
| style="text-align: center;" | <br />영양 2마리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504.jpg]]<br />[[루에나]]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OA504.jpg]]<br />[[루에나]]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
| style="text-align: center;" | 5Kz
| style="text-align: center;" | 5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레바의 톱산 <s>이 [[레스트바티칸|레바]] 말고.</s>
| style="text-align: center;" | <br />레바의 톱산 <s>이 [[레스트바티칸|레바]] 말고.</s>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OA502.jpg]]<br />[[루아카나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File:AOA502.jpg]]<br />[[루아카나 폭포]]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
| style="text-align: center;" | 1Kz
| style="text-align: center;" | 1Kz
| style="text-align: center;" | <br />목화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br />목화 수확
| style="background-color:#A2A2A2;" |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style="text-align: center;" | (미발행)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
* 2011년부터 10Kz 동전이 추가되었다.
* 2011년부터 10Kz 동전이 추가되었다.
106번째 줄: 112번째 줄:
* 동전은 10c, 50c(센티모) 및 1Kz, 2Kz, 5Kz 5종이 발행되었는데 센티모 단위는 태생부터 이전 콴자와의 교환을 보조하기 위한 단위로 등장했기 때문에 쓰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일찍이 사용범위에서 탈락하였다.
* 동전은 10c, 50c(센티모) 및 1Kz, 2Kz, 5Kz 5종이 발행되었는데 센티모 단위는 태생부터 이전 콴자와의 교환을 보조하기 위한 단위로 등장했기 때문에 쓰기 불편하다는 이유로 일찍이 사용범위에서 탈락하였다.


== 구권 시리즈 ==
== 1기 콴자 ==
=== 재조정 콴자 (1기 재개정, AOR, 1995 ~ 1999) ===
1995년 7월 1일 등장, 새 콴자를 1:1,000의 비율로 개혁한 통화이다. 동전은 존재하지 않았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2"|포르투갈령 앙골라 이쉬쿠두와 패리티(1:1) 교환
! style="text-align: center;" |  
|⇒구 콴자와의 교환비 1<small>()</small> = 1<small>(신)</small>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Angola 1st Kwanza Reajustados (4th) Series
|⇒구권과 1,000 : 1의 값으로 교환
|-
|-
! colspan="2" | 콴자 (AOK, Kwanza)<br />1976/1979 발행 ⇔ 1984/1987 발행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신 콴자 (AON, Kwanza Novo)<br />1991 ~ 1995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재조정 콴자 (AOR, Kwanza<br />Reajustados) 1995 ~ 1999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20Kz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1,000Kz
|-
|-
| style="text-align: center;"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small>(2가지 타입)</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새 콴자 (1기 개정, AON, 1990 ~ 1995) ===
1990년 9월 25일 등장, 기존 통화와 1:1로 교환하였다. 하지만 이 통화는 그대로 교환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닌 사전에 신고된 전 재산의 5%만 교환이 가능하고 나머지는 국채로 받았지만... 그 결과는 [[북한의 화폐개혁|안 봤어도 이미 스포일러다]]. 참고로 정말로 신권을 받는게 아니고 첨새권(옛날 통화에 도장을 찍은 것)의 형태로 배포했다가 나중에 신권으로 교환하였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Angola 1st Kwanza Novo (3rd) Series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small>(AOK)</small><br />500Kz <small>(AON, 첨쇄)</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small>(AOK)</small><br />1,000Kz <small>(AON, 첨쇄)</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Kz <small>(AON, 첨쇄)</small>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rowspan="3" |※ AOK 초판 실제 발행일은 1977년 1월 8일이며, 당시 보조단위는 이웨이(Iwei).<br />※ 1990년 9월 25일, 신 콴자(AON)로 개혁 당시 신권 공급(1991년) 이전에 1984/1987년판에 첨쇄한 것으로 선지급하였음.<br />※ 단, 구 콴자화의 신 콴자화 교환은 사전 신고된 총 금액의 '''5%로 제한'''되었고, 나머지는 국채로 지급되었다. [[북한의 화폐개혁|몰론 그 결말은... 비극만이 있었다.]]<br />※ 재조정 콴자의 실제 발행일은 1995년 7월 1일이다.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1,0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5,000,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첫 콴자 (1기, AOK, 1975 ~ 1990) ===
1977년 1월 8일 등장, 기존까지 사용하던 앙골라 에스쿠도를 1:1로 교체하였다. 이때의 보조단위는 센티모가 아닌 이웨이(Iwei)였다.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Angola 1st Kwanza 2nd Series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Angola 1st Kwanza 1st Series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00Kz
| style="text-align: center;" |
|}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