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역 (지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신촌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원어이름 =
|글자색 = white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상단 =
|글자색   = white
|역명 = KORAIL 신촌역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역번호 = {{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
|그림alt  =  
|역코드 =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
|번호    = {{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
|개업일 = {{날짜/출력|1921-7-11}}
|노선    = [[경의선]] <small>3.1 km</small>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관할 = [[한국철도공사]] (KORAIL)<br>서울본부 [[수색역|수색관리역]]
|개업일  = [[1921년]] [[7월 11일]]
|승강장 = 1면 2선
|폐지일  =
|운임구역 =  
|코드    = 385
|이용객 =
|승강장   = 1면 2선
|노선 = [[경의선]] <small>3.1 km</small>
|관련역  =  
|관련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 (지하)|신촌역]]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


<big> 新村驛 / Sinchon Station  / 新村 / シンチョン</big>
== 개요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舊 [[신촌동 (서울)|신촌동]] 74-12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舊 [[신촌동 (서울)|신촌동]] 74-12번지)에 위치한 지상역.


과거 경의선이 전철화되지 않았을 적에는 여기를 '''신촌기차역'''이라고 통칭했었다. 이 명칭은 버스의 노선 안내에도 쓰였으며, 현재는 버스 정류장 명으로 남아 있다. 경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이러한 명칭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
과거 경의선이 전철화되지 않았을 적에는 여기를 '''신촌기차역'''이라고 통칭했었다. 이 명칭은 버스의 노선 안내에도 쓰였으며, 현재는 버스 정류장 명으로 남아 있다. 경의선 전철이 개통되면서 이러한 명칭은 점차 사라지는 추세이다.  


KTX 및 기타 일반열차의 회송으로 인하여 전동차가 많이 다닐 수 없다. 또한 선로가 워낙 혼잡한 관계로 화물열차들이 종종 신촌역에서 대피를 하기도 하며, 일부 KTX열차가 서울역 구내에서 선로 이동을 위해서 신촌까지 회송운전을 하기도 한다. 과거 서울역 공사가 있을때면 신촌 시종착이 종종 실시되기도 하였으며, [[2016년]] 서울역 북부 구간 개량공사로 인하여 전동차 다수가 신촌 시종착으로 전환된 바 있다.
KTX 및 기타 일반열차의 회송으로 인하여 전동차가 많이 다닐 수 없다. 또한 선로가 워낙 혼잡한 관계로 화물열차들이 종종 신촌역에서 대피를 하기도 하며, 일부 KTX열차가 서울역 구내에서 선로 이동을 위해서 신촌까지 회송운전을 하기도 한다. 과거 서울역 공사가 있을때면 신촌 시종착이 종종 실시되기도 하였으며, [[2016년]] 서울역 북부 구간 개량공사로 인하여 전동차 다수가 신촌 시종착으로 전환된 바 있다.


== 역사 ==
== 역 구조 ==
* [[1921년]] [[7월 11일]]: [[보통역]]으로 개업<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정차장신설</ref>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 1930년 12월 15일: [[용산선]] [[서강역|서강]] ~ 신촌 구간 개통<ref>조선총독부고시 제486, 487호</ref>
* 1960년 4월 1일: [[용산선]] 서강 ~ 신촌 폐지<ref>교통부고시 제593호</ref>
* [[1967년]] [[7월 1일]]: 차급화물 취급 중지<ref>철도청고시 제338호</ref>
* [[1968년]] [[9월 11일]]: 차급화물 취급 재개<ref>철도청고시 제57호</ref>
* 1971년 9월 10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 취급역 지정<ref>철도청고시 제37호</ref>
* [[1988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ref>철도청고시제38호</ref>
* [[2004년]] [[12월 31일]]: 구 역사를 [[등록문화재]] 제136호로 지정
* [[2006년]] [[7월 12일]]: 민자역사 준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1355298 낭만의 신촌역..역사 속으로], 연합뉴스</ref>
* [[2009년]] [[7월 1일]]: [[경의선]] 광역전철 개통


== 시설 ==
<div>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 40em; line-height: 120%; font-size: 85%;"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right;" | [[경의선]] [[가좌역|가좌]] 방면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text-align: center; border: 2px solid black;" | [[디지털미디어시티역|<span style="color: white;">디지털미디어시티</span>]] · [[대곡역 (고양)|<span style="color: white;">대곡</span>]] · [[문산역|<span style="color: white;">문산</span>]] 방면 | '''1번 승강장'''<br />'''2번 승강장''' | [[서울역|<span style="color: white;">서울역</span>]] 방면
|-
| style="border-top: 2px solid black; border-bottom: 2px solid black; text-align: left;" | ← [[경의선]] [[서울역|서울]] 방면
|-
|}
</div>


{{철도승강장|구조=
== 역사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경의선]] [[서울역|서울]]
=== 연혁 ===
}}
* [[1921년]] [[7월 11일]] : 영업 개시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서울역|서울역]] 방면
* [[1967년]] [[7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
}}
* [[1968년]] [[9월 11일]] : 화물 취급 재개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1번|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가좌역|가좌]] · [[일산역|일산]] · [[문산역|문산]] 방면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
}}
* [[1988년]] [[1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 [[경의선]] [[가좌역|가좌]]  
* [[2004년]] [[12월 31일]] : 구 역사 등록문화재 지정
}}
* [[2005년]] [[9월 30일]] : 화물취급 중지
}}
* [[2006년]] [[7월 12일]] : 민자역사 준공
* [[2009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전철역으로 전환
* [[2012년]] [[12월 15일]] : 급행열차 정차역에서 제외
* [[2013년]] [[3월 4일]] : 급행열차 정차 재개
* [[2016년]] [[5월 17일]] : 서울역 북부 구간 개량공사로 인하여 경의선 전철의 임시 시종착역이 됨.


== 주변 정보 ==
[[이화여자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가 매우 가까이 있다.
=== 민자역사 ===
=== 민자역사 ===
근처의 이대 상권이 활황이던 때에 계획이 수립되어 2006년 6층 규모로 완공되었다. 원래 계획은 4층까지 밀리오레가 들어오고, 5층과 6층에 멀티플렉스(메가박스)가 입주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완공 이후로 방문 목적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던 [[메가박스]]를 빼고 입점율이 3할을 겨우 넘길 수준에 머무르는 등의 영 신통치 않은 상황이 계속되었다.
근처의 이대 상권이 활황이던 때에 계획이 수립되어 2006년 6층 규모로 완공되었다. 원래 계획은 4층까지 밀리오레가 들어오고, 5층과 6층에 멀티플렉스(메가박스)가 입주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완공 이후로 방문 목적의 알파이자 오메가이던 [[메가박스]]를 빼고 입점율이 3할을 겨우 넘길 수준에 머무르는 등의 영 신통치 않은 상황이 계속되었다.  


이토록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 것은 지상 신촌역의 절망적인 노선도<ref>서울역~일산(대곡)~파주(문산)만을 이어주며, 통근수송열차 그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때문에 고작(?) 신촌 끝자락에 쇼핑 갈려고 이용하는 사람이 없었던 것.</ref>와 배차간격(약 '''1시간'''), 같은 이유로 상권 중심이 희대의 환승역으로 탈바꿈한 홍대입구역 ~ 합정역 지구로 넘어간 것, 그리고 온라인 쇼핑의 발달로 인한 아웃렛 침체 현상이 겹쳤기 때문이다.
이토록 나락으로 떨어지게 된 것은 지상 신촌역의 절망적인 노선도<ref>서울역~일산(대곡)~파주(문산)만을 이어주며, 통근수송열차 그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때문에 고작(?) 신촌 끝자락에 쇼핑 갈려고 이용하는 사람이 없었던 것.</ref>와 배차간격(약 '''1시간'''), 같은 이유로 상권 중심이 희대의 환승역으로 탈바꿈한 홍대입구역 ~ 합정역 지구로 넘어간 것, 그리고 온라인 쇼핑의 발달로 인한 아웃렛 침체 현상이 겹쳤기 때문이다.
60번째 줄: 66번째 줄:
급기야 2018년에 신촌역사(주)가 파산 신청을 제출하기에 이르렀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0810721 '梨大 상권의 중심' 신촌민자역사, 결국 법정관리 신청], 한국경제, 2018.05.09.</ref> 회생절차를 위해 임차인을 정리하려는 신촌역사 측과 유치권 행사를 통해 삶의 터전을 지키려는 임차인 간의 힘겨루기가 한창인 상태.
급기야 2018년에 신촌역사(주)가 파산 신청을 제출하기에 이르렀다.<ref>[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50810721 '梨大 상권의 중심' 신촌민자역사, 결국 법정관리 신청], 한국경제, 2018.05.09.</ref> 회생절차를 위해 임차인을 정리하려는 신촌역사 측과 유치권 행사를 통해 삶의 터전을 지키려는 임차인 간의 힘겨루기가 한창인 상태.


=== 구 신촌역 ===
=== 구 신촌역사 ===
{{건축물 정보
{{유형문화재 정보
|건물이름 = 서울 구 신촌역사
|소재_국가=[[대한민국]]
|원어이름 =  
|유형=[[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
|그림     =  
|그림=
|그림설명 =  
|이름=신촌역사 (新村驛舍)
|종류    =  
|지정_번호=136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로]] 30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서울)|대현동]] 74-12
|소유    =
|제작_시기=[[1921년]]
|착공일  =
|비고=
|개장일  =
|지정연월일=[[2004년]] [[12월 31일]]
|철거일  =
|건축    =
|설계    =
|건설    =
|양식    =
|높이    =
|층수    =
|총면적  = 162.1 m<sup>2</sup>
|대지면적 =
|웹사이트 =  
|비고     =  
|하위 틀  =
{{문화재 정보/삽입용
|종목    = [[등록문화재]]
|지정일  = 2004년 12월 31일
|해제일  =
}}
}}
}}


구 신촌역사는 1921년에 지어진 것으로, 등록문화재 제 136호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민자역사 신축으로 인하여 기존의 역무실 부분을 철거하고 반대편으로 이설하여 보존하고 있다.
구 신촌역사는 1921년에 지어진 것으로, 등록문화재 제 136호로 지정되었다. 하지만, 민자역사 신축으로 인하여 기존의 역무실 부분을 철거하고 반대편으로 이설하여 보존하고 있다.
 
{{-}}
== 주변 정보 ==
[[이화여자대학교]]와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가 매우 가까이 있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닫기=닫음|style=width: 42em;}}
{{경유 노선/관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관할=한국철도공사 (KORAIL)|링크=한국철도공사}}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경유 노선|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글자색=white
|노선명=303 [[경의선]]|노선거리=3.1 km
|노선폭=8em|노선명=203 경의선|노선링크=경의선|노선거리=3.1 km
|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서울역|서울]]|전거리=3.1 km
|전역폭=10em|전방면=[[서울역|서울]] 방면|전역=[[서울역|서울]]|전거리=3.1 km
|당역='''신촌'''
|당역폭=8em|당역='''신촌'''
|후방면=[[도라산역|도라산]] 방면|후역=[[가좌역|가좌]]|후거리=2.7 km}}
|후역폭=10em|후방면=[[도라산역|도라산]] 방면|후역=[[가좌역|가좌]]|후거리=2.7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경의·중앙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링크=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16|수도권|경의중앙|ls=-0.05}}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전거리=4.4 km
{{경유 계통|전역폭=16em|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16|수도권|경의중앙|ls=-0.05}}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전거리=4.4 km
|당역={{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신촌'''|등급=경의선 급행
|당역폭=8em|당역={{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신촌'''|등급=경의선 급행
|후방면=[[서울역|서울]] 방면|후역={{역번호/한국|P313|수도권|경의중앙|ls=-0.05}} [[서울역|서울]]|후거리=3.1 km}}
|후역폭=12em|후방면=[[서울역|서울]] 방면|후역={{역번호/한국|P313|수도권|경의중앙|ls=-0.05}} [[서울역|서울]]|후거리=3.1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15|수도권|경의중앙|ls=-0.05}} [[가좌역|가좌]]|전거리=2.7 km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K315|수도권|경의중앙|ls=-0.05}} [[가좌역|가좌]]|전거리=2.7 km
|당역={{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신촌'''|등급=완행
|당역={{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신촌'''|등급=완행
118번째 줄: 106번째 줄:


[[분류:경의선]]
[[분류:경의선]]
[[분류:서울특별시에 있는 철도역]]
[[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분류:등록문화유산]]
[[분류:서울 서대문구의 철도역]]
[[분류:수색관리역]]
[[분류:전철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