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安武. 호는 청전(靑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安武. 호는 청전(靑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198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 생애 ==
1883년 6월 29일 함경북도 종성군 행영면<ref>다만 안무의 부하 이목(李睦)과 정창언(鄭昌彦)은 안무의 본적이 함경북도 무산군 읍면 남산동이라고 진술했다.</ref><ref>행영면을 기준으로 하면 현재의 회령시, 무산군 읍면 남산동을 기준으로 하면 현재의 무산군 독소리에 해당한다.</ref>에서 안수익(安壽益)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무의 본명은 안병호로, 안무는 만주 망명 후 사용한 별칭이다. 안무의 아버지 안수익은 변계경무서의 관리 출신으로 1901년 함경북도 변계총순(邊界摠巡)을 지냈고 1903년 판임관으로서 상강분서총순을 맡았다.
1883년 6월 29일 함경북도 종성군 행영면<ref>다만 안무의 부하 이목(李睦)과 정창언(鄭昌彦)은 안무의 본적이 함경북도 무산군 읍면 남산동이라고 진술했다.</ref>에서 안수익(安壽益)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안무의 본명은 안병호로, 안무는 만주 망명 후 사용한 별칭이다. 안무의 아버지 안수익은 변계경무서의 관리 출신으로 1901년 함경북도 변계총순(邊界摠巡)을 지냈고 1903년 판임관으로서 상강분서총순을 맡았다.


안무는 만 16세에 접어든 1899년 대한제국 진위대의 사병으로 입대했다. 진위대는 1895년 훈련대가 폐지된 후 군제가 개편되었을 때 서울의 친위대와 함께 조직된 지방군이었다. 안무가 근무한 함경대 일대는 진위대 제5연대 관할이었으며 연대 본부는 북청에 있었고 덕원에 제1대대, 북청에 제2대대, 경성에 제3대대를 두었다. 안무는 진위대에 들어간 후 참교로 승진했고, 경성 교련관양성소를 졸업한 뒤 경성 진위대 본부 교련관에 임관했다. 교련관은 사병의 훈련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품외직<ref>무과를 치르지 않아도 사술, 강서, 진법 등의 시험을 통과하면 정원과 관계없이 임용될 수 있는 직책.</ref>에 속했다.
안무는 만 16세에 접어든 1899년 대한제국 진위대의 사병으로 입대했다. 진위대는 1895년 훈련대가 폐지된 후 군제가 개편되었을 때 서울의 친위대와 함께 조직된 지방군이었다. 안무가 근무한 함경대 일대는 진위대 제5연대 관할이었으며 연대 본부는 북청에 있었고 덕원에 제1대대, 북청에 제2대대, 경성에 제3대대를 두었다. 안무는 진위대에 들어간 후 참교로 승진했고, 경성 교련관양성소를 졸업한 뒤 경성 진위대 본부 교련관에 임관했다. 교련관은 사병의 훈련을 담당하는 직책으로 품외직<ref>무과를 치르지 않아도 사술, 강서, 진법 등의 시험을 통과하면 정원과 관계없이 임용될 수 있는 직책.</ref>에 속했다.
71번째 줄: 71번째 줄:
자유시 참변 후, 잔여 독립군 부대는 코민테른의 동양비서부로부터 이르쿠츠크로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자 안무는 홍범도와 함께 이르쿠츠크 행을 거부하고 8월 말 홍범도, 최진동과 함께 흑룡강성 대흑하 부근에 주둔했다. 그러나 식량이 부족하자, 그는 국민회군을 이끌고 만주로 돌아가 9월 26일 영안현에 도착했고, 뒤이어 돈화현을 거쳐 북간도의 무산으로 향했다.
자유시 참변 후, 잔여 독립군 부대는 코민테른의 동양비서부로부터 이르쿠츠크로 이동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러자 안무는 홍범도와 함께 이르쿠츠크 행을 거부하고 8월 말 홍범도, 최진동과 함께 흑룡강성 대흑하 부근에 주둔했다. 그러나 식량이 부족하자, 그는 국민회군을 이끌고 만주로 돌아가 9월 26일 영안현에 도착했고, 뒤이어 돈화현을 거쳐 북간도의 무산으로 향했다.


1921년 12월 경 북간도에 돌아온 안무는 양수천자에서 회의를 열고 동지들을 설득했고,. 12월 5일 돈화현에서 고려공산당중령총회를 조직했다. 이후 안무는 공산주의를 선전해 소련의 지원을 이끌어내고자 노력하는 한편 독립군의 재기를 위해 군자금 모집, 무기 확충에 힘을 쏟았다. 국민회군 출신의 [[임병극 (1885년)|임병극]]은 암살대 30여 명을 이끌고 다니며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였고, 구춘선은 3개 조의 모금대를 결성해 함경도 지역으로 파견하려 했지만 실패하기도 했다. 안무는 이르쿠츠크를 지속적으로 왕래하며 코민테른과의 관계를 유지했고, 이강(李剛)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1921년 12월 경 북간도에 돌아온 안무는 양수천자에서 회의를 열고 동지들을 설득했고,. 12월 5일 돈화현에서 고려공산당중령총회를 조직했다. 이후 안무는 공산주의를 선전해 소련의 지원을 이끌어내고자 노력하는 한편 독립군의 재기를 위해 군자금 모집, 무기 확충에 힘을 쏟았다. 국민회군 출신의 [[임병극]]은 암살대 30여 명을 이끌고 다니며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였고, 구춘선은 3개 조의 모금대를 결성해 함경도 지역으로 파견하려 했지만 실패하기도 했다. 안무는 이르쿠츠크를 지속적으로 왕래하며 코민테른과의 관계를 유지했고, 이강(李剛)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1922년 2월 중순, [[안창호]]는 베이징에서 [[이동휘 (1873년)|이동휘]], [[박용만]] 등과 만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혁 및 독립운동의 방향 등을 협의하기 위해 국민대표회의준비위원회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79명 대표에게 3월 17일까지 베이징으로 집합할 것을 통보했고, 안무는 김좌진과 함께 북간도 지역 군사대표로 선정되어 베이징으로 떠났다. 4월 베이징에서 모인 대표들은 통일군단을 결성할 것을 결의했다. 사무총장엔 안창호, 임시총장엔 [[채상덕]], 정무 및 군무총장엔 [[김좌진]], 사령관장엔 [[홍범도]]가 맡았고, 참모장엔 [[오석영]], 안무가 맡았다. 그러나 통일군단의 구상은 구호로 그쳤을 뿐 실현되지 않았다. 이는 통일군단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 마련되지 못했고 각 단체간의 이해관계가 서로 엇갈렸기 때문이다.
1922년 2월 중순, [[안창호]]는 베이징에서 [[이동휘 (1873년)|이동휘]], [[박용만]] 등과 만나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혁 및 독립운동의 방향 등을 협의하기 위해 국민대표회의준비위원회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79명 대표에게 3월 17일까지 베이징으로 집합할 것을 통보했고, 안무는 김좌진과 함께 북간도 지역 군사대표로 선정되어 베이징으로 떠났다. 4월 베이징에서 모인 대표들은 통일군단을 결성할 것을 결의했다. 사무총장엔 안창호, 임시총장엔 [[채상덕]], 정무 및 군무총장엔 [[김좌진]], 사령관장엔 [[홍범도]]가 맡았고, 참모장엔 [[오석영]], 안무가 맡았다. 그러나 통일군단의 구상은 구호로 그쳤을 뿐 실현되지 않았다. 이는 통일군단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 마련되지 못했고 각 단체간의 이해관계가 서로 엇갈렸기 때문이다.
77번째 줄: 77번째 줄:
1922년 5월 17일 연해주 무시에서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조직된 고려혁명군정청은 안무에게 병력 150명을 인솔해 연해주 파르티잔스크로 출동할 것을 지시했다. 하지만 안무가 이 명령에 실제로 따르지는 않았던 듯하다. 일제의 첩보에 따르면, 안무는 영안현 동경성 부근에서 활동했고 안무를 따르는 독립군은 강구우, 방우룡 등 20여 명 정도에 불과했다고 한다. 또 다른 첩보 자료에는 안무가 우수리스크에서 일본군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22년 5월 17일 연해주 무시에서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조직된 고려혁명군정청은 안무에게 병력 150명을 인솔해 연해주 파르티잔스크로 출동할 것을 지시했다. 하지만 안무가 이 명령에 실제로 따르지는 않았던 듯하다. 일제의 첩보에 따르면, 안무는 영안현 동경성 부근에서 활동했고 안무를 따르는 독립군은 강구우, 방우룡 등 20여 명 정도에 불과했다고 한다. 또 다른 첩보 자료에는 안무가 우수리스크에서 일본군의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1922년 9월 초, 안무는 러시아 치타에서 열린 공산당대회에 참가했고 그곳에서 군정서의 혈성단과 행동을 같이하기로 결의했다. 이후 그는 10월 2일 돈화현 남구에서 구춘선과 함께 독립군 40명을 이끌고 활동했으며, 10월 12일에는 최창선 등과 함께 흑룡강성 영고탑 방면으로 이동했다. 또한 10월 20일엔 베르흐네우딘스크에서 연린 공산당연합대회에 참가해 [[김규식 (1882년)|김규식]], 김좌진, [[조성환 (1875년)|조성환]], 장도선 등과 함께 독립운동의 방략에 대해 연설했다.그러나 이 회의에 참가한 한인 공산주의자들은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로 분리되어 서로에 대한 매도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결국 안무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북간도에 쓸쓸히 귀환해야 했다.
1922년 9월 초, 안무는 러시아 치타에서 열린 공산당대회에 참가했고 그곳에서 군정서의 혈성단과 행동을 같이하기로 결의했다. 이후 그는 10월 2일 돈화현 남구에서 구춘선과 함께 독립군 40명을 이끌고 활동했으며, 10월 12일에는 최창선 등과 함께 흑룡강성 영고탑 방면으로 이동했다. 또한 10월 20일엔 베르흐네우딘스크에서 연린 공산당연합대회에 참가해 [[김규식 (1882년)|김규식]], 김좌진, [[조성환 (1875년)|조성환]], 장도선 등과 함께 독립운동의 방략에 대해 연설했다.그러나 이 회의에 참가한 한인 공산주의자들은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로 분리되어 서로에 대한 매도에만 집중했기 떄문에, 결국 안무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북간도에 쓸쓸히 귀환해야 했다.


1923년 1월, 코민테른은 송전관 및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노농독립정부를 수립하려 했다. 안무는 이 계획에 이름을 올려놓았지만 적극적으로 활동하진 않았던 듯하다. 이 계획은 일제가 사전에 간파하는 바람에 실패했다. 이후 안무는 한인군인위원회에 참가해 국민군 사령관을 맡았다. 그는 1923년 2월 말에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해 임시정부를 폐지하고 국민대표회의가 독립운동의 최고 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창조파에 속했다. 다만 그가 정말로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했는지, 자신의 이름만 올려놓고 창조파에 위임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1923년 1월, 코민테른은 송전관 및 하바롭스크 부근에서 노농독립정부를 수립하려 했다. 안무는 이 계획에 이름을 올려놓았지만 적극적으로 활동하진 않았던 듯하다. 이 계획은 일제가 사전에 간파하는 바람에 실패했다. 이후 안무는 한인군인위원회에 참가해 국민군 사령관을 맡았다. 그는 1923년 2월 말에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해 임시정부를 폐지하고 국민대표회의가 독립운동의 최고 기관이 되어야 한다는 창조파에 속했다. 다만 그가 정말로 국민대표회의에 참가했는지, 자신의 이름만 올려놓고 창조파에 위임한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93번째 줄: 93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분류: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분류: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분류:회령시 출신]]
[[분류:종성군 출신]]
[[분류:1883년 출생]]
[[분류:1924년 사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