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퀀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시퀀서'''(Sequencer)는 [[악보]]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다. 한마디로 [[컴퓨터]]를 사용한 [[작곡]]의 필수품. 바꿔 말하자면 작곡에 있어 문명의 이기 중 이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가 알아서 재생을 해주므로 머리아프게 직접 연주하거나 머릿속으로 재생시켜볼 필요가 없기 때문. 보통은 [[MIDI]]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용어가 [[DAW]]와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시퀀서'''(Sequencer)는 [[악보]]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다. 한마디로 [[컴퓨터]]를 사용한 [[작곡]]의 필수품. 바꿔 말하자면 작곡에 있어 문명의 이기 중 이기라고 할 수 있다. 컴퓨터가 알아서 재생을 해주므로 머리아프게 직접 연주하거나 머릿속으로 재생시켜볼 필요가 없기 때문. 보통은 [[MIDI]] 기반 프로그램을 사용하며, 용어가 [[DAW]]와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 종류 ==
== 종류 ==
* [[FL Studio]]
* [[FL Studio]]
*: [[일렉트로니카|일렉트로닉 계열 음악]]을 만들기에 가장 최적화되어 있고, 인터페이스가 쉽다는 이미지가 강한 시퀀서다. 하지만 [[록]]이나 [[팝]]도 못 만들 이유는 없다. 참고로 FL-Chan이라는 [[모에]]한 마스코트가 있는, 은근히 덕스러운 프로그램이다(...). 이걸 사용하는 프로 뮤지션도 많다.
*: [[일렉트로니카|일렉트로닉 계열 음악]]을 만들기에 가장 최적화되어 있고, 인터페이스가 쉽다는 이미지가 강한 시퀀서다. 하지만 [[록 (음악)|록]]이나 [[팝]]도 못 만들 이유는 없다. 참고로 FL-Chan이라는 [[모에]]한 마스코트가 있는, 은근히 덕스러운 프로그램이다(...). 이걸 사용하는 프로 뮤지션도 많다.  
 
* [[큐베이스]](Cubase)
* [[큐베이스]](Cubase)
*: 슈타인버그(Steinberg)에서 만든 시퀀서로, 매우 폭넓게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녹음을 통한 작곡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ㅊ|[https://youtu.be/tExyudrotss 이것이 팅기면] [[SQUARE MUSIQ|이런 훌륭한]] [[시드 사운드|곡이 된다 카더라]]}}
*: 슈타인버그(Steinberg)에서 만든 시퀀서로, 매우 폭넓게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녹음을 통한 작곡에 맞는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ㅊ|[[https://youtu.be/tExyudrotss|이것이 팅기면]] [[SQUARE MUSIQ|이런 훌륭한]] [[시드 사운드|곡이 된다 카더라]]}}


* [[로직 프로]](Logic Pro)
* [[로직 프로]](Logic Pro)
*: 많은 뮤지션이 [[매킨토시]]를 사는 이유다. 오직 매킨도시에서만 돌아가지만, 그만큼 성능은 파괴적이다. 다양한 플러그인, 루프, 가상악기를 기본으로 보유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도 이쁘다.
*: 많은 뮤지션이 [[매킨토시]]를 사는 이유다. 오직 매킨도시에서만 돌아가지만, 그만큼 성능은 파괴적이다. 다양한 플러그인, 루프, 가상악기를 기본으로 보유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도 이쁘다.
* [[기타프로]](Guitar Pro)
* [[기타프로]](Guitar Pro)
*: [[일렉트릭 기타]]나 [[베이스 기타]] 등을 배워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 쯤봤을 법한 프로그램이다. 기본적으로 '''[[TAB 악보]]를 지원'''하여<ref>FL 스튜디오나 로직 등 프로 수준의 시퀀서 중 타브 악보를 지원하는 것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ref> 콩나물을 읽지 못하는 사람도 사용하기 쉽다. 사운드는 RSE(Realistic Sound Engine)이라는 확장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딱 [[노래방]]의 그 사운드가 나온다. {{ㅊ|원래 내장 [[MIDI]] 음원이 다 그렇다.}} RSE를 깔면 훨씬 그럴듯한 사운드가 나오는데, 그래도 직접 치는 것만은 못하다.<ref>실제 연주와 비교할 때 팜뮤트 연주 시 저음이 너무 약하고, 뮤트음에 힘이 없다. 또 5.2 기준으로 드럼은 심벌즈가 너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음의 강약이 실제 연주는 물론이고 다른 시퀀서보다 섬세하지 못하다.</ref> 최신판은 6으로, 5.2 버전에 비하면 굉장히 발전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ref>[https://soundcloud.com/sitte/streets-underwater 여기]에서 기타프로 5.2에 RSE를 이용한 사운드를 들어볼 수 있다. 기타프로 6의 사운드는 [https://soundcloud.com/sitte/its-just-so-with-melody 여기]서 들어볼 수 있다.</ref>기타에 한해서는 가격 대비 매우 좋은 사운드를 내주는 [[가상악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단 본인의 연주(보컬 포함!)를 녹음할 수는 없기 때문에 최종 생산물(?)을 만드는 용도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 [[일렉트릭 기타]]나 [[베이스 기타]] 등을 배워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 쯤봤을 법한 프로그램이다. 기본적으로 '''[[TAB 악보]]를 지원'''하여<ref>FL 스튜디오나 로직 등 프로 수준의 시퀀서 중 타브 악보를 지원하는 것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ref> 콩나물을 읽지 못하는 사람도 사용하기 쉽다. 사운드는 RSE(Realistic Sound Engine)이라는 확장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다면 딱 [[노래방]]의 그 사운드가 나온다. {{ㅊ|원래 내장 [[MIDI]] 음원이 다 그렇다.}} RSE를 깔면 훨씬 그럴듯한 사운드가 나오는데, 그래도 직접 치는 것만은 못하다.<ref>실제 연주와 비교할 때 팜뮤트 연주 시 저음이 너무 약하고, 뮤트음에 힘이 없다. 또 5.2 기준으로 드럼은 심벌즈가 너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음의 강약이 실제 연주는 물론이고 다른 시퀀서보다 섬세하지 못하다.</ref> 최신판은 6으로, 5.2 버전에 비하면 굉장히 발전된 사운드를 들려준다. <ref>[https://soundcloud.com/sitte/streets-underwater 여기]에서 기타프로 5.2에 RSE를 이용한 사운드를 들어볼 수 있다. 기타프로 6의 사운드는 [https://soundcloud.com/sitte/its-just-so-with-melody 여기]서 들어볼 수 있다.</ref>기타에 한해서는 가격 대비 매우 좋은 사운드를 내주는 [[가상악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단 본인의 연주(보컬 포함!)를 녹음할 수는 없기 때문에 최종 생산물(?)을 만드는 용도로는 한계가 명확하다.
* [[LMMS]]
* [[LMMS]]
*: 오픈소스 진영의 프로그램으로,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리눅스용으로 제작되었지만 윈도용도 존재한다.
*: 오픈소스 진영의 프로그램으로, 무료로 사용 가능하다. 리눅스용으로 제작되었지만 윈도용도 존재한다.
* [[NWC]]
* [[NWC]]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아마추어 등지에서 자주 쓰이는 프로그램이며, 기능은 단순하지만 쓰기가 쉬워서 초보자 용으로 좋다.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아마추어 등지에서 자주 쓰이는 프로그램이며, 기능은 단순하지만 쓰기가 쉬워서 초보자 용으로 좋다.
* 시벨리우스
* 시벨리우스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프로쪽에서 많이 쓰인다.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프로쪽에서 많이 쓰인다.
* 뮤즈스코어
* 뮤즈스코어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위의 둘과는 달리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다른 기보용 프로그램에 꿀리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 악보 기보 프로그램이다. 위의 둘과는 달리 무료로 사용 가능하며, 다른 기보용 프로그램에 꿀리지 않는 기능을 제공한다.
22번째 줄: 28번째 줄:
일반적으로 작곡 프로그램은 가상악기인 [[VST]]I를 쓰지만 미디 기반 프로그램은 일반 미디 악기를 쓰기 때문에 소리가 별로 좋지 않다. 이 경우 [http://ssg.wo.tc/220088001894 사운드 폰트를 설치하여 소리를 바꾸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작곡 프로그램은 가상악기인 [[VST]]I를 쓰지만 미디 기반 프로그램은 일반 미디 악기를 쓰기 때문에 소리가 별로 좋지 않다. 이 경우 [http://ssg.wo.tc/220088001894 사운드 폰트를 설치하여 소리를 바꾸기도 한다.]


{{참고|DAW}}
{{참조|DAW}}


{{각주}}
{{각주}}
[[분류:음악 소프트웨어]]
[[분류:음악 소프트웨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