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오스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tonecold 1 full.png|섬네일|WWE 공식 프로필 사진.]]
[[파일:Stonecold 1 full.png|섬네일]]


{{인용문|오스틴 3장 16절 가라사대, 난 그저 니 궁뎅이를 걷어찼을지어다!}}
{{인용문|오스틴 3장 16절 가라사대, 난 그저 니 궁뎅이를 차버렸을 뿐이다!}}


{{인용문|그리고 그게 결론이다 왜냐면 스톤 콜드가 그랬으니까!}}
{{인용문|그리고 그게 결론이다 왜냐면 스톤 콜드가 말했으니까!}}


'''스티브 오스틴'''(Steve Austin, 1964년 12월 18일~ )은 [[미국]]의 배우, 프로듀서, 전() 프로레슬러이다. 그는 [[WWE]] 최고의 전성기 애티튜드 시대의 양대 산맥으로 손꼽히는 전설적인 프로 레슬러이며 스톤 콜드라는 예명으로 활동해왔고 지금까지도 스톤 콜드로 불리운다. 텍사스의 방울뱀이라는 이명으로도 유명하다.
스티브 오스틴은 1964년 12월 18일 생으로 [[미국]]의 배우, 프로듀서, 前 프로레슬러이다. 그는 WWE 최고의 전성기 애티튜드 시대의 양대산맥으로 손꼽히는 전설적인 프로레슬러이며 스톤 콜드라는 예명으로 활동해왔고 지금 까지도 스톤 콜드로 불리운다.


1989년에 프로 레슬링에 입문하여 1996년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부터 악역으로 활동한 이후 권선 징악의 범주를 벗어난 채 마음에 들지 않으면 중지를 보이고 스터너를 날리며 게걸스럽게 맥주캔을 따서 마셔대는 걸로 마무리지으며 박력이 넘치는 막가파 캐릭터를 구축해 왔다. 선역 악역 가리지 않고 이 캐릭터 기믹을 바탕으로 그는 WWE의 최고 전성기 애티튜드 시절의 처음과 마지막을 이끌어왔으며, 반 장애인의 몸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명경기를 배출해내 왔다.
1989년에 프로레슬링에 입문하여 1996년 킹 오브 더 링 토너먼트 부터 폭력적인 언행, 기절하고 장애인이 된다 해도 항복하지 않는 프로의식, 맥주쇼, 방울뱀을 트레이드 마크로 삼으며 대중적인 인기를 끌어왔으며, 선악 가리지 않고 히어로 때나 빌런 때나 상관없이 이 기믹을 사용해왔다. 그래서 선역 시절 땐 악역스러운 행위를 저지르는 막가파적인 행보로 유명하였다.


== 유년기 ==
== 유년기 ==
13번째 줄: 13번째 줄:


== 프로레슬링 경력 ==
== 프로레슬링 경력 ==
=== 데뷔 전 ===
화물 부두의 트럭에서 짐을 오르내리고 지게차를 모는 등 하역장 노동자로 일하였으나 댈러스 스포테토리움에서 크리스 애덤스에게 훈련을 받고 1989년 본명인 스티브 윌리엄스란 이름으로 USWA 소속으로 데뷔했다. 당시 관계자는 경기들어가기 몇 분 전에야 이름이 故 스티브 윌리엄스의 링네임과 동일하다는 것을 깨닫고 스티브 오스틴으로 링네임을 바꾸기를 요구했다. 그러나 스티브 오스틴이라는 이름은 [[600만불의 사나이]]의 주인공 스티브 오스틴 이름과 비슷했고 오스틴은 이를 거절하자 "싫으면 경기 시작 전까지 니가 이름 만들어 오던가"라는 말에 결국 스티브 오스틴이라는 링네임을 받아들였다.


=== USWA ===
== 출연작 ==
텍사스, 테네시 등의 지역에서 궁핍한 사정에도 불구하고 USWA가 주최하는 경기를 해내면서 차근차근 경험을 쌓아나갔다. 당시 그의 경기들은 남들이 보기엔 최악이었으며 빌 데못은 거위 똥 만큼이나 새파랬다고 평가헸다. 그러나 오스틴 제 딴에는 심오한 심리전, 방대한 레슬링 지식, 헤아릴 수 없는 운동 능력 등을 조합한 명경기로 관중들을 열광시켰다고 생각했었단다. (...) 결국 그 지역 부커인 더치 맨틀에게 욕을 오지게 먹고 값진 조언을 얻은 뒤에야 깨우침을 얻고 각성하였다. 오스틴은 훗날 자서전에서 당시 자신을 바보였다고 회고하며 자신을 씹어준 맨틀에게 감사함을 표하였다.
=== [[WCW]] ===
* 브라이언 필맨과 헐리우드 블론즈<ref>이 때는 대머리가 아니었다.</ref>라는 태그 팀으로 활동했다. 태그팀 챔피언이 되기도 했다.
* 이후 WCW TV 챔피언이 되기도 했다.
* 이후 WCW U. S 챔피언이 되기도 했다.
* 이후 핵소 짐 더간에게 WCW U. S 챔피언을 뺏긴다.


=== ECW ===
== 개인사 ==
폴 헤이먼의 도움으로 잠시 활약했다.
=== WWE ===
==== -1997년 ====
* [[WWF 로얄럼블 (1996)]]에 24번으로 출전했으나 파투에 탈락되었다.
* [[WWF 킹 오브 더 링 (1996)]]에서 마크 메로와 토너먼트 세미 파이널을, 제이크 로버츠와 파이널을 가졌다.
* [[WWF 인 유어 하우스 11]]에서 [[트리플 H]]와 경기했다.
{{youtube|8J67zi_RSk8}}
* [[WWF 로얄럼블 (1997)]]의 30인 로얄럼블 경기에 5번으로 출전하여 10명을 탈락시키며 우승했다.
* [[WWF 킹 오브 더 링 (1997)]]에서 숀 마이클스와 경기했다.
{{youtube|YmQhiLpfYFM}}
* 이후 [[WWF 섬머슬램 (1997)]]에서 오웬 하트를 꺾고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이 되었으나 이 경기에서 입은 목부상으로 벨트를 반납했다.
* [[WWF 서바이버 시리즈 (1997)]]에서 오웬 하트를 꺾고 다시 챔피언이 되었다.
* 이후 [[더 락]]에게 벨트를 내주었다.
 
==== 1998년- ====
* [[WWF 로얄럼블 (1998)]]에서 6명을 탈락시키며 우승했다.
* [[WWF 레슬매니아 14]]에서 숀 마이클스에게 이기며 [[WWE 챔피언|WWF 챔피언]]이 되었다.
* [[WWF 메이햄 인 맨체스터 (1998)]]에서 트리플 H와 WWF 챔피언십을 가졌다.
* [[WWF 킹 오브 더 링 (1998)]]에서 [[케인 (프로레슬러)|케인]]과의 퍼스트 블러드 매치에서 [[언더테이커]]의 방해로 벨트를 내주었다.
* 다음 날 RAW에서 다시 벨트를 탈환했다.
* [[WWF 인 유어 하우스 24]]에서 케인, 언더테이커와 트리플 쓰렛 매치를 가지면서 벨트를 다시 잃었다.
* [[WWF 로얄럼블 (1999)]]에 1번으로 출전했으나 빈스 맥맨에 탈락되었다.
* [[WWF 레슬매니아 15]]에서 더 락에게 승리하며 다시 챔피언이 되었다.
* [[WWF 오버 디 엣지 (1999)]]에서 [[셰인 맥맨]]의 방해로 언더테이커에게 벨트를 내주었다.
* [[WWF 킹 오브 더 링 (1999)]]다음 날 RAW에서 다시 챔피언이 되었다.
* [[WWF 섬머슬램 (1999)]]에서 맨카인드에게 벨트를 내주었다.
* [[WWF 노 머시 (1999)]]에서 트리플 H와 WWF 챔피언십 노 홀즈 바드 매치를 가졌다.
* [[WWF 로얄럼블 (2001)]]에 27번으로 출전하여 우승했다.
* [[WWF 노 웨이 아웃 (2001)]]에서 트리플 H와 쓰리 스테이지즈 오브 헬 매치를 가졌다.
{{youtube|GQEXI5B32cY}}
* [[WWF 레슬매니아 17]]의 No DQ 매치에서 더 락에게 승리하며 다시 챔피언이 되었다.
* [[WWF 백 래쉬 (2001)]]에서 트리플 H와 함께 파괴의 형제를 물리치고 WWF 태그팀 챔피언까지 차지했다.
* 이후 [[크리스 제리코]], [[크리스 벤와]]에게 태그팀 벨트를 내주었다.
* [[WWF 인베이전 (2001)]]에서 팀 WWF로 참가했지만 팀 얼라이언스에게 패했다.
* [[WWF 언포기븐 (2001)]]에서 [[커트 앵글]]에게 WWE 챔피언 벨트를 내주었다.
* 10월 8일 RAW에서 윌리엄 리걸 덕분에 다시 챔피언이 되었다.
* [[WWF 벤전스 (2001)]]에서 [[부커 T]]의 난입으로 크리스 제리코에게 통합 챔피언 자리를 내주었다.
* [[WWF 로얄럼블 (2002)]]에 19번으로 출전했으나 커트 앵글에 탈락되었다.
* 2009년 [[WWE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WWE 레슬매니아 38]]에서 케빈 오웬스와 경기했다.
 
== 통산 업적 ==
* TWF 태그 팀 챔피언 1회
* NWA 월드 태그 팀 챔피언 1회
*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십|WCW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 WCW 월드 텔레비전 챔피언 2회
* WCW 월드 태그 팀 챔피언 1회
* [[WWE 챔피언십|WWF 챔피언]] 6회
* [[WWE 인터컨티넨탈 챔피언십|WWF 인터컨티넨탈 챔피언]] 2회
* WWF 태그 팀 챔피언 4회
* 밀리언 달러 챔피언 1회
* WWF 킹 오브 더 링 우승 (1996)
* WWF 로얄 럼블 우승 (1997, 1998, 2001)
* [[WWE 명예의 전당]] (2009)


== 출연작 ==
== 기타 ==


== 개인사 ==
[[분류:배우]]
[[분류:미국의 배우]][[분류:미국의 프로레슬러]]
[[분류:텍사스주 출신]]
[[분류:1989년 데뷔]][[분류:독일계 미국인]]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