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 구르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 정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아이티 구르드
|현지어 명칭 = Goud Ayisyen<small> 구드 아이셴<sup>[[아이티어|ht]]</sup></small><br />Gourde Haïtienne<small> 구드 아이티엔느<sup>[[프랑스어|fr]]</sup></small>
|원어이름 = [아이티어] Goud Ayisyen<br />[프랑스어] Gourde Haïtienne
|다른 언어명 = Gourde Haitiano <small> 구르드 아이티아노<sup>[[스페인어|es]]</sup></small><br />Haitian Gourde <small> 헤이션 구르드<sup>[[영어|en]]</sup></small>
|그림    = BRHlogo.png
|그림1 =BRHlogo.png
|그림설명 =  
|그림1_설명 =  
|그림2   =  
|그림2 =  
|그림2설명=  
|그림2_설명 =  
|사용국   = {{나라|아이티}}
|사용국 = {{국기|아이티}}
|비공식   =  
|비공식 사용국 =
|ISO      = HTG
|iso 코드 = HTG
|기호     = G (Gde)
|기호 = G (Gde)
|보조단위 =
|보조단위_비율_1 = 1/100
{{화폐 정보/보조단위
|보조단위_이름_1 = 상팀 (Centime)
|비율 = 1/100
|보조단위_비율_2 =
|이름 = 상팀(Centime)
|보조단위_이름_2 =
}}
|지폐 = 10G, 25G, 50G, 100G, 250G, 500G, 1000G
|지폐     = 10G, 25G, 50G, 100G, 250G, 500G, 1000G
|동전 = 5c, 10c, 20c, 50c, 1G, 5G
|동전     = 5c, 10c, 20c, 50c, 1G, 5G
|발행 기관 = 아이티공화국은행 (Banco de la República de Haití)
|중앙은행 = 아이티공화국은행 (Banco de la República de Haití)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조폐국   =  
|인플레이션 = 3.5%<small> (2009년 추정치)</small>
|환율     = 13원/G<small> (2020.03.20 기준)</small>
|환율 = 13원/G<small> (2020.03.20 기준)</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  
|이전화폐 =  
|전신 =  
|이후화폐 =
|후신 =  
|비고    =  
}}
}}
Gourde Haitiano <small> 구르드 아이티아노<sup>[[스페인어|es]]</sup></small><br />Haitian Gourde <small> 헤이션 구르드<sup>[[영어|en]]</sup></small>
== 소개 ==
== 소개 ==
<small><s>IT강국</s></small> [[아이티]]의 통화로, 원래는 현지 아이티 및 그 [[도미니카공화국|옆동네]]에서도 공통적으로 '구드'라고 읽으나, 대외적으로는 영어식 표현인 구르드로 <s>그나마</s> 더 알려져 있다. 상당히 일찍 독립한 국가답게 통화 역사도 굉장히 긴 편이어서, 현재 쓰이는 구르드화는 1872년부터, 최초의 구르드화는 1813년부터 제정되었다.
<small><s>IT강국</s></small> [[아이티]]의 통화로, 원래는 현지 아이티 및 그 [[도미니카공화국|옆동네]]에서도 공통적으로 '구드'라고 읽으나, 대외적으로는 영어식 표현인 구르드로 <s>그나마</s> 더 알려져 있다. 상당히 일찍 독립한 국가답게 통화 역사도 굉장히 긴 편이어서, 현재 쓰이는 구르드화는 1872년부터, 최초의 구르드화는 1813년부터 제정되었다.
48번째 줄: 46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G 50 프랑수아 카푸아(François Capois)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G 50 프랑수아 카푸아(François Capois)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HTG4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HTG4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HTG4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HTG4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HTG405.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HTG4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61번째 줄: 59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HTG4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HTG4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HTG4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HTG411.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69번째 줄: 67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 G 1,000 플로르빌 히폴리트(Florvil Hyppolite)
| style="text-align: center;" | G 1,000 플로르빌 히폴리트(Florvil Hyppolite)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TG4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File:TG4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82번째 줄: 80번째 줄:
{{각주}}
{{각주}}
{{아메리카의 화폐}}
{{아메리카의 화폐}}
[[분류:화폐]]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