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누 스타리그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닉스타리그|10}}
{{소닉스타리그|10}}
[[파일:46819244.jpg]]


== 개요 ==
== 개요 ==


[[스베누]]에서 후원하고 [[온게임넷]]에서 주관하는 [[스타크래프트]] 게임 리그다. [[아프리카TV]]의 BJ인 [[소닉]]이 온라인으로 꾸준히 열던 [[소닉 스타리그]]가 스폰서를 찾다찾다 결국 자신이 운영하는 신발회사인 [[스베누]]가 후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으로 경기를 하게 되었는데 그 방송사가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크래프트]]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롤이 대세가 된 [[온게임넷|롤게임넷]]판에서 정말 단비같은 소식이었다.
[[스베누]]에서 후원하고 [[온게임넷]]에서 주관하는 [[스타크래프트]] 게임 리그를 일컷는다. [[아프리카TV]]의 BJ인 [[소닉]]이 온라인으로 꾸준히 열던 [[소닉 스타리그]]가 스폰서를 찾다찾다 결국 자신이 운영하는 신발회사인 [[스베누]]가 후원하게 되었다. 그리고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으로 경기를 하게 되었는데 그 방송사가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크래프트]]가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롤이 대세가 된 [[온게임넷|롤게임넷]]판에서 정말 단비같은 소식이었다.


아마추어 선수 육성에 힘을 쓰던 [[소닉]]은 이번 리그에서 아마추어 선수들 128명을 대상으로 예선전을 치워 32강에 참여할 선수 한명을 뽑았는데 1/128을 뚫은 그 선수가 [[김상곤]]선수였다.
아마추어 선수 육성에 힘을 쓰던 [[소닉]]은 이번 리그에서 아마추어 선수들 128명을 대상으로 예선전을 치워 32강에 참여할 선수 한명을 뽑았는데 1/128을 뚫은 그 선수가 [[김상곤]]선수였다.


[[2014년]] [[12월 21일]] 듀얼토너먼트를 진행할 32명의 선수와 중계진이 [[온게임넷]]을 통해서 소개되었다. 중계진은 [[정소림]]케스터와 [[김태형 (해설)|김태형]]해설, [[김정민]]해설이다. [[김정민|김]][[김태형 (해설)|캐]][[정소림|림]]조합이라 불린다. [[2014년]] [[12월 24일]] 듀얼토너먼트를 시작으로 [[2015년]] [[2월 15일]] [[온게임넷 스타리그|예전 브루드워로 펼쳐진 마지막 스타리그]]가 열린 잠실 종합 운동장에서 결승전까지 진행하였다.
{{날짜/출력 | 2014-12-21}} 듀얼토너먼트를 진행할 32명의 선수와 중계진이 [[온게임넷]]을 통해서 소개되었다. 중계진은 [[정소림]]케스터와 [[김태형 (해설)|김태형]]해설, [[김정민]]해설이다. [[김정민|김]][[김태형 (해설)|캐]][[정소림|림]]조합이라 불린다. {{날짜/출력 | 2014-12-24}} 듀얼토너먼트를 시작으로 {{날짜/출력 | 2015-2-15}} [[온게임넷 스타리그|예전 브루드워로 펼쳐진 마지막 스타리그]]가 열린 잠실 종합 운동장에서 결승전까지 진행하였다.


== 게임 방식 ==
== 게임 방식 ==


32명의 선수들이 조 추점을 해서 4명이 한 조가 되어 32강 듀얼토너먼트를 치뤄서 16강 본선으로 진출한다. 32강에서는 각 조마다 지난 리그<ref>[[소닉 스타리그]] 9차</ref>의 8강 진출자 7명<ref>지난 시즌 8강에 진출했던 [[김택용]]은 이번에 출전하지 않았다</ref>이 시드를 받아서 각 한 조에 배정받고, 시드를 받은 선수는 처음 게임을 진행할 상대선수를 지목할 수 있다. 그 뒤, 4명의 조로 나눠서 조별 리그를 통해 8강 진출을 가려내고<ref>기존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에서 하던 방식</ref>, 8강은 3전 2선승, 4강 이후는 5전3선승이다.
32명의 선수들이 조 추점을 해서 4명이 한 조가 되어 32강 듀얼토너먼트를 치뤄서 16강 본선으로 진출한다. 32강에서는 각 조마다 지난 리그<ref>[[소닉 스타리그]] 9차</ref>의 8강 진출자 7명<ref>지난 시즌 8강에 진출했던 있었던 [[김택용]]은 이번에 출전하지 않았다</ref>이 시드를 받아서 각 한 조에 배정받고, 시드를 받은 선수는 처음 게임을 진행할 상대선수를 지목할 수 있다. 그 뒤, 4명의 조로 나눠서 조별 리그를 통해 8강 진출을 가려내고<ref>기존 [[온게임넷 스타리그|스타리그]]에서 하던 방식</ref>, 8강은 3전 2선승, 4강 이후는 5전3선승이다.  


여담으로 32강 조추첨식 때, 레이싱 모델인 [[최슬기]]가 진행 도우미를 봤다. {{ㅊ|오오}} 그리고 사라지는 줄 알았는데 스타리그가 진행되는 동안 알게 모르게 [[온게임넷]]에 출근하며 대기실에서 선수들과의 인터뷰를 따냈다. 결승전 때에는 구경 온 [[김택용]]선수와도 인터뷰하기도 했다. 이렇게 뒤에서 공들인 인터뷰 영상은 결승전에서 사용되었는데, 중요한 경기인 만큼 선수들에게 최상의 컨디션을 보여주기 위한 {{ㅊ|[[박태민|세팅]]}}시간을 벌기 위한 용도였다. {{ㅊ|주구장창 광고만 볼 수는 없으므로}} 하루를 출근 안했는지 16강 6차 경기에서는 [[최슬기]]대신 [[허영무]]가 스타보이역할을 했다. 이걸 본 다른 선수들은 "우승 두번 하더니 온게임넷 사람 다 됐다?"라며 놀렸다.
여담으로 32강 조추첨식 때, 레이싱 모델인 [[최슬기]]가 진행 도우미를 봤다. {{ㅊ|오오}} 그리고 사라지는 줄 알았는데 스타리그가 진행되는 동안 알게 모르게 [[온게임넷]]에 출근하며 대기실에서 선수들과의 인터뷰를 따냈다. 결승전 때에는 구경 온 [[김택용]]선수와도 인터뷰하기도 했다. 이렇게 뒤에서 공들인 인터뷰 영상은 결승전에서 사용되었는데, 중요한 경기인 만큼 선수들에게 최상의 컨디션을 보여주기 위한 {{ㅊ|[[박태민|세팅]]}}시간을 벌기 위한 용도였다. {{ㅊ|주구장창 광고만 볼 수는 없으므로}} 하루를 출근 안했는지 16강 6차 경기에서는 [[최슬기]]대신 [[허영무]]가 스타보이역할을 했다. 이걸 본 다른 선수들은 "우승 두번 하더니 온게임넷 사람 다 됐다?"라며 놀렸다.
19번째 줄: 17번째 줄:
=== 사용 맵 ===
=== 사용 맵 ===
* 블루스톰 <!-- 검은 2인맵 -->
* 블루스톰 <!-- 검은 2인맵 -->
* 왕의귀환 <!-- 검은 4인맵 -->
* 신 백두대간 <!-- 흙색 2인맵 -->
* 신 백두대간 <!-- 흙색 2인맵 -->
* 왕의귀환 <!-- 검은 4인맵 -->
* 투혼 <!-- 흙색 4인맵 -->
* 투혼 <!-- 흙색 4인맵 -->
{{스포일러}}


== 듀얼토너먼트 32강 ==
== 듀얼토너먼트 32강 ==


32강은 온게임넷에서 방송하지 않고 소닉TV에서만 방송하였다. A,B조는 [[2014년]] [[12월 24일]], C,D조는 [[2014년]] [[12월 25일]], E,F조는 [[2014년]] [[12월 31일]], G,H조는 [[2015년]] [[1월 1일]]에 시행하였다.
32강은 온게임넷에서 방송하지 않고 소닉TV에서만 방송하였다. A,B조는 {{날짜/출력 | 2014-12-24}}, C,D조는 {{날짜/출력 | 2014-12-25}}, E,F조는 {{날짜/출력 | 2014-12-31}}, G,H조는 {{날짜/출력 | 2015-1-1}}에 시행하였다.


=== A조 ===
=== A조 ===
[[2014년]] [[12월 24일]] 진행.
{{날짜/출력| 2014-12-24}} 진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59번째 줄: 55번째 줄:


=== B조 ===
=== B조 ===
[[2014년]] [[12월 24일]] 시행.
{{날짜/출력 | 2014-12-24}}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88번째 줄: 84번째 줄:


=== C조 ===
=== C조 ===
[[2014년]] [[12월 25일]] 시행.
{{날짜/출력 | 2014-12-25}}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17번째 줄: 113번째 줄:


=== D조 ===
=== D조 ===
[[2014년]] [[12월 25일]] 시행.
{{날짜/출력 | 2014-12-25}}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46번째 줄: 142번째 줄:


=== E조 ===
=== E조 ===
[[2014년]] [[12월 31일]] 시행.
{{날짜/출력 | 2014-12-31}}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75번째 줄: 171번째 줄:


=== F조 ===
=== F조 ===
[[2014년]] [[12월 31일]] 시행.
{{날짜/출력 | 2014-12-31}}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206번째 줄: 202번째 줄:
새해 인사와 함께 시작하였다.
새해 인사와 함께 시작하였다.


[[2015년]] [[1월 1일]] 시행.
{{날짜/출력 | 2015-1-1}}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235번째 줄: 231번째 줄:


=== H조 ===
=== H조 ===
[[2015년]] [[1월 1일]] 시행.
{{날짜/출력 | 2015-1-1}} 시행.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732번째 줄: 728번째 줄:


'''첫경기'''를 최호선이 가져가면서 테란전 전승이었던 김성현의 기록이 깨졌다. '''두번째 경기'''에서 압박을 가하고 있던 최호선은 벌쳐가 새어나가는 것을 보고 바로 엔지니어링 베이 두 체로 입구를 막는 보습을 보여주면서 놀라운 컨스롤을 보여줬다. 김성현의 단단함에는 이기지 못했지만 명장면을 만들어 주었다. '''네번째 경기''' 블루스톰에서 최호선이 전진배럭을 지으나 들켜버렸다. 그러나 배럭을 짓던 SCV가 요리조리 피하면서 결국 배럭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 후, 벌처싸움에서 최호선이 이기면서 경기를 최호선이 가져갔다. '''마지막 경기'''에서는 초반의 벌처싸움에서 최호선이 이기면서 그 승기를 김성현이 끝내 역전하지 못하고 '''최호선이 최종으로 우승'''.
'''첫경기'''를 최호선이 가져가면서 테란전 전승이었던 김성현의 기록이 깨졌다. '''두번째 경기'''에서 압박을 가하고 있던 최호선은 벌쳐가 새어나가는 것을 보고 바로 엔지니어링 베이 두 체로 입구를 막는 보습을 보여주면서 놀라운 컨스롤을 보여줬다. 김성현의 단단함에는 이기지 못했지만 명장면을 만들어 주었다. '''네번째 경기''' 블루스톰에서 최호선이 전진배럭을 지으나 들켜버렸다. 그러나 배럭을 짓던 SCV가 요리조리 피하면서 결국 배럭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 후, 벌처싸움에서 최호선이 이기면서 경기를 최호선이 가져갔다. '''마지막 경기'''에서는 초반의 벌처싸움에서 최호선이 이기면서 그 승기를 김성현이 끝내 역전하지 못하고 '''최호선이 최종으로 우승'''.
== 뒤풀이 ==
[[분류:e스포츠]]
[[분류:스타크래프트]]
{{주석}}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