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라즈베리파이 입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0번째 줄: 50번째 줄:
'''5''' [https://github.com/andreiw/RaspberryPiPkg/archive/master.zip 이 링크]를 눌러 UEFI 바이너리 정보 파일을 설치한 후 압축을 해제시켜주세요.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SD카드를 윈도우 부팅 드라이브 로 인식시키도록 설정해줍니다.<br />
'''5''' [https://github.com/andreiw/RaspberryPiPkg/archive/master.zip 이 링크]를 눌러 UEFI 바이너리 정보 파일을 설치한 후 압축을 해제시켜주세요. 이 파일은 라즈베리파이가 SD카드를 윈도우 부팅 드라이브 로 인식시키도록 설정해줍니다.<br />
'''6'''. 3에서 받은 파일 안에 들어있는 '''WoR.exe'''를 찾아 실행시켜주세요. <br />
'''6'''. 3에서 받은 파일 안에 들어있는 '''WoR.exe'''를 찾아 실행시켜주세요. <br />
[[파일:120.JPG|600px]]<br />
[[File:120.JPG|600px]]<br />
'''7'''.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한국어를 지원합니다!) SD카드<ref>최소 8GB가 필요합니다.</ref>를 선택한 후, 1에서 다운로드한 윈도우 10 '''ISO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약간의 시간이 경과되면 ISO를 찾아냈다는 문구가 표시됩니다.<br />
'''7'''.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한국어를 지원합니다!) SD카드<ref>최소 8GB가 필요합니다.</ref>를 선택한 후, 1에서 다운로드한 윈도우 10 '''ISO 파일'''을 선택해주세요. 약간의 시간이 경과되면 ISO를 찾아냈다는 문구가 표시됩니다.<br />
'''8'''. Select Driver는 2에서 설치한 ZIP파일을 선택하고, UEFI Firmware는 5에서 설치한 파일 안으로 들어가 Binary 파일 속의 Prebuilt를 선택해줍니다. 이 파일에 들어있는 수많은 파일들 중 최신 파일의 RELEASE 파일 속에 있는 '''RPI_EFI.fd'''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br />
'''8'''. Select Driver는 2에서 설치한 ZIP파일을 선택하고, UEFI Firmware는 5에서 설치한 파일 안으로 들어가 Binary 파일 속의 Prebuilt를 선택해줍니다. 이 파일에 들어있는 수많은 파일들 중 최신 파일의 RELEASE 파일 속에 있는 '''RPI_EFI.fd'''파일을 선택해주면 됩니다.<br />
56번째 줄: 56번째 줄:
'''10'''. 설치와 관련된 경고에 동의하고 상당히 긴 시간을 기다려야합니다. 30%에서 멈춘다 해도 당황하지 마세요.<br />
'''10'''. 설치와 관련된 경고에 동의하고 상당히 긴 시간을 기다려야합니다. 30%에서 멈춘다 해도 당황하지 마세요.<br />
'''11'''. 설치가 완료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부팅할 때 ESC를 연타하여 BIOS 메뉴에 접근해주세요.<br />
'''11'''. 설치가 완료된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넣고 부팅할 때 ESC를 연타하여 BIOS 메뉴에 접근해주세요.<br />
[[파일:45021.JPG|500px]]<br />
[[File:45021.JPG|500px]]<br />
'''12'''. '''Device Mannager'''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의 '''HypDxe Configuration'''에서 '''System Boot Mode'''를 '''<Boot in EL1>'''으로 변경시켜주세요. 뒤로 한번 나와 '''System Frequencies and Clocks'''를 선택한 후, CPU Clock을 <MAX>로 바꿔주세요. 이 작업이 없으면 최초 부팅에 최대 1시간이 더 소모될 수 있습니다.<br />
'''12'''. '''Device Mannager''' > '''Raspberry Pi Configuration'''의 '''HypDxe Configuration'''에서 '''System Boot Mode'''를 '''<Boot in EL1>'''으로 변경시켜주세요. 뒤로 한번 나와 '''System Frequencies and Clocks'''를 선택한 후, CPU Clock을 <MAX>로 바꿔주세요. 이 작업이 없으면 최초 부팅에 최대 1시간이 더 소모될 수 있습니다.<br />
'''13'''. BIOS 메뉴의 첫 화면으로 나와 '''Continue'''에서 Enter키를 누르세요. 진행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기 전에 '''모든 라즈베리파이와 연결된 USB포트를 분리시키세요.''' 이 절차가 없을 경우 설정에 문제를 끼치거나 외부 버스와 관련된 IO가 통째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br />
'''13'''. BIOS 메뉴의 첫 화면으로 나와 '''Continue'''에서 Enter키를 누르세요. 진행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기 전에 '''모든 라즈베리파이와 연결된 USB포트를 분리시키세요.''' 이 절차가 없을 경우 설정에 문제를 끼치거나 외부 버스와 관련된 IO가 통째로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br />
68번째 줄: 68번째 줄:
우선 갖고있는 라즈베리파이가 1이나 2일 경우, 윈도우를 통해 부팅할 수 있는 방법은 윈도우10 IOT 코어를 설치하는 것 뿐이에요. 그러나 이 버전은 IOT 환경 개발자들을 위해 만든 것인만큼, 데스크톱 사용 목적에는 부적합해요.
우선 갖고있는 라즈베리파이가 1이나 2일 경우, 윈도우를 통해 부팅할 수 있는 방법은 윈도우10 IOT 코어를 설치하는 것 뿐이에요. 그러나 이 버전은 IOT 환경 개발자들을 위해 만든 것인만큼, 데스크톱 사용 목적에는 부적합해요.


[[파일:deviceinfopage-screenshot.jpg|500px]]
[[File:deviceinfopage-screenshot.jpg|500px]]


윈도우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윈도우를 가상화시켜 사용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https://eltechs.com/virtualbox-raspberry-pi/ 유료로 진행되던 서비스]가 공식 종료됐고, wine을 시용할 수 있는 방법이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124353 전멸했다 시피 하기 때문에] 더이상은 정상적인 방법을 얻는 것조차 힘들어졌어요. 우분투 마테의 경우 wine을 설치할 수 있긴 하지만, 작동하는 방식이 전혀 달라서 [[x86]]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윈도우를 직접 사용하는 대신, 윈도우를 가상화시켜 사용할 수는 있어요. 하지만 [https://eltechs.com/virtualbox-raspberry-pi/ 유료로 진행되던 서비스]가 공식 종료됐고, wine을 시용할 수 있는 방법이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124353 전멸했다 시피 하기 때문에] 더이상은 정상적인 방법을 얻는 것조차 힘들어졌어요. 우분투 마테의 경우 wine을 설치할 수 있긴 하지만, 작동하는 방식이 전혀 달라서 [[x86]]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요.
82번째 줄: 82번째 줄: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의 안내를 참고하는 걸 추천해요. ''Raspberry Pi Imager for Windows''를 설치하면, 따로 받을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바로 다운로드하고. SD카드에 쓰는 것 까지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https://www.raspberrypi.org/downloads/ 라즈베리파이 홈페이지]의 안내를 참고하는 걸 추천해요. ''Raspberry Pi Imager for Windows''를 설치하면, 따로 받을 필요 없이 프로그램을 통해 디스크 이미지를 인터넷에서 바로 다운로드하고. SD카드에 쓰는 것 까지 한번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파일:658402.JPG|500px]]<br />
[[File:658402.JPG|500px]]<br />
<small>다양한 OS들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선택할 수 있어요</small>
<small>다양한 OS들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 없이 바로 선택할 수 있어요</small>


90번째 줄: 90번째 줄:
'''2'''. 원하는 OS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주세요.<br />
'''2'''. 원하는 OS의 디스크 이미지를 다운로드 해주세요.<br />
'''3'''. SD카드를 컴퓨터에 마운트하고 드라이브 문자열을 확인해주세요.<br />
'''3'''. SD카드를 컴퓨터에 마운트하고 드라이브 문자열을 확인해주세요.<br />
[[파일:5.36210.JPG|500px]]<br />
[[File:5.36210.JPG|500px]]<br />
<small>Win32 Disk Imager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와요</small><br />
<small>Win32 Disk Imager을 실행하면 이런 화면이 나와요</small><br />
'''4'''. Device 부분에 해당하는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해주세요.<br />
'''4'''. Device 부분에 해당하는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해주세요.<br />
212번째 줄: 212번째 줄:
<syntaxhighlight>wget -O basic-install.sh https://install.pi-hole.net
<syntaxhighlight>wget -O basic-install.sh https://install.pi-hole.net
sudo bash basic-install.sh</syntaxhighlight>
sudo bash basic-install.sh</syntaxhighlight>
[[파일:T0DHzHo.png|500px]]<br />
[[File:T0DHzHo.png|500px]]<br />
'''5'''. 위의 이미지와 같은 창이 출력되면 'Choose An Interface' 라는 창이 나올 때까지 Enter을 누릅니다. <br />
'''5'''. 위의 이미지와 같은 창이 출력되면 'Choose An Interface' 라는 창이 나올 때까지 Enter을 누릅니다. <br />
'''6'''. 이더넷을 사용하면 'eth0'을,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wlan0'을 선택합니다.<br />
'''6'''. 이더넷을 사용하면 'eth0'을,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wlan0'을 선택합니다.<br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