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라즈베리파이 입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아이콘/텍스트|라즈베리파이|굵기 = bold}} 나도 이젠 라즈베리파이를 맛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
{{쉽게 알 수 있다 시리즈|나도 이젠 라즈베리파이를 맛있게 사용할 수 있을 것만 같습니다! }}
== 라즈베리파이란 무엇인가요? ==
== 라즈베리파이란 무엇인가요? ==
<del>음식</del>이 아니라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나온 초소형 컴퓨터 입니다!
<del>음식</del>이 아니라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나온 초소형 컴퓨터 입니다!
50번째 줄: 50번째 줄:
'''5''' [https://github.com/andreiw/RaspberryPiPkg/archive/master.zip 이 링크]를 눌러 UEFI 바이너리 정보 파일을 설치한 후 압축을 해제시켜주세요.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SD카드를 윈도우 부팅 드라이브 로 인식시키도록 설정해줍니다.<br />
'''5''' [https://github.com/andreiw/RaspberryPiPkg/archive/master.zip 이 링크]를 눌러 UEFI 바이너리 정보 파일을 설치한 후 압축을 해제시켜주세요.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SD카드를 윈도우 부팅 드라이브 로 인식시키도록 설정해줍니다.<br />
'''6'''. 3에서 받은 파일 안에 들어있는 '''WoR.exe'''를 찾아 실행시켜주세요. <br />
'''6'''. 3에서 받은 파일 안에 들어있는 '''WoR.exe'''를 찾아 실행시켜주세요. <br />
[[파일:120.JPG|600px]]<br />
[[File:120.JPG|600px]]<br />
'''7'''.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한국어를 지원합니다!) SD카드<ref>최소 8GB가 필요합니다.</ref>를 선택한 후, 1에서 다운로드한 윈도우 10 '''ISO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약간의 시간이 경과되면 ISO를 찾아냈다는 문구가 표시됩니다.<br />
'''7'''.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한국어를 지원합니다!) SD카드<ref>최소 8GB가 필요합니다.</ref>를 선택한 후, 1에서 다운로드한 윈도우 10 '''ISO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약간의 시간이 경과되면 ISO를 찾아냈다는 문구가 표시됩니다.<br />
'''8'''. Select Driver는 2에서 설치한 ZIP파일을 선택하고, UEFI Firmware는 5에서 설치한 파일 안으로 들어가 Binary 파일 속의 Prebuilt를 선택해줍니다. 이 파일에 들어있는 수많은 파일들 중 최신 파일의 RELEASE 파일 속에 있는 '''RPI_EFI.fd'''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br />
'''8'''. Select Driver는 2에서 설치한 ZIP파일을 선택하고, UEFI Firmware는 5에서 설치한 파일 안으로 들어가 Binary 파일 속의 Prebuilt를 선택해줍니다. 이 파일에 들어있는 수많은 파일들 중 최신 파일의 RELEASE 파일 속에 있는 '''RPI_EFI.fd'''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br />
56번째 줄: 56번째 줄:
'''10'''. 설치와 관련된 경고에 동의하고 상당히 긴 시간을 기다려야합니다. 30%에서 멈춘다 해도 당황하지 마세요.<br />
'''10'''. 설치와 관련된 경고에 동의하고 상당히 긴 시간을 기다려야합니다. 30%에서 멈춘다 해도 당황하지 마세요.<br />
'''11'''. 설치가 완료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부팅할 때 ESC를 연타하여 BIOS 메뉴에 접근해주세요.<br />
'''11'''. 설치가 완료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부팅할 때 ESC를 연타하여 BIOS 메뉴에 접근해주세요.<br />
[[파일:45021.JPG|500px]]<br />
[[File:45021.JPG|500px]]<br />
'''12'''. '''Device Mannager'''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의 '''HypDxe Configuration'''에서 '''System Boot Mode'''를 '''<Boot in EL1>'''으로 변경시켜주세요. 뒤로 한번 나와 '''System Frequencies and Clocks'''를 선택한 후, CPU Clock을 <MAX>로 바꿔주세요. 이 작업이 없으면 최초 부팅에 최대 1시간이 더 소모될 수 있습니다.<br />
'''12'''. '''Device Mannager'''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의 '''HypDxe Configuration'''에서 '''System Boot Mode'''를 '''<Boot in EL1>'''으로 변경시켜주세요. 뒤로 한번 나와 '''System Frequencies and Clocks'''를 선택한 후, CPU Clock을 <MAX>로 바꿔주세요. 이 작업이 없으면 최초 부팅에 최대 1시간이 더 소모될 수 있습니다.<br />
'''13'''. BIOS 메뉴의 첫 화면으로 나와 '''Continue'''에서 Enter키를 누르세요. 진행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기 전에 '''모든 라즈베리파이와 연결된 USB포트를 분리시키세요.''' 이 절차가 없을 경우 설정에 문제를 끼치거나 외부 버스와 관련된 IO가 통째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br />
'''13'''. BIOS 메뉴의 첫 화면으로 나와 '''Continue'''에서 Enter키를 누르세요. 진행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기 전에 '''모든 라즈베리파이와 연결된 USB포트를 분리시키세요.''' 이 절차가 없을 경우 설정에 문제를 끼치거나 외부 버스와 관련된 IO가 통째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br />
68번째 줄: 68번째 줄:
우선 갖고있는 라즈베리파이가 1이나 2일 경우, 윈도우를 통해 부팅할 수 있는 방법은 윈도우10 IOT 코어를 설치하는 것 뿐이에요. 그러나 이 버전은 IOT 환경 개발자들을 위해 만든 것인만큼, 데스크톱 사용 목적에는 부적합해요.
우선 갖고있는 라즈베리파이가 1이나 2일 경우, 윈도우를 통해 부팅할 수 있는 방법은 윈도우10 IOT 코어를 설치하는 것 뿐이에요. 그러나 이 버전은 IOT 환경 개발자들을 위해 만든 것인만큼, 데스크톱 사용 목적에는 부적합해요.


[[파일:deviceinfopage-screenshot.jpg|500px]]
[[File:deviceinfopage-screenshot.jpg|500px]]


윈도우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윈도우를 가상화시켜 사용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https://eltechs.com/virtualbox-raspberry-pi/ 유료로 진행되던 서비스]가 공식 종료됐고, wine을 시용할 수 있는 방법이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124353 전멸했다 시피 하기 때문에] 더이상은 정상적인 방법을 얻는 것조차 힘들어졌어요. 우분투 마테의 경우 wine을 설치할 수 있긴 하지만, 작동하는 방식이 전혀 달라서 [[x86]]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윈도우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윈도우를 가상화시켜 사용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https://eltechs.com/virtualbox-raspberry-pi/ 유료로 진행되던 서비스]가 공식 종료됐고, wine을 시용할 수 있는 방법이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124353 전멸했다 시피 하기 때문이에요.] 우분투 마테의 경우 wine을 설치할 수 있긴 하지만, 작동하는 방식이 전혀 달라서 [[x86]]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최근들어 라즈베리파이 1과 2와 관련한 연구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사용자 기반 커뮤니티 또한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정보를 찾는 것도 어려워져 '''방법이 없다고 봐도 무방한 상태'''입니다. 만일 이 문서를 읽는 [[위키러]] 중 ARMv7기반의 라즈베리파이에서 어떠한 버전이건 윈도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내신다면 반드시 이 문단을 통해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최근들어 라즈베리파이 1과 2와 관련한 연구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사용자 기반 커뮤니티 또한 활성화되어 있지 않고, 정보를 찾는 것도 어려워져 '''방법이 없다고 봐도 무방한 상태'''입니다. 만일 이 문서를 읽는 [[위키러]] 중 ARMv7기반의 라즈베리파이에서 어떠한 버전이건 윈도우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해내신다면 반드시 이 문단을 통해 설명해주시기 바랍니다.


====[[유닉스]]도 괜찮아요====
====[[유닉스]]도 괜찮아요====
유닉스란 [[리눅스]], [[우분투]], [[데비안]] 등을 포함한 OS의 기반 체계를 일컫는 말입니다. 좀 더 넓은 폭으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나 [[iOS]] 등도 포함하고 있어요. 윈도우는 설치부터 불편하지만 유닉스는 라즈베리 파이에 가장 잘 어울립니다.
유닉스란 [[리눅스]], [[우분투]], [[데비안]] 등을 포함한 OS의 기반 체계를 일컫는 말입니다. 좀 더 넓은 폭으론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안드로이드]]나 [[iOS]] 등도 포함하고 있어요.
자세한 사항은 [[유닉스]]문서와 [[유닉스 계열]]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자세한 사항은 [[유닉스]]문서와 [[유닉스 계열]]문서를 참고해주세요.


82번째 줄: 82번째 줄: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의 안내를 참고하는 걸 추천해요. ''Raspberry Pi Imager for Windows''를 설치하면, 따로 받을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바로 다운로드하고. SD카드에 쓰는 것 까지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의 안내를 참고하는 걸 추천해요. ''Raspberry Pi Imager for Windows''를 설치하면, 따로 받을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바로 다운로드하고. SD카드에 쓰는 것 까지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파일:658402.JPG|500px]]<br />
[[File:658402.JPG|500px]]<br />
<small>다양한 OS들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선택할 수 있어요</small>
<small>다양한 OS들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선택할 수 있어요</small>


* 만일 위의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OS를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 다음의 방법을 따르세요.
* 만일 위의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OS를 발견하지 못했을 경우, 다음의 방법을 따르세요.


'''1'''. [https://win32diskimager.download/ 여기]에서 Win32 Disk Imager을 설치해주세요.<br />
'''1'''. [https://win32diskimager.download/ 여기]에서 Win32 Disk Imager을 설치해주세요.</br>
'''2'''. 원하는 OS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주세요.<br />
'''2'''. 원하는 OS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주세요.</br>
'''3'''. SD카드를 컴퓨터에 마운트하고 드라이브 문자열을 확인해주세요.<br />
'''3'''. SD카드를 컴퓨터에 마운트하고 드라이브 문자열을 확인해주세요.</br>
[[파일:5.36210.JPG|500px]]<br />
[[File:5.36210.JPG|500px]]</br>
<small>Win32 Disk Imager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와요</small><br />
<small>Win32 Disk Imager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와요</small></br>
'''4'''. Device 부분에 해당하는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해주세요.<br />
'''4'''. Device 부분에 해당하는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해주세요.</br>
'''5'''. Image File부분에 ISO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를 선택하거나 입력해주세요.<br />
'''5'''. Image File부분에 ISO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를 선택하거나 입력해주세요.</br>
'''6'''. Write를 누르고 포멧 내용에 동의하세요.<br />
'''6'''. Write를 누르고 포멧 내용에 동의하세요.</br>


어떤 방식이든 SD카드에 쓰기가 끝났다면 바로 라즈베리파이에 꽂아 별도의 과정 없이 OS를 부팅시킬 수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든 SD카드에 쓰기가 끝났다면 바로 라즈베리파이에 꽂아 별도의 과정 없이 OS를 부팅시킬 수 있습니다.
103번째 줄: 103번째 줄:


* 어떤 사람은 사용하면 안 될까요?<br />
* 어떤 사람은 사용하면 안 될까요?<br />
ARMv7의 경우 설치할 수 있는 운영체제의 갯수는 극적으로 한정 되어있고, 그마저도 대부분이 라즈베리파이를 염두해두고 설개되지 않았어요. 윈도우 rt나 안드로이드가 대표적인데, 하드웨어 가속에 대한 지원이 없거나 아예 구동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ARMv7의 경우 설치할 수 있는 운영체제의 갯수는 극적으로 한정 되있고, 그마저도 대부분이 라즈베리파이를 염두해두고 설개되지 않았어요. 윈도우 rt나 안드로이드가 대표적인데, 하드웨어 가속에 대한 지원이 없거나 아예 구동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장 논의가 활발하고 라즈베리파이1 혹은 2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OS는 데미안 기반의 '''라즈비안'''과 우분투 기반의 '''우분투 마테'''가 있어요. 다만, 둘 다 3에서 작동하여 2017년 이후부턴 포럼에서 대부분 3과 관련된 내용으로만 논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3를 염두해두고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들은 그 이전 버전에서 설치가 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Ren'Pi 등) 아예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Steam 등) 유의해야해요. 일반 우분투 용으로 코딩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도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가장 논의가 활발하고 라즈베리파이1 혹은 2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OS는 데미안 기반의 '''라즈비안'''과 우분투 기반의 '''우분투 마테'''가 있어요. 다만, 둘 다 3에서 작동하여 2017년 이후부턴 포럼에서 대부분 3과 관련된 내용으로만 논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3를 염두해두고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들은 그 이전 버전에서 설치가 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Ren'Pi 등) 아예 작동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Steam 등) 유의해야해요. 일반 우분투 용으로 코딩된 대부분의 프로그램들도 잘 작동하지 않습니다.  
110번째 줄: 110번째 줄:


* 그럼 어떤 사람이 써야하나요?<br />
* 그럼 어떤 사람이 써야하나요?<br />
3 이전의 라즈베리파이는 보다 "개발"에 초점을 맞춰 개인용 컴퓨터 사용엔 처음부터 그다지 적합하지 않아요. 하지만 컴퓨터로 하는 일이 인터넷 기반의 프로그레시브 웹앱을 통한 작업이 주라면 마치 크롬북처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요. 웹브라우징, 유튜브 영상 시청, 이메일 주고 받기 및 오피스 온라인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어느 버전이건, [[파이어폭스]]와 [[크롬 (웹 브라우저)|크롬]](오픈소스 크로뮴 프로젝트)는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죠.
3 이전의 라즈베리파이는 보다 "개발"에 초점을 맞춰 개인용 컴퓨터 사용엔 처음부터 그다지 적합하지 않아요. 하지만 컴퓨터로 하는 일이 인터넷 기반의 프로그레시브 웹앱을 통한 작업이 주라면 마치 크롬북처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요. 웹브라우징, 유튜브 영상 시청, 이메일 주고 받기 및 오피스 온라인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어느 버전이건, [[파이어폭스]]와 [[크롬 (웹 브라우저)|크롬]](오픈소스 크로미움 프로젝트)는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죠.




설치 방법은 3 이상의 라즈베리파이와 동일하나,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OS는 상술했듯 라즈비안 및 우분투 마테 정도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지원되는 OS를 설치할 때도 반드시 ARMv7버전으로 받는가 확인하세요.
설치 방법은 3 이상의 라즈베리파이와 동일하나, 안정적으로 사용가능한 OS는 상술했듯 라즈비안 및 우분투 마테 정도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지원되는 OS를 설치할 때도 반드시 ARMv7버전으로 받는가 확인하세요.


=== 웹 서버로 만들어보기 ===
=== 웹서버로 만들어보기 ===
웹 서버에는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고, 개인 쇼핑 사이트를 만들거나, 미디어 스트리밍 혹은 자료 업로드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고 심지어 리브레 위키같은 위키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어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이 만든 엔진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도 있지만, 직접 HTML과 PHP를 공부하여 나만의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웹서버에는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어요.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고, 개인 쇼핑 사이트를 만들거나, 미디어 스트리밍 혹은 자료 업로드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고 심지언 리브레위키같은 위키위키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어요! 대부분 다른 사람들이 만든 엔진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도 있지만, 직접 HTML과 PHP를 공부하여 나만의 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효율성과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모든 절차는 라즈베리파이에 유닉스 기반의 운영체제를 이미 설치했음을 대전제로 합니다. 일부 사항은 특정 OS별로 다소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LAMP 스택으로 구축하기 ====
※효율성과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아래의 모든 설치 절차는 유닉스 기반으로 이루어짐을 대전제로 합니다.
LAMP 스택은 서버 소프트웨어들의 묶음입니다. 동적인 웹 서버를 구축할 때는 여러 소프트웨어의 조합이 필수적이죠. LAMP가 가장 널리 쓰이는 조합이라 설치하기도 편하고 호환성도 좋습니다. 이 문서는 입문을 위한 페이지라 LAMP 스택으로 설명할게요.
==== 공통사항 : LAMP스택 설치하기 ====
{{시리즈:누구나 할 수 있는 웹서버 구축|LAMP}}
본격적인 웹서버 제작에 앞서 모든 작업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LAMP스택은 모든 웹서버 제작에 가장 기초적인 요소로서, 다른 사람이 만든 엔진을 이용할 때 뿐만 아니라 직접 html과 php를 공부하여 웹사이트를 만드는 경우에도 꼭 필요해요. <br />
LAMP는 '''L'''inux'''A'''pache'''M'''ysql'''P'''hp의 약자입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사용하는 MySQL를 MariaDB로 바꾸거나 Apache를 NginX로 바꾸는 등 다양한 변주가 가능해요. 여기서 설명하는 LAMP는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거의 모든 OS에서 정상 설치ㆍ작동이 가능한, 가장 범용성과 호환성이 높은 소프트웨어에요.
 
기능을 설치하기에 앞서, 사용하는 OS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중요해요. 구버전의 운영체제는 프로그램 설치 명령이 작동하지 않거나, 엉뚱한 버전으로 설치시킬 수 있기때문이에요.
 
우선 Terminal이란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바탕화면을 우클릭하면 나오는 선택 목록 중 있는 경우가 많지만, 없다면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터미널''' 에서 찾을 수 있어요.
 
[[File:ttl.png|500px]]<br />
<small>터미널은 윈도우의 '''명령 프롬프트'''같은, 까만 화면에 하얀 글씨를 써서 컴퓨터에게 직접 명령을 내리는 도구에요. 척 보면 복잡해보이지만 전혀 어렵지 않답니다.</small>
 
우선 업데이트를 위해선
<syntaxhighlight>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syntaxhighlight>
를 각각 입력하면 됩니다.
 
SUDO구문을 입력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표시될 거에요. 이는 터미널에 내가 최고 사용자의 권리로 명령을 허가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때문이에요.<ref>SUperuserDO</ref> 이 권한 체제는 유닉스 기반 OS들의 가장 단순하면서 핵심적인 보안 장치의 역할을 합니다.
 
업데이트가 모두 완료됐다는 문구가 표시되면 바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syntaxhighlight>sudo apt-get install apache2 mysql-server php php-mysql libapache2-mod-php php-xml</syntaxhighlight>
명령이 길어졌지만 단순히 설치를 원하는 프로그램들의 이름을 나열해놓은 것 뿐이에요. 한글자 한글자 입력해도 되지만, 오타가 나올 가능성이 있으니 사이트에서 바로 복사+붙여넣기를 하는 걸 추천해요.
 
[[File:215550581.jpg|500px]]<br />
한번에 6개의 프로그램을 설치했기 때문에, 상당히 오랜 시간이 소모될 거에요. MySQL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생성하라고 요구할 때를 제외하곤 까만 화면에 하얀 글씨들이 정신 없이 올라가는 걸 지켜보고 있을 필요는 없어요. 모든 과정은 알아서 해결됩니다.
설치가 모두 완료됐으면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된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localhost localhost]를 입력하세요. <br />
[[File:apache-it-works.png|500px]]<br />
위와 같이 기본 apache의 페이지가 표시됐다면 계속 진행하고, 아니라 한다면 내가 설치한 OS가 PHP7.0을 비롯한 최신 LAMP스택의 설치를 지원하는지 확인해보세요. OS의 문제가 아니라면 모든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해보세요.
 


====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
==== 나만의 웹사이트 만들기 ====
134번째 줄: 162번째 줄: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커뮤니티 사이트 엔진은 eXpressEngine이지만, 리즈베리파이를 목적으로한 개발이 없어 구 버전 PHP와 호환성이 나쁘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규격으론 그누보드가 있지만, 대한민국의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들과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는 단점이 있어요. 여기선 라즈베리파이를 공식 지원하고, XE와 비슷한 인터페이스의 커뮤니티 사이트로 간편하게 바꿀 수 있는 WordPress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커뮤니티 사이트 엔진은 eXpressEngine이지만, 리즈베리파이를 목적으로한 개발이 없어 구 버전 PHP와 호환성이 나쁘기 때문에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규격으론 그누보드가 있지만, 대한민국의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들과는 구조가 크게 다르다는 단점이 있어요. 여기선 라즈베리파이를 공식 지원하고, XE와 비슷한 인터페이스의 커뮤니티 사이트로 간편하게 바꿀 수 있는 WordPress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1'''. [https://wordpress.org/latest.tar.gz 여기]에서 최신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 해주세요. 워드프레스는 본래 일방향 고지의 성격이 강한 웹사이트의 엔진이지만, 폭넓은 확장 기능들을 통해 얼마든지 원하는 형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br />
 
'''2'''.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index.html 파일이 새로 설치할 엔진과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지워주세요.
'''1'''. 마리아 DB를 설치해줄 거에요.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세요.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sudo apt-get install mariadb-server -y</syntaxhighlight>
$ sudo rm /var/www/html/*</syntaxhighlight>
설치가 끝나면 미리 받아둔 Apache를 다시 시작하기 위해 터미널에 이렇게 써보세요.
'''3'''. 다운로드한 워드프레스의 TAR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파일의 내용을 꺼내''' /var/www/html파일에 넣어주세요.<br />
<syntaxhighlight>sudo service apache2 restart</syntaxhighlight>
'''4'''. 터미널로 돌아가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방금 넣어둔 파일의 소유권을 Apache에게 넘겨줍니다.
'''2'''. [https://wordpress.org/latest.tar.gz 여기]에서 최신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해주세요. 워드프레스는 본래 일방향 고지의 성격이 강한 웹사이트의 엔진이지만, 폭넓은 확장 기능들을 통해 얼마든지 원하는 형태로 바꿀 수 있습니다.<br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3'''. 아래의 명령을 입력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index.html파일이 새로 설치할 엔진과 충돌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지워주세요.
$ cd /var/www/html/
<syntaxhighlight>sudo rm /var/www/html/*</syntaxhighlight>
$ sudo chown -R www-data: .
'''4'''. 다운로드한 워드프레스의 TAR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파일의 내용을 꺼내''' /var/www/html파일에 넣어주세요.<br />
</syntaxhighlight>
'''5'''. 터미널로 돌아가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방금 넣어둔 파일의 소유권을 Apache에게 넘겨줍니다.
'''5'''. <syntaxhighlight lang="console">
<syntaxhighlight>cd /var/www/html/
$ sudo mysql -uroot -p
sudo chown -R www-data: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6'''. MySQL의 안전 설치 절차를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yntaxhighlight>sudo mysql_secure_installation</syntaxhighlight>
새로운 비밀번호 입력을 제외한 모든 질문에 y(YES)로 응답합니다.<br />
'''7'''. <syntaxhighlight>sudo mysql -uroot -p</syntaxhighlight>
MySQL의 설정에 접근하기 위해 위의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MySQL의 설정에 접근하기 위해 위의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Welcome to the MariaDB monitor</syntaxhighlight>라는 문구가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올바르게 표시됐다면 워드프레스의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생성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Welcome to the MariaDB monitor
<syntaxhighlight>create database wordpress;</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정상적인 라즈베리파이라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되는지 확인하세요. 올바르게 표시됐다면 워드프레스의 데이터베이스를 따로 생성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syntaxhighlight>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lang="SQL">
'''8'''. 만들어둔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권한을 부여합니다.
MariaDB [(none)]> create database wordpress;
<syntaxhighlight>GRANT ALL PRIVILEGES ON wordpress.* TO 'root'@'localhost' IDENTIFIED BY '아까 만든 비밀번호';</syntaxhighlight>
</syntaxhighlight>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SQL">
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
</syntaxhighlight>
이번엔 유저를 생성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SQL">
MariaDB [(none)]> CREATE USER '유저'@'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입력';
</syntaxhighlight>
완료!
<syntaxhighlight lang="SQL">
Query OK, 1 row affected (0.00 sec)
</syntaxhighlight>
'''6'''. 만들어둔 데이터베이스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권한을 부여합니다.
<syntaxhighlight lang="SQL">
MariaDB [(none)]> GRANT ALL PRIVILEGES ON wordpress.* TO '아까 만든 유저 이름'@'localhost' IDENTIFIED BY '아까 만든 비밀번호';
</syntaxhighlight>
설정해둔 값이 실제로 작동하도록 파이를 <del>한대 때려줍시다</del> 정신 차리게 만들어줍니다.
설정해둔 값이 실제로 작동하도록 파이를 <del>한대 때려줍시다</del> 정신 차리게 만들어줍니다.
<syntaxhighlight lang="SQL">
<syntaxhighlight>FLUSH PRIVILEGES;</syntaxhighlight>
MariaDB [(none)]> FLUSH PRIVILEGES;
'''9'''. 파이의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 localhost]로 이동하면 워드프레스의 설치 화면이 출력됩니다. 원하는대로 사이트를 설정하세요.<br />
</syntaxhighlight>
'''10'''. [https://www.cosmosfarm.com/products/kboard/install 이 사이트]에서 명시된 방법으로 KBoard를 설치해줍니다. 대한민국에서 널리 통용되는 커뮤니티 사이트 엔진인 XE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의 사이트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고싶다면 [https://www.cosmosfarm.com/threads/questions/1 KBoard의 커뮤니티 사이트]를 참고해보세요.
'''7'''. 파이의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 localhost]로 이동하면 워드프레스의 설치 화면이 출력됩니다. 원하는대로 사이트를 설정하세요.<br />
'''8'''. [https://www.cosmosfarm.com/products/kboard/install 이 사이트]에서 명시된 방법으로 KBoard를 설치해줍니다. 대한민국에서 널리 통용되는 커뮤니티 사이트 엔진인 XE와 유사한 인터페이스의 사이트 개발이 가능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고싶다면 [https://www.cosmosfarm.com/threads/questions/1 KBoard의 커뮤니티 사이트]를 참고해보세요.




==== [[위키]] 사이트 만들기 ====
==== [[위키]] 사이트 만들기 ====
위키의 특성을 더욱 자세히 알고싶다면 [[시리즈:위키야 놀자#위키 만들기]]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미디어위키]] =====
===== [[미디어위키]] =====
[[위키백과]] 재단부터 [[리브레위키]]까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규격의 엔진입니다. 강력한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그만큼 사이트가 무거워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위키백과]] 제단부터 [[리브레위키]]까지,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규격의 엔진입니다. 강력한 성능을 보장하지만 그만큼 사이트가 무거워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설치법은 우분투, 리눅스와 동일합니다.<br />
* php5.0 이하의 버전이라면 아래의 내용은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구형 미디어위키 엔진을 받고 /var/www/html에 엔진의 내용물을 모두 올려놓으면 바로 작동합니다.
[[미디어위키/설치 및 관리|리눅스에서 미디어위키를 설치하는 방법]]
 
'''1'''. mbstring을 설치합니다.
<syntaxhighlight>sudo apt-get install php-mbstring</syntaxhighlight>
'''2'''. [https://www.mediawiki.org/wiki/Download 미디어위키 홈페이지]의 공식 다운로드 페이지에서 최신 엔진을 다운로드하고 tar파일을 압축 해제합니다.<br />
'''3'''. /var/lib으로 압축을 해제한 미디어위키 파일을 통째로 옮겨줍니다.<br />
'''4'''. 터미널에 아래의 명령어를 압력하여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합니다.<br />
<syntaxhighlight># sudo mysql -u root -p #</syntaxhighlight>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요구하는데, MySQL을 최초로 설치할 때 입력했던 값이 필요합니다. 설정을 미리 한적이 없다면 그냥 엔터를 누르면 넘어갑니다.
'''5'''. 틀리지 않게 주의하면서 애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syntaxhighlight>CREATE USER '새로운 MySQL사용자 이름'@'localhost' IDENTIFIED BY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곳';</syntaxhighlight>이후 quit;을 입력하여 다시 일반 터미널로 돌아갑니다.<br />
'''6'''. 순서대로 <syntaxhighlight># mysql -u root</syntaxhighlight>를 입력하고
<syntaxhighlight>CREATE DATABASE 위키이름;
use 위키이름;</syntaxhighlight>
를 입력하면 위키를 위한 새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됩니다.<br />
'''7'''. 미디어위키 데이터에 권한을 줘서 사이트가 작동하도록 만드세요. <syntaxhighlight>GRANT ALL ON my_wiki.* TO 'new_mysql_user'@'localhost';</syntaxhighlight>
'''8'''. 라즈베리파이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http://localhost Localhost]에 접속하면 <br />
[[File:미위설치1.png|500px]]<br />
이런 페이지가 출력됩니다. 여기서 [[미디어위키/설치 및 관리|미디어위키의 설정을 마칩니다.]]


===== [[도쿠위키]] =====
===== [[도쿠위키]] =====
195번째 줄: 223번째 줄:
가장 간단하고 가장 기능이 없는 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가장 간단하고 가장 기능이 없는 사이트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 '''주의''' : 티들리 위키는 여타 [[위키]] 엔진들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한 사용자는 문서의 편집이 불가능하고 열람만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 '''주의''' : 티들리 위키는 여타 [[위키위키]] 엔진들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한 사용자는 문서의 편집이 불가능하고 열람만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br />
<br />


[https://tiddlywiki.com/ 티들리위키 공식 사이트]에서 '''Download Empty'''버튼을 누르면 html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해당 html파일이 티들리위키의 모든 것입니다. 일반적인 DOCX문서를 편집하듯 새로운 문서를 만들고 편집하세요. '''모든 작업이 끝난 다음 저장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html파일이 통째로 다시 저장됩니다.''' 원하는 모든 작업을 끝마친 새로운 html파일을 'var/www/html'으로 이동시키고, 기존의 파일을 지운 뒤 내 html 파일 이름을 index.html으로 바꿔보세요.
[https://tiddlywiki.com/ 티들리위키 공식 사이트]에서 '''Download Empty'''버튼을 누르면 html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해당 html파일이 티들리위키의 모든 것입니다. 일반적인 DOCX문서를 편집하듯 새로운 문서를 만들고 편집하세요. '''모든 작업이 끝난 다음 저장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html파일이 통째로 다시 저장됩니다.''' 원하는 모든 작업을 끝마친 새로운 html파일을 'var/www/html'으로 이동시키고, 기존의 파일을 지운 뒤 내 html 파일 이름을 index.html으로 바꿔보세요.


단일 html파일만으로 검색과 다중 창 기능을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동시에 위키의 정의<ref>아무나 열람 가능하며 아무나 편집 가능한 인터넷 백과사전</ref>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또한 위키가 단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 있기에, 문서의 갯수가 늘어날 수록 한번의 접속에 로드해야할 데이터의 양 또한 비례하여 많아진다는 점을 유념하세요. 데이터 네트워크로 접속할 경우, 전체 문서의 갯수가 한번에 닳는 데이터의 양과 동일합니다!
단일 html파일만으로 검색과 다중 창 기능을 지원하는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지만, 동시에 위키위키의 정의<ref>아무나 열람 가능하며 아무나 편집 가능한 인터넷 백과사전</ref>에서 벗어나 있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또한 위키가 단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 있기에, 문서의 갯수가 늘어날 수록 한번의 접속에 로드해야할 데이터의 양 또한 비례하여 많아진다는 점을 유념하세요. 데이터 네트워크로 접속할 경우, 전체 문서의 갯수가 한번에 닳는 데이터의 양과 동일합니다!


=== 능동형 광고 차단 서버로 만들어보기 ===
=== 능동형 광고 차단 서버로 만들어보기 ===
{{YouTube|KBXTnrD_Zs4|700|400}}
{{YouTube|KBXTnrD_Zs4|700|400}}
자료 출처 : [https://linustechtips.com/main/topic/1094810-pi-hole-setup-tutorial/]
자료 출처 : [[https://linustechtips.com/main/topic/1094810-pi-hole-setup-tutorial/]]
<br />
<br />
'''1'''. 라즈베리파이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erry-pi-os/ 공식 홈페이지]에서 라즈비안 '''라이트'''를 다운로드받으세요.<br />
'''1'''. 라즈베리파이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raspberry-pi-os/ 공식 홈페이지]에서 라즈비안 '''라이트'''를 다운로드받으세요.<br />
212번째 줄: 240번째 줄:
<syntaxhighlight>wget -O basic-install.sh https://install.pi-hole.net
<syntaxhighlight>wget -O basic-install.sh https://install.pi-hole.net
sudo bash basic-install.sh</syntaxhighlight>
sudo bash basic-install.sh</syntaxhighlight>
[[파일:T0DHzHo.png|500px]]<br />
[[File:T0DHzHo.png|500px]]<br />
'''5'''. 위의 이미지와 같은 창이 출력되면 'Choose An Interface' 라는 창이 나올 때까지 Enter을 누릅니다. <br />
'''5'''. 위의 이미지와 같은 창이 출력되면 'Choose An Interface' 라는 창이 나올 때까지 Enter을 누릅니다. <br />
'''6'''. 이더넷을 사용하면 'eth0'을,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wlan0'을 선택합니다.<br />
'''6'''. 이더넷을 사용하면 'eth0'을,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wlan0'을 선택합니다.<br />
234번째 줄: 262번째 줄:
마치 아두이노같이 라즈베리파이도 전 모델에 걸쳐 입출력 외부 핀이 존재해요. 이를 통해 다양한 회로 조작이나, 더 큰 기계장치의 중앙 컴퓨터 역할을 해낼 수도 있습니다.  
마치 아두이노같이 라즈베리파이도 전 모델에 걸쳐 입출력 외부 핀이 존재해요. 이를 통해 다양한 회로 조작이나, 더 큰 기계장치의 중앙 컴퓨터 역할을 해낼 수도 있습니다.  


 
== 각주 ==
[[분류:리브레 시리즈]]
[[분류:리브레 시리즈]]
[[분류:싱글 보드 컴퓨터]]
[[분류:싱글 보드 컴퓨터]]
{{주석}}
{{리브레 시리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