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 사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5번째 줄: 35번째 줄:
|직업    =  
|직업    =  
|종교    =  
|종교    =  
|정당    = [[프랑스 급진당|{{배지|'''급진당'''|#7556b3|#FFFFFF|0.9}}]]
|정당    = [[프랑스 급진당|급진당]]
|신체    =  
|신체    =  
|배우자  =  
|배우자  =  
52번째 줄: 52번째 줄:


=== 정계 초기 ===
=== 정계 초기 ===
그렇게 하원의원이 된 사로는 1905년에 급진당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으로 발탁되었으며, [[에밀 콩브]] 내각이 발의한 [[1905년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률|1905년 정교분리법]]의 찬성측 일원으로서 활동한다. 그리고 이듬해 1906년 7월 13일, [[드레퓌스 사건]]의 당사자인 [[알프레트 드레퓌스]] 대위와, [[조르주 피카르]] 중령의 복권에 대한 투표가 하원에 부의되었을 때, 사로는 당시 드레퓌스를 무고했던 [[오귀스트 메르시에]]의 일파였던 [[폴 푸글리에시 콩티]](Paul Pugliesi-Conti)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결투를 선언당했고, 콩티의 칼이 사로의 폐부를 찌른 바람에 사로는 6주 동안 입원해 있어야 했다.  
그렇게 하원의원이 된 사로는 1905년에 급진당 중앙집행위원회의 위원으로 발탁되었으며, [[에밀 콩브]] 내각이 발의한 [[1905년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관한 법률|1905년 정교분리법]]의 찬성측 일원으로서 활동한다. 그리고 이듬해 1906년 7월 13일, [[드레퓌스 사건]]의 당사자인 [[알프레트 드레퓌스]] 대위와, [[조르주 피카르]] 중령의 복권에 대한 투표가 하원에 부의되었을 때, 사로는 당시 드레퓌스를 무고했던 [[오귀스트 메르시에]]의 일파였던 [[폴 푸글리시 콩티]] 의원에게 일방적으로 결투를 선언당했고, 콩티의 칼이 사로의 폐부를 찌른 바람에 사로는 6주 동안 입원해 있어야 했다.  
==== [[1907년 랑그도크 포도주 위기]]에서 ====
==== [[1907년 랑그도크 포도주 위기]]에서 ====
[[1907년 랑크도크 포도주 위기]]가 일어날 당시, 사로는 [[조르주 클레망소]]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으로 입각해 있었는데, 프랑스 남부 출신이었던 덕분에 사로는 당시 시위를 일으킨 랑그도크를 비롯한 남부 양조업자들의 비참한 상황과 그 정당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사로는 시위의 주동자였던 [[마셀린 알베르]]와, 사실상 알베르가 이끄는 아르젤리에 위원회(Comité d'Argeliers)와의 협상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클레망소는 사로의 협상 제안을 '''"내가 남부 놈들을 잘 아는데, 결국 놀자판으로 끝나기 마련이라고!"(Je connais le Midi, tout ça finira par un banquet!)'''라는 비웃음 섞인 농담과 함께 거부했고, 6월 10일까지 사태가 가라앉길 기다렸으나 결국 사태는 곧 전국을 휩쓸 정도로 격화되고 말았다.
[[1907년 랑크도크 포도주 위기]]가 일어날 당시, 사로는 [[조르주 클레망소]] 내각에서 내무부 차관으로 입각해 있었는데, 프랑스 남부 출신이었던 덕분에 사로는 당시 시위를 일으킨 랑그도크를 비롯한 남부 양조업자들의 비참한 상황과 그 정당성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사로는 시위의 주동자였던 [[마셀린 알베르]]와, 사실상 알베르가 이끄는 아르젤리에 위원회(Comité d'Argeliers)와의 협상을 주장했다. 하지만 당시 총리였던 클레망소는 사로의 협상 제안을 '''"내가 남부 놈들을 잘 아는데, 결국 놀자판으로 끝나기 마련이라고!"(Je connais le Midi, tout ça finira par un banquet!)'''라는 비웃음 섞인 농담과 함께 거부했고, 6월 10일까지 사태가 가라앉길 기다렸으나 결국 사태는 곧 전국을 휩쓸 정도로 격화되고 말았다.
97번째 줄: 97번째 줄:
그리고 1932년, 급진당 우위의 3기 [[에두아르 에리오]] 내각이 들어서고, 사로는 다시 식민지장관으로 입각하게 되는데 이때 사로는 '''식민주의의 영광과 구속(Grandeur et servitude coloniales)'''이라는 제목의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책을 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1920년대의 식민지인들의 문명화에 대한 낙관 대신 공산주의에 맞서 식민지를 유지하기 위한 방책으로 식민지 개발론을 주장했는데, 여기서 사로는 이전까지의 자유주의적 견해를 모두 버리고 아프리카인의 본성이 게을러서 그렇다는 인종론을 내세워 자신의 실책을 변명했다.<ref>하지만 이는 각주에서 인용한 페르낭 베르나르의 저작에서 '사로주의'의 문제점이라고 언급되듯이, 당시 프랑스령 아프리카 식민지의 인구 밀도가 낮았고, 주민 중 상당수는 유목민이었기 때문에 대규모 공사와 이후 대농장 운영에 필요한 노동력을 동원하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는 점을 사로가 식민지 당국의 행정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 과소평가한 것에 가까웠다. 이 때문에 프랑스 식민지의 강제 노역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만다.</ref>
그리고 1932년, 급진당 우위의 3기 [[에두아르 에리오]] 내각이 들어서고, 사로는 다시 식민지장관으로 입각하게 되는데 이때 사로는 '''식민주의의 영광과 구속(Grandeur et servitude coloniales)'''이라는 제목의 제국주의를 옹호하는 책을 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1920년대의 식민지인들의 문명화에 대한 낙관 대신 공산주의에 맞서 식민지를 유지하기 위한 방책으로 식민지 개발론을 주장했는데, 여기서 사로는 이전까지의 자유주의적 견해를 모두 버리고 아프리카인의 본성이 게을러서 그렇다는 인종론을 내세워 자신의 실책을 변명했다.<ref>하지만 이는 각주에서 인용한 페르낭 베르나르의 저작에서 '사로주의'의 문제점이라고 언급되듯이, 당시 프랑스령 아프리카 식민지의 인구 밀도가 낮았고, 주민 중 상당수는 유목민이었기 때문에 대규모 공사와 이후 대농장 운영에 필요한 노동력을 동원하는 것은 극히 어려웠다는 점을 사로가 식민지 당국의 행정력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 과소평가한 것에 가까웠다. 이 때문에 프랑스 식민지의 강제 노역 문제는 더욱 심화되고 만다.</ref>


그러면서 사로는 1920년대에 이어 다시금 식민지에 대한 공공지출의 증가의 필요성을 역설했지만 당시 에리오 내각은 [[대공황]] 때문에 사로의 제안을 받아들일 형편이 되질 못했고, 결국 대공황으로 인한 부채 문제 때문에 내각이 붕괴되고 만다. 그리고 이런 사로의 제안은 [[조제프 폴 봉쿠르]] 내각과 1기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을 거쳐서도 통과되지 못했고, 결국 사로는 1933년 9월 2일 개각 때, 같은 당의 [[알베르 다리미에]](Albert Dalimier)에게 식민지장관 직책을 이임하고 해군장관에 재취임하게 된다. 결국 사로의 구상이 받아들여진 것은 사로가 내무장관으로 입각하고 있던 1934년이었는데, 이때 프랑스가 지배하던 식민지 내부 사정이 경제 불황과 심각한 강제 노동으로 인해 발생한 수많은 노동쟁의들 때문에 굉장히 불안한 형국에 놓이고, 영국이 한발 앞서 식민지발전법안과 기금, 그리고 제국관세블록 등의 정책들을 입안하자, 프랑스 정부도 식민지를 안정시키기 위한 방책으로서의 식민지인에 대한 투자를 더는 미룰 수 없게 되었기에 이루어진 일이었다.<ref>그러나 이런 식민지 공공지출의 증가는 되려 식민지 피지배민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었는데, 왜냐하면 그 공공지출이 '''융자'''의 형태로 주어져 자연히 식민지의 부채가 되고 말았기 때문이었고, 대공황이 겹쳐 그 부담이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로주의식 공공지출을 두고, 프랑스의 사학자인 C. 코크리 비드로비치(Catherine Coquery-Vidrovitch)는 그녀가 다른 학자들과 함께 공저한 저작인 '''Histoire de la France Coloniale(프랑스 식민지의 역사)'''에서 '''"우리는 이 시대에 잘 알려진 현상이 탄생한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것은 제3세계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원조와 부채의 악순환이고 이는 그때 이후 증가 일로에 있다"'''라고 비평했다.</ref>
그러면서 사로는 1920년대에 이어 다시금 식민지에 대한 공공지출의 증가의 필요성을 역설했지만 당시 에리오 내각은 [[대공황]] 때문에 사로의 제안을 받아들일 형편이 되질 못했고, 결국 대공황으로 인한 부채 문제 때문에 내각이 붕괴되고 만다. 그리고 [[조제프 폴 봉쿠르]] 내각과 1기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을 거쳐서도 통과되지 못했고 결국 사로의 제안이 받아들여진 것은 사로가 내무장관으로 입각하고 있던 1934년이었는데, 이때 프랑스가 지배하던 식민지 내부 사정이 경제 불황과 심각한 강제 노동으로 인해 발생한 수많은 노동쟁의들 때문에 굉장히 불안한 형국에 놓이고, 영국이 한발 앞서 식민지발전법안과 기금, 그리고 제국관세블록 등의 정책들을 입안하자, 프랑스 정부도 식민지를 안정시키기 위한 방책으로서의 식민지인에 대한 투자를 더는 미룰 수 없게 되었기에 이루어진 일이었다.<ref>그러나 이런 식민지 공공지출의 증가는 되려 식민지 피지배민들의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었는데, 왜냐하면 그 공공지출이 '''융자'''의 형태로 주어져 자연히 식민지의 부채가 되고 말았기 때문이었고, 대공황이 겹쳐 그 부담이 더욱 폭발적으로 늘어났기 때문이었다. 이런 사로주의식 공공지출을 두고, 프랑스의 사학자인 C. 코크리 비드로비치(Catherine Coquery-Vidrovitch)는 그녀가 다른 학자들과 함께 공저한 저작인 '''Histoire de la France Coloniale(프랑스 식민지의 역사)'''에서 '''"우리는 이 시대에 잘 알려진 현상이 탄생한 것을 목격하게 되었다. 그것은 제3세계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원조와 부채의 악순환이고 이는 그때 이후 증가 일로에 있다"'''라고 비평했다.</ref>


하여튼 사로는 최후의 사회공화당 총리를 배출한 조제프 폴 봉쿠르 내각에서 해군장관을 겸임하게 되었고, 이 해군장관 자리는 사로가 식민지장관 직책을 사임하고 난 뒤에도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과 사로 그 자신을 수상으로 삼는 내각까지 계속 유임되었다.
하여튼 사로는 최후의 사회공화당 총리를 배출한 조제프 폴 봉쿠르 내각에서 해군장관을 겸임하게 되었고, 이 해군장관 자리는 사로가 식민지장관 직책을 사임하고 난 뒤에도 에두아르 달라디에 내각과 사로 그 자신을 수상으로 삼는 내각까지 계속 유임되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