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영 (배우)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 실존인물 심영 ==
|인물이름 = 심영
[[일제 강점기]],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써, 당시 많은 예술가들의 주요 테크였던 [[친일파]]에서 공산주의자 테크를 탔다. 뭐, 보통이라면 이런 토막글이라도 쓰이지 않았겠지만... 2번 항목 때문에...
|원어이름 =
|배경색  =  
|글자색  =  
|그림    = [[파일:배우 심영.jpg|150px]]
|그림설명 =
|본명    = 심재설
|다른이름 =
|출생일  = <!-- {{출생일|1910|9|3}} (사망시)
|출생지  = [[철원]]
|사망일  = <!-- {{사망일과 나이|1910|9|3|1971|7|24}} -->
|사망지  = [[평양]]
|국적    = [[북한]]
|학력    = [[경복고등학교|제2고보]]에 재학 중 퇴학
|직업    = [[배우]]
|종교    =
|정당    = [[조선로동당]](?)
|신체    =
|배우자  =
|가족    = 철원군수
|활동기간 =
|소속사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
'''심영'''(沈影, [[1910년]] [[9월 3일]]~[[1971년]] [[7월 24일]])은 [[일제 강점기]], [[북한]]에서 활동한 [[배우]]로서, 본명은 '''심재설'''(沈載卨), [[창씨개명]]한 이름은 '''아오키 진에이'''({{루비|青木|あおき}} {{루비|沈影|じんえい}})이다. 당시 많은 예술가의 주요 테크였던 [[친일파]]에서 [[공산주의자]] 테크를 탔다.


== 생애 ==
==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
{{빈 문단}}
[[파일:simyung.jpg]]


== 대중문화 속의 심영 ==
'''날 보고 성 불구자가 된다구? 고자가 됐다, 그런 말인가? 고자라니, 아니, 내가 고자라니! 이게 무슨 소리야! 에잌 고자라니!! 내가, 내가 고자라니!!'''
=== 야인시대 ===
{{인용문|'''날 보고 성 불구자가 된다구? 고자가 됐다, 그런 말인가? 고자라니, 아니, [[내가 고자라니!]]<ref>이 대사를 역재생하면 "이 나라 좆까네!"가 된다.</ref> 이게 무슨 소리야! 에잌,<big>고자라니!! 내가, 내가 고자라니!!!</big> 내가...아앍 핡핡핡핡핡 아으....(안 돼..! 안 돼...!!! 내가 고자라니...! 말도 안 돼...!김두한 이 놈...!이건 말도 안 돼...! <big>말도 안 된다고헣헣헣헣헣헣허!!!!!</big> 말도 안 돼....)'''|심영|야인시대 64화,백병원에서 독백.|left}}
[[파일:simyung.jpg|섬네일|오른쪽]]
[[파일:고자.gif|섬네일]]
<s>[[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


<s>사실상 대중문화 속 가장 유명한 심영</s>
<s>설명 끝</s>


'''한국 드라마 중 가장 유명한 단역이자 고자의 대명사.'''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s>[[진주인공]]</s>


위의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한 캐릭터로 [[야인시대]]의 <s>[[진 주인공]]</s>등장인물. 담당 배우는 [[김영인]].
== 2002년 영화 ==
[[홍콩]]에서 만든 느와르 영화. 당연히 1번이나 2번 항목과는 관계없다.


야인시대 57화, 58화, 59화, 61화, 63화, 64화, 65화에 등장<ref>단, 64화와 65화를 제외한 나머지 화는 거의 까메오 급으로 등장한 것이다.</ref>하였으며, 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고자]]의 대명사로서 열심히 합성되어 왔다.(...)
http://movie.naver.com/movie/bi/mi/point.nhn?code=37685


여담이지만 이 역할을 연기한 배우 [[김영인]]은 처음엔 자신의 이미지가 잘못된 방향으로 굳어가는 것 같아 내가 고자라니의 유행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었다. 오늘날 인터넷에 익숙한 20대 및 30대 초반의 언어 사용자들은 고자라고 하면 제일 먼저 내가 고자라니가 떠오르고 야인시대가 떠올라서 빵 터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김영인 씨 나이대만 해도 고자라는 말은 굉장히 부정적인 뜻을 가지고 있으며 심각한 인신모독에나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자신이 고자라니 드립으로 유명해진 것이 공개적으로 알려지면 혹시 어린 딸에게 충격이나 문제가 가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곧 자신의 출연작이 더 널리 알려진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즐거운 마음으로 받아들였으며, 심지어 [[푸른거탑]]이나 [[SNL 코리아]]에마저 본인이 등장하여 고자라니 드립을 쳤으며 이 컨셉으로 건강보조식품 광고에도 출연했다.
그런데 한국 한정으로 2번의 인물과 연관되어 [[네이버 영화]]에는 그의 명대사들로만 가득하다(...).


사실 2000년대 중후반에는 그렇게까지 주목받는 캐릭터는 아니었다. 그저 합성물의 하나의 요소로서 작용했었고, 머지않아 새로운 합성 요소가 등장하면 사라질 것으로 생각했었다. 그러나 2010년대 중반까지 맥을 이어오더니, 2016년 즈음에는 이런 '''심영물'''을 만드는 유튜버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야인시대 합성물"이 아닌 '''심영물'''이라는 새로운 단어의 등장과 함께 여러 가지 방향으로 합성되기 시작한다. 오히려 역으로, 심영이 나오지도 않는 야인시대 합성물을 심영물이라고 부르면서 배꼽이 배를 뛰어넘는 모양새도 보이고 있다.
[[분류:배우]][[분류:야인시대]][[분류:인터넷 밈]]
 
 
 
{{주석}}
[[분류:철원군 출신]]
[[분류:북한의 배우]]
[[분류:야인시대의 등장인물]]
[[분류:야인시대의 ]]
[[분류:대한민국의 사회주의자]]
[[분류:월북자]]
[[분류:청송 심씨]]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