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나라 정보
<big>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big>
|나라이름    =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
|원어이름    = Союз Советских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х Республик
|존속연도    = 1922~1991
|국기        = Flag of the Soviet Union.svg
|국기설명    =
|국장        = Coat_of_arms_of_the_Soviet_Union_1.svg
|국장설명    =
|지도        = Union_of_Soviet_Socialist_Republics_(orthographic_projection).svg
|지도설명    =
|표어        = {{러시아어=|Пролетарии всех стран, соединяйтесь!}}
|국가        = 소련 찬가
|수도        = [[모스크바]]
|공용어      = [[러시아어]]
|국어        =
|국교        =
|정부유형    = 일당독재 (프롤레타리아에 의한 독재)
|군주        =
|수반 직책  =
|수반        =
|부수반 직책 =
|부수반      =
|입법부      =
|인구        =
|인구밀도    =
|인구 연도  =
|면적        =
|면적 연도  =
|GDP PPP    =
|GDP PPP 1인 =
|GDP        =
|GDP 1인    =
|GDP 연도    =
|화폐        =
|시간대      =
|ISO        =
|국가도메인  = .su
|국제전화    =
|이전나라    = {{깃발그림|Flag RSFSR 1918.svg}} [[러시아 SFSR]]<br />{{깃발그림|Flag of the Ukrainian SSR (1919-1929).svg}} [[우크라이나 SFSR]]<br />{{깃발그림|Flag of the Byelorussian Soviet Socialist Republic (1919-1927).svg}} [[벨로루시 SFSR]]<br />{{깃발그림|Flag of the Transcaucasian SFSR (1925-1936).svg}} [[자캅카스 SFSR]]<br />{{깃발그림|Flag of the Bukharan People's Soviet Republic.svg}} [[부하라 SFSR]]<br />{{깃발그림|Flag of Khiva 1920-1923.svg}} [[화레즘 SFSR]]<br />{{깃발그림|Flag of Estonia.svg}} [[에스토니아]]<br />{{깃발그림|Flag of Latvia.svg}} [[라트비아]]<br />{{깃발그림|Flag of Lithuania (1918–1940).svg}} [[리투아니아]]<br />
|이후나라    = [[러시아]] {{깃발그림|Flag of Russia (1991-1993).svg}}<br />[[리투아니아]] {{깃발그림|Flag of Lithuania (1988–2004).svg}}<br />[[조지아 (나라)|조지아]] {{깃발그림|Flag of Georgia (1990-2004).svg}}<br />[[에스토니아]] {{깃발그림|Flag of Estonia.svg}}<br />[[라트비아]] {{깃발그림|Flag of Latvia.svg}}<br />[[우크라이나]] {{깃발그림|Flag of Ukraine (1991-1992).svg}}<br />[[몰도바]] {{깃발그림|Flag of Moldova.svg}}<br />[[키르기스스탄]] {{깃발그림|Flag of the Kyrgyz Soviet Socialist Republic.svg}}<br />[[우즈베키스탄]] {{깃발그림|Flag of Uzbekistan.svg}}<br />[[타지키스탄]] {{깃발그림|Flag of Tajikistan 1991-1992.svg}}<br />[[아르메니아]] {{깃발그림|Flag of Armenia.svg}}<br />[[아제르바이잔]] {{깃발그림|Flag of Azerbaijan 1918.svg}}<br />[[투르크메니스탄]] {{깃발그림|Flag of the Turkmen SSR.svg}}<br />[[벨라루스]] {{깃발그림|Flag of Belarus (1991-1995).svg}}<br />[[카자흐스탄]] {{깃발그림|Flag of the Kazakh Soviet Socialist Republic.svg}}
|비고        =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은 [[20세기]] [[냉전]]의 두 주인공 중 하나이며 유일무이한 [[미국]]의 라이벌이'''었'''다. <s>현실은 콩라인.</s>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 벨라루스, 우즈베크, 아제르바이잔, 몰다비아, 타지크, 투르크멘, 그루지야, 키르키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아르메니아 등의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국가였다. [[공산주의]]의 선봉자였으며 광대한 영토와 인구로 전 세계를 불안에 떨게 한 적도 많다. (쿠바 핵 시설이라던지... [[제2차 세계대전]]이라던지...) 하지만 지금은 다 지나간 이야기일 뿐.
[[20세기]] [[냉전]]의 두 주인공 중 하나이며 유일무이한 [[미국]]의 라이벌이였다. <s>현실은 콩라인.</s>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 벨라루스, 우즈베크, 아제르바이잔, 몰다비아, 타지크, 투르크멘, 그루지야, 키르키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아르메니아 등의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국가였다.
[[공산주의]]의 선봉자였으며 광대한 영토와 인구로 전 세계를 불안에 떨게 한적도 많다. (쿠바 핵 시설이라던지...[[제2차 세계대전]]이라던지...) 하지만 지금은 다 지나간 이야기일 뿐. <s>[[방사능 홍차|그렇다고 러시아를 무시하면 안된다.]]</s>


한국에서 주로 쓰는 표현은 '소련'이지만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준말이며 당연히 정식 국명은 아니다. 하지만 [[북한]]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공산국가를 짧게 부르는 것은 당연한 관행이었고 이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다.
한국에서 주로 쓰는 표현은 '소련'이지만 이는 '소비에트 연방'의 줄임말이며 당연히 정식 국명은 아니다. 하지만 [[북한]]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 공산국가를 짧게 부르는 것은 당연한 관행이였고 이것이 지금까지 이어져내려온다.


==군사==
==군사==
{{본문|붉은 군대}}
[[붉은 군대]]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혁명]]===
{{본문|러시아 혁명}}
{{인용문|'''Вся власть Советам!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인용문|'''Вся власть Советам! (모든 권력을 소비에트로!)'''}}


=== 적백내전 ===
===[[적백내전]]===
{{본문|적백내전}}
'''인류 역사에 가득한 내전중 손에 꼽히는 참혹한 내전'''
인류 역사에 가득한 내전 중 손에 꼽히는 참혹한 내전.
 
세계 최초의 공산국가가 수립된 전쟁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으며 내전이 1차에서 그치지 않고 2차로 번진 다른 내전들에 비해서 특이한 케이스다
세계 최초의 공산국가가 수립된 전쟁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으며 내전이 1차에서 그치지 않고 2차로 번진 다른 내전들에 비해서 특이한 케이스다.
 
=== 신경제정책 ===
{{본문|신경제정책}}
[[블라디미르 레닌]]이 내전으로 인해 약화된 경제를 재건하기 위하여 실시한 정책.


===[[신경제정책]]===
===스탈린 집권기===
===스탈린 집권기===
====숙청, 그리고 숙청====
====숙청, 그리고 숙청====
 
====[[대 조국 전쟁]]====
==== 대조국 전쟁 ====
{{본문|독일-소련 전쟁}}
1939년, [[독소 불가침조약|소련은 독일과 불가침조약을 맺고]] 폴란드를 침략했다. 영국과 프랑스가 독일과 대치 상태에 빠진 것을 틈타 소련은 이전 러시아 제국 영토 되찾기에 돌입했다. 소련은 [[핀란드]]를 다시 침략했고, 어찌저찌 영토를 어느 정도 뜯어냈다. 이후 소련은 발트 3국([[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를 강제병합했고, [[루마니아]]가 러시아 내전 도중 훔쳐갔던 [[몰도바]] 지역을 회수했다. 이는 루마니아가 소련에 대항해 추축국에 가담하는 계기가 되었음으로 소련의 자충수로도 볼 수 있겠다.
 
소련이 잊고 있던 독일의 팽창주의 야욕과 루마니아와 핀란드라는 새로운 앙숙은 결국 독일-소련 전쟁이라는 참혹한 결과로 이어졌다. 소련은 이전의 대숙청으로 인해 군대가 굉장히 약해져있었기 때문에 독일군은 수도 [[모스크바]] 코앞까지 진격해올 수 있었다. 하지만 [[겨울]]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모스크바 점령을 어렵게 만들자 독일은 캅카스 지역으로 목표를 바꿨고 서기장 [[스탈린]]은 자신의 고향이 점령당할 위기에 빠졌었다. 그러나 연합군이 [[이탈리아]] 반도에 진격해오자 독일은 군대를 보내 연합군을 막아야했고 결국 겨울이 또다시 닥쳐오자 소련은 독일을 수세에 몰아넣었다. 독일은 얼마 안되어 수도 베를린마저 함락당했고 [[히틀러]]가 자살하면서 독일-소련 전쟁은 마침내 소련의 승리로 끝났다.


===냉전기===
===냉전기===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해체===
===해체===
 
==소련에 대한 평가==
== 국가 ==
[[트로츠키]]는 1930년대 [[스탈린주의]]에 의해 소련에 자본주의가 되돌아올 위험이 있다고 보았다. 이 왜곡에도 불구하고 트로츠키는 여전히 노동자국가로서 소련이 존재할 가치가 있었다고 보았다. 현재에도 정통트로츠키주의에서는 소련을 "타락한 노동자국가"로 본다. 또 다른 견해로는 소련이 국가자본주의를 채택한 국가라는 주장이다. 토니클리프와 같은 트로츠키주의자들은 1928년 제1차 5개년계획을 기점으로 소련이 국가자본주의로 변화되었다고 보며, 아나키스트들은 신경제정책(NEP)부터 국가자본주의적 경향이 드러났다고 주장한다.
국가인 소련 찬가는 매우 잘만들어져서 가사만 바꾼채로 [[러시아]]의 국가가 되었다.
 
{{유튜브|_SY-5IBxnSY|300px|auto}}
 
== 평가 ==
[[트로츠키]]는 1930년대 [[스탈린주의]]에 의해 소련에 자본주의가 되돌아올 위험이 있다고 보았다. 이 왜곡에도 불구하고 트로츠키는 여전히 노동자국가로서 소련이 존재할 가치가 있었다고 보았다. 현재에도 정통트로츠키주의에서는 소련을 "타락한 노동자국가"로 본다. 또 다른 견해로는 소련이 국가자본주의를 채택한 국가라는 주장이다. 토니클리프와 같은 트로츠키주의자들은 1928년 제1차 5개년계획을 기점으로 소련이 국가자본주의로 변화되었다고 보며, 아나키스트들은 신경제정책(NEP)부터 국가자본주의적 경향이 드러났다고 주장한다.
 
==구성공화국==
==구성공화국==
* 러시아 소비에트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 러시아 소비에트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102번째 줄: 44번째 줄: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소련과 독립운동==
==소련과 독립운동==
소련은 반(反)제국주의에 입각해 [[몽골]]과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적 있다. 소련으로 인해 확산한 공산주의의 영향으로 여러 식민지에서 공산당이 결성되기도 하였다.
==출신인물==
==출신인물==
* [[블라디미르 레닌]]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레온 트로트키]]
* [[이오시프 스탈린]]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니키타 흐루쇼프]]
117번째 줄: 56번째 줄:
* [[미하일 칼리시니코프]]
* [[미하일 칼리시니코프]]
* [[막심 고리키]]
* [[막심 고리키]]
* [[블라디미르 푸틴]]
{{각주}}
[[분류:소련| ]]
[[분류:소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