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이름    = 수원
|역이름  = 수원역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Suwon Station.jpg
|그림    = [[파일:Suwon Station.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덕영대로]] 924
|번호    = {{역번호/한국|P155|수도권|1}} {{역번호/한국|K245|수도권|수인분당|ls=-0.05}}
|번호    = {{역번호/한국|P155|수도권|1}}·{{역번호/한국|K245|수도권|수인분당|ls=-0.05}}
|노선    = [[경부선]] <small>41.5 km</small><br />[[분당선]] <small>52.9 km</small><br />[[수인선]] <small>0.0 km</small>
|노선    = [[경부선]] <small>41.5 km</small><br />[[분당선]] <small>52.9 km</small><br />[[수인선]] <small>0.0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수원역|수원관리역]]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33번째 줄: 34번째 줄:


{{철도승강장-대형|구조=
{{철도승강장-대형|구조=
{{철도승강장-대형/좌측-첫칸|좌측 정보=[[경부선]]<br />[[화서역|화서]]|오른쪽칸=1|세로수=12}}
{{철도승강장-대형/좌측-끝칸|좌측 정보=[[경부선]]<br />[[화서역|화서]] |오른쪽칸=1|세로수=3}}
{{철도승강장-대형/선로-첫칸|왼쪽 선로 정보=|오른쪽칸=1}}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오른쪽칸=1}}
{{철도승강장-대형/우측-첫칸|우측 정보=[[경부선]]<br />→ [[세류역|세류]]|세로수=12}}
{{철도승강장-대형/우측-끝칸|우측 정보=[[경부선]]<br />→ [[세류역|세류]]|세로수=3}}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br />3번|승강장 정보='''1호선''' [[병점역|병점]] ·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2번<br />3번|승강장 정보='''1호선''' [[병점역|병점]] ·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 [[신창역|신창]]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좌측-끝칸|좌측 정보=[[경부선]]<br />[[안양역|안양]] ←|오른쪽칸=1|세로수=6}}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오른쪽칸=1}}
{{철도승강장-대형/우측-끝칸|우측 정보=[[경부선]]<br />→ [[오산역|오산]]|세로수=6}}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4번<br />5번|승강장 정보='''KTX·ITX-새마을·새마을호·무궁화호'''<br />[[장항역|장항]]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 [[익산역|익산]] · [[광주역|광주]] · [[목포역|목포]] · [[진주역|진주]] · [[부산역|부산]]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4번<br />5번|승강장 정보='''KTX·ITX-새마을·새마을호·무궁화호'''<br />[[장항역|장항]] · [[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 [[익산역|익산]] · [[광주역|광주]] · [[목포역|목포]] · [[진주역|진주]] · [[부산역|부산]]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왼쪽 선로 정보=}}
44번째 줄: 47번째 줄: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6번<br />7번|승강장 정보='''KTX·ITX-새마을·새마을호·무궁화호'''<br />[[서울역|서울]]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6번<br />7번|승강장 정보='''KTX·ITX-새마을·새마을호·무궁화호'''<br />[[서울역|서울]]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첫칸}}
{{철도승강장-대형/좌측-첫칸|좌측 정보=[[경부선]]<br />[[화서역|화서]] ←|오른쪽칸=1|세로수=3}}
{{철도승강장-대형/선로-첫칸|오른쪽칸=1}}
{{철도승강장-대형/우측-첫칸|우측 정보=[[경부선]]<br />← [[세류역|세류]]|세로수=3}}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8번<br />9번|승강장 정보='''1호선''' [[금정역|금정]] · [[구로역|구로]] · [[서울역|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8번<br />9번|승강장 정보='''1호선''' [[금정역|금정]] · [[구로역|구로]] · [[서울역|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철도승강장-대형/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219번째 줄: 224번째 줄:


[[2016년]] 6월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
[[2016년]] 6월 리모델링이 완료되었다.
=== 버스 ===
=== 버스 ===
{{참고|수원역 환승센터}}
{{참고|수원역 환승센터}}
225번째 줄: 229번째 줄:


수원역은 많은 수의 시내버스와 광역버스의 경유지이기 때문에 정류장은 매우 혼잡했다. 이에 [[수원시]]는 [[2017년]] [[6월 19일]]과 [[2017년]] [[7월 3일]]에 걸쳐 기존의 정류장을 역 서쪽의 [[수원역 환승센터]]로 이전하는 조치를 취한다. [http://www.suwon.go.kr/web/board/BD_board.view.do?bbsCd=1042&seq=20170516194802474 수원시 - 수원역환승센터 버스노선 조정 안내]
수원역은 많은 수의 시내버스와 광역버스의 경유지이기 때문에 정류장은 매우 혼잡했다. 이에 [[수원시]]는 [[2017년]] [[6월 19일]]과 [[2017년]] [[7월 3일]]에 걸쳐 기존의 정류장을 역 서쪽의 [[수원역 환승센터]]로 이전하는 조치를 취한다. [http://www.suwon.go.kr/web/board/BD_board.view.do?bbsCd=1042&seq=20170516194802474 수원시 - 수원역환승센터 버스노선 조정 안내]
== 사건 및 사고 ==
== 사건 및 사고 ==
* [[2002년]] [[수원역 전동차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02년]] [[수원역 전동차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 [[2003년]] 애경백화점(현 [[AK플라자]]) 개장 첫 날 화재가 발생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수원 애경백화점 개장 첫날 '불'|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0024522|저자=|출판사=오마이뉴스|날짜=2003년 2월 15일}}</ref>
* [[2003년]] 애경백화점(현 [[AK플라자]]) 개장 첫 날 화재가 발생하였다. <ref>{{뉴스 인용|제목=수원 애경백화점 개장 첫날 '불'|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47&aid=0000024522|저자=|출판사=오마이뉴스|날짜=2003년 2월 15일}}</ref>
* [[2007년]] 수원역에 정차하던 기관차에서 불이나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ref>{{뉴스 인용|제목=수원역 기관차 불, 이용객 대피소동|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282176|저자=유명식 기자|출판사=뉴시스|날짜=2007년 1월 8일}}</ref>
* [[2007년]] 수원역에 정차하던 기관차에서 불이나 승객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ref>{{뉴스 인용|제목=수원역 기관차 불, 이용객 대피소동|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0282176|저자=유명식 기자|출판사=뉴시스|날짜=2007년 1월 8일}}</ref>
== 고속철도 문제 ==
== 고속철도 문제 ==
[[수원시]]는 전국 유수의 대도시이며, [[경부선]] 축선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여 수요가 많은 편이었다. [[수인선]]과의 교차점에 고속철도역을 신설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일단은 비용 문제 및 역간 거리 문제 등이 달려 있어 신설되지 않았다. 일단 정책적으로는 [[KTX]] 개통 이후에는 [[광명역]]이 수요 대체를 할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이 때문에 수원은 정차역에서 제외되어 많은 불편을 겪어야 했다. 이에 KTX 2단계 개통 이후 서울–대전간 기존선을 경유하여 수원역을 경유하는 형태로 신규 열차가 4왕복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약간 해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선을 경유하여 발생하는 소요 시간 문제나 수요로 인한 편수 문제(좌석 매진이 잦음) 등이 제기되어, 2017년 4월 7일 개정에서 임시열차의 형태로 금요일 및 주말에 수원 발착 2왕복이 추가 신설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운행은 경부선에만 한정되고 있으며, 타 지역으로 갈 때는 기존선 열차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와 별개로 [[수서평택고속선]] 상에서 [[동탄역]]이 생기게 되었으며, 파크앤라이드가 가능하다면 동탄역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수원시]]는 전국 유수의 대도시이며, [[경부선]] 축선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여 수요가 많은 편이었다. [[수인선]]과의 교차점에 고속철도역을 신설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일단은 비용 문제 및 역간 거리 문제 등이 달려 있어 신설되지 않았다. 일단 정책적으로는 [[KTX]] 개통 이후에는 [[광명역]]이 수요 대체를 할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이 때문에 수원은 정차역에서 제외되어 많은 불편을 겪어야 했다. 이에 KTX 2단계 개통 이후 서울–대전간 기존선을 경유하여 수원역을 경유하는 형태로 신규 열차가 4왕복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약간 해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선을 경유하여 발생하는 소요 시간 문제나 수요로 인한 편수 문제(좌석 매진이 잦음) 등이 제기되어, 2017년 4월 7일 개정에서 임시열차의 형태로 금요일 및 주말에 수원 발착 2왕복이 추가 신설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운행은 경부선에만 한정되고 있으며, 타 지역으로 갈 때는 기존선 열차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와 별개로 [[수서평택고속선]] 상에서 [[동탄역]]이 생기게 되었으며, 파크앤라이드가 가능하다면 동탄역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에서 기인한 민원 및 수원역을 이용하여 KTX에 탑승하는 수요증가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수서평택고속선]]과 경부선의 접점인 [[평택지제역]] 인근<ref>[[서정리역]]과 [[평택지제역]] 사이에 입체교차로 건설된다. 통행방식 등은 천안직결선과 유사한 형식이 될 전망.</ref>에 지제연결선을 건설하는 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연결선이 완공되면 수원발 KTX를 신설하여 수원역 경유 KTX를 증편할 수 있다. 선로용량이 빡빡한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을 지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 또한 기존선 경유 구간을 줄여 지제부터는 곧바로 고속선에 접속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불편함에서 기인한 민원 및 수원역을 이용하여 KTX에 탑승하는 수요증가에 본격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수서평택고속선]]과 경부선의 접점인 [[평택지제역]] 인근<ref>[[서정리역]]과 [[평택지제역]] 사이에 입체교차로 건설된다. 통행방식 등은 천안직결선과 유사한 형식이 될 전망.</ref>에 지제연결선을 건설하는 사업이 진행중에 있다. 연결선이 완공되면 수원발 KTX를 신설하여 수원역 경유 KTX를 증편할 수 있다. 선로용량이 빡빡한 경부선 서울-금천구청 구간을 지나지 않아도 되기 때문. 또한 기존선 경유 구간을 줄여 지제부터는 곧바로 고속선에 접속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이점도 있다.
== 사진 ==
== 사진 ==
<gallery>
<gallery>
Suwon Station Intersection Night View.jpg|thumb|center|수원역 교차로 전경
Suwon Station Intersection Night View.jpg|thumb|center|수원역 교차로 전경
</gallery>
</gallery>
 
== 일평균 환승객 ==
=== 전철 ===
=== 버스 ===
* 출처 : 한국철도공사 철도통계연보
<div style="overflow:auto;">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330px"
|-
| colspan="7"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 '''수원역 '''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전체
!colspan=2 | 1호선(경부선)
!colspan=2 | 수인·분당선
|-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 1 -> 버스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 버스 -> 1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 분당 -> 버스
! style="color: WHITE; background:{{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 버스 -> 분당
|-
|2018
|61,243
|20,186
|19,157
|2,273
|19,157
|-
|2017
|50,522
|16,594
|15,634
|2,258
|15,634
|-
<!---
2016년 자료는 오류가 심해 제외했다.
-->
|}
* 1호선과 분당선 모두 승하차합에서 버스 환승객 비중이 상당하다. 다만 분당선은 방향별로 비중의 차가 상당히 크다. 전철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인원의 비중은 1호선처럼 상당하다. 그 반대는 낮은 편이다. 분당선 전철 하차인원 대비로도 낮은 편이다. 분당선 수원구간의 넓은 배차간격이 원인 중 하나로 추정된다. 분당선 수원 구간의 이용객 패턴도 큰 영향을 차지한다. 수원역 상권을 이용하기 위한 이용객 비중이 대부분이라는 것이 이를 반증한다.
== 경유 노선 ==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열기}}
{{경유 노선/열기}}
259번째 줄: 297번째 줄: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고색역|고색]]|후거리=2.7 km}}
|후방면=[[인천역|인천]] 방면|후역=[[고색역|고색]]|후거리=2.7 km}}
{{경유 노선/닫기}}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수도권 전철 ===
=== 수도권 전철 ===
292번째 줄: 329번째 줄:
  }}
  }}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마음]]
  |열차종류 = [[ITX-새마을]]
|세로수  = 3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전라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6
  |세로수  = 6
  |노선    =  
  |노선    =  
344번째 줄: 373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경부선]][[분류:분당선]][[분류:수인선]]
[[분류:경부선]][[분류:분당선]][[분류:수인선]]
[[분류:경기도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수원시의 철도역]]
[[분류:등록문화유산]]
[[분류:등록문화재]]
{{리브레 맵스 마커|37.26614671803111|127.00040280818939|11|수원역}}
{{리브레 맵스 마커|37.26614671803111|127.00040280818939|11|수원역}}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3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