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워즈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58번째 줄: 58번째 줄:
* [[스타워즈 반란군|반란군]]
* [[스타워즈 반란군|반란군]]
: 클론 전쟁의 뒤를 이은 후속작. 감독은 여전히 [[데이브 필로니]]. 에피소드 3과 4 사이에서 [[은하제국]]의 태동기를 다룬다. 이 작품 역시 디즈니가 공식으로 인정한 캐넌이다.
: 클론 전쟁의 뒤를 이은 후속작. 감독은 여전히 [[데이브 필로니]]. 에피소드 3과 4 사이에서 [[은하제국]]의 태동기를 다룬다. 이 작품 역시 디즈니가 공식으로 인정한 캐넌이다.
* [[스타워즈 저항군|저항군]]
* [[스타워즈 저항군|저항군]]
: 미국에서 2018년 10월부터 방영할 예정이다. 데이브 필로니가 기획하였고 제작책임자로 참여하였다. [[제다이의 귀환]]에서 몇십 년 후이자 [[깨어난 포스]]에서 몇 달 전을 배경으로 한다.
: 미국에서 2018년 10월부터 방영할 예정이다. 데이브 필로니가 기획하였고 제작책임자로 참여하였다. [[제다이의 귀환]]에서 몇십 년 후이자 [[깨어난 포스]]에서 몇 달 전을 배경으로 한다.
81번째 줄: 82번째 줄:
=== [[레고 스타워즈]] ===
=== [[레고 스타워즈]] ===
* 블럭 완구의 대명사, [[레고]] 역시 조지 루카스 시절부터 꾸준히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스타워즈 관련 블록을 출시하고 있다. 이런 관계는 디즈니가 스타워즈를 인수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라이센스 비용의 영향으로 상당한 고가에 출시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UCS라 부르는 수천개의 블럭으로 구성된 한정판도 꾸준히 출시하고 있으며, UCS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엄청난 고가(100만원을 가볍게 뛰어넘는 모델도 존재)로 출시되지만 한정판이라는 희소성 및 두터운 팬심의 영향으로 상당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또한 UCS중 팬덤의 인기가 높은 특정 모델들([[밀레니엄 팰콘]]이라던가..)을 출시 직후에 구매하고 미개봉 상태로 몇년 묵혀두었다가 해당 모델이 단종되면 정가를 뛰어넘는 프리미엄을 붙여서 재판매를 하는 이른바 레고 재테크가 이뤄지기도 한다.
* 블럭 완구의 대명사, [[레고]] 역시 조지 루카스 시절부터 꾸준히 라이센스 계약을 맺고 스타워즈 관련 블록을 출시하고 있다. 이런 관계는 디즈니가 스타워즈를 인수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라이센스 비용의 영향으로 상당한 고가에 출시되는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또한 UCS라 부르는 수천개의 블럭으로 구성된 한정판도 꾸준히 출시하고 있으며, UCS 시리즈는 기본적으로 엄청난 고가(100만원을 가볍게 뛰어넘는 모델도 존재)로 출시되지만 한정판이라는 희소성 및 두터운 팬심의 영향으로 상당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또한 UCS중 팬덤의 인기가 높은 특정 모델들([[밀레니엄 팰콘]]이라던가..)을 출시 직후에 구매하고 미개봉 상태로 몇년 묵혀두었다가 해당 모델이 단종되면 정가를 뛰어넘는 프리미엄을 붙여서 재판매를 하는 이른바 레고 재테크가 이뤄지기도 한다.
*단편 영화
*단편 영화
**Lego Star Wars: Revenge of the Brick
**Lego Star Wars: Revenge of the Brick
106번째 줄: 108번째 줄:


=== 방대한 설정 ===
=== 방대한 설정 ===
{{참고|확장 세계관}}
{{참조|확장 세계관}}
스타워즈의 설정은 실로 [[크고 아름답다]]. 원작자인 루카스의 머릿속에서 나온 설정들 외에도 워낙 전세계적인 팬들의 지지를 받다 보니 루카스필름의 허가를 받고 전문 작가가 집필한 각종 외전, 그래픽 노블 등이 발간되었고, 이 설정은 [[확장 세계관]](Expanded Universe, 줄여서 EU)이라 불렸다.
스타워즈의 설정은 실로 [[크고 아름답다]]. 원작자인 루카스의 머릿속에서 나온 설정들 외에도 워낙 전세계적인 팬들의 지지를 받다 보니 루카스필름의 허가를 받고 전문 작가가 집필한 각종 외전, 그래픽 노블 등이 발간되었고, 이 설정은 [[확장 세계관]](Expanded Universe, 줄여서 EU)이라 불렸다.


122번째 줄: 124번째 줄:


=== 독특한 [[클리셰]] ===
=== 독특한 [[클리셰]] ===
{{참고|스타워즈/클리셰}}
{{참조|스타워즈/클리셰}}
스타워즈 시리즈를 통틀어 특정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는 [[클리셰]]가 상당히 많다. 유명한 대사라던가, 특정한 행동이라던가.. 오히려 이런 부분을 눈여겨보는 팬들도 존재할 정도로 영화속 잔재미가 충분하다.
스타워즈 시리즈를 통틀어 특정 상황에서 자주 등장하는 [[클리셰]]가 상당히 많다. 유명한 대사라던가, 특정한 행동이라던가.. 오히려 이런 부분을 눈여겨보는 팬들도 존재할 정도로 영화속 잔재미가 충분하다.


141번째 줄: 143번째 줄:
== 극장판 재개봉 ==
== 극장판 재개봉 ==
=== 스페셜 에디션 ===
=== 스페셜 에디션 ===
{{참고|스타워즈 스페셜 에디션}}
{{참조|스타워즈 스페셜 에디션}}


[[1997년]] 1월부터 3월까지 순차적으로 에피소드 4, 5, 6을 재개봉했다. 이는 [[1999년]] 개봉될 [[프리퀄]] [[트릴로지]]의 1편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협|에피소드 1]]의 개봉을 염두에 두고 [[클래식]] [[트릴로지]] 전편에 대해 대대적인 디지털 보정 및 CG 추가 등을 거친 것이다. 다소 고전적인 클래식 3부작의 때깔은 현대적으로 깔끔하게 보정한 것. 몇몇 장면은 대대적인 CG 추가로 원작을 뒤엎는 수준으로 변모한 부분도 있고, 아예 새로운 시퀀스를 추가해 러닝타임이 약간 늘어나기도 했다. 재개봉이라 흥행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아서인지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월부터 개봉했으나 스타워즈 팬덤의 미칠듯한 화력앞에 에피소드 4편이 재개봉 수입만 1억 4천만 달러를 쓸어담으면서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다.
[[1997년]] 1월부터 3월까지 순차적으로 에피소드 4, 5, 6을 재개봉했다. 이는 [[1999년]] 개봉될 [[프리퀄]] [[트릴로지]]의 1편인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협|에피소드 1]]의 개봉을 염두에 두고 [[클래식]] [[트릴로지]] 전편에 대해 대대적인 디지털 보정 및 CG 추가 등을 거친 것이다. 다소 고전적인 클래식 3부작의 때깔은 현대적으로 깔끔하게 보정한 것. 몇몇 장면은 대대적인 CG 추가로 원작을 뒤엎는 수준으로 변모한 부분도 있고, 아예 새로운 시퀀스를 추가해 러닝타임이 약간 늘어나기도 했다. 재개봉이라 흥행에 큰 기대를 하지 않아서인지 상대적으로 비수기인 1월부터 개봉했으나 스타워즈 팬덤의 미칠듯한 화력앞에 에피소드 4편이 재개봉 수입만 1억 4천만 달러를 쓸어담으면서 건재함을 과시하기도 했다.


=== 3D 재개봉 ===
=== 3D 재개봉 ===
[[2012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협|에피소드 1]]이 3D 입체로 재개봉 되었다. 기존에 촬영본은 2D 화면이라 입체 컨버팅 방식으로 재작되었다.<ref>아무래도 [[타이타닉 (영화)|타이타닉]]이 3D로 재개봉해 괜찮은 평가를 받았던 것에 자극받아 라이벌 의식이 어느 정도는 재개봉에 영향을 줬을 것이다.</ref> 당시 [[루카스필름]]의 발표로는 [[2012년]] 에피소드 1을 시작으로 매년마다 순차적으로 모든 에피소드를 3D 입체로 재개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불과 1년도 못채우고(...) 루카스필름이 디즈니에 매각되면서 이 계획은 휴지조각이 되버렸다. 루카스필름을 인수한 디즈니는 과감히 3D 재개봉을 폐기한 뒤 새로운 [[시퀄]] 3부작을 제작한다고 발표했다.
[[2012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협|에피소드 1]]이 3D 입체로 재개봉 되었다. 기존에 촬영본은 2D 화면이라 입체 컨버팅 방식으로 재작되었다.<ref>아무래도 [[타이타닉 (영화)|타이타닉]]이 3D로 재개봉해 괜찮은 평가를 받았던 것에 자극받아 라이벌 의식이 어느 정도는 재개봉에 영향을 줬을 것이다.</ref> 당시 [[루카스필름]]의 발표로는 [[2012년]] 에피소드 1을 시작으로 매년마다 순차적으로 모든 에피소드를 3D 입체로 재개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는데 불과 1년도 못채우고(...) 루카스필름이 디즈니에 매각되면서 이 계획은 휴지조각이 되버렸다. 루카스필름을 인수한 디즈니는 과감히 3D 재개봉을 폐기한 뒤 새로운 [[시퀄]] 3부작을 제작한다고 발표했다.  


== 홈 미디어 ==
== 홈 미디어 ==
158번째 줄: 160번째 줄:


=== [[블루레이]] ===
=== [[블루레이]] ===
{{참고|스타워즈 블루레이}}
{{참조|스타워즈 블루레이}}


[[2011년]], 대망의 스타워즈 전편 블루레이 박스셋이 발매되었다!! 블루레이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1080P의 쩌는 화질과 빵빵한 사운드가 접목되어 [[홈시어터]]를 구비한 팬들에겐 더없이 좋은 선물이었다. 루카스옹의 의지가 반영되어 클래식 트릴로지의 경우 스페셜 에디션판에서 수정된 장면을 다시 손보는 등 소소한 변화가 가해졌다. 국내 발매된 박스셋은 한 가지 문제점이 있었는데 바로 9장이나 되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부실한 플라스틱 트레이에 묶어놓았다는 것. 접착면이 약해서 금방 찢어지는 등 불상사가 일어나 많은 팬들의 원성을 샀다. 일부 팬들은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가 없어|내 스타워즈 블루레이가 이렇게 허술할 리 없어]]를 외치며 눈물을 머금고 미국판 직구를 단행하거나 DVD 박스셋을 사서 내용물을 바꿔치기 한다거나 등등 눈물나는 스토리가 이어졌다.
[[2011년]], 대망의 스타워즈 전편 블루레이 박스셋이 발매되었다!! 블루레이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1080P의 쩌는 화질과 빵빵한 사운드가 접목되어 [[홈시어터]]를 구비한 팬들에겐 더없이 좋은 선물이었다. 루카스옹의 의지가 반영되어 클래식 트릴로지의 경우 스페셜 에디션판에서 수정된 장면을 다시 손보는 등 소소한 변화가 가해졌다. 국내 발매된 박스셋은 한 가지 문제점이 있었는데 바로 9장이나 되는 블루레이 디스크를 부실한 플라스틱 트레이에 묶어놓았다는 것. 접착면이 약해서 금방 찢어지는 등 불상사가 일어나 많은 팬들의 원성을 샀다. 일부 팬들은 [[내 여동생이 이렇게 귀여울리가 없어|내 스타워즈 블루레이가 이렇게 허술할 리 없어]]를 외치며 눈물을 머금고 미국판 직구를 단행하거나 DVD 박스셋을 사서 내용물을 바꿔치기 한다거나 등등 눈물나는 스토리가 이어졌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