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3호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서울 도시철도 3호선<br />수도권 전철 3호선
|노선이름 = 서울 도시철도 3호선<br />수도권 전철 3호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KR3000 Line 3 SMESRS Oksu.jpg
|그림    = [[파일:KR3000 Line 3 SMESRS Oksu.jpg|270px]]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옥수역]]으로 들어오는 열차
|그림설명 = [[옥수역]]으로 들어오는 열차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도시철도]]([[서울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sup>광역전철</sup>
|종류    = [[도시철도]]([[서울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sup>광역전철</sup>
19번째 줄: 17번째 줄:
|개통일  = [[1985년]] [[7월 12일]] (도시철도)<br />[[1996년]] [[1월 30일]] (광역전철)
|개통일  = [[1985년]] [[7월 12일]] (도시철도)<br />[[1996년]] [[1월 30일]] (광역전철)
|폐지일  =  
|폐지일  =  
|경유노선 = [[일산선]], 서울 도시철도 3호선 (광역전철)
|경유노선 = [[일산선]], 서울 도시철도 3호선
|차량기지 = [[지축차량사업소|지축]], [[수서차량사업소]] (광역전철)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선로    = 2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ref>구파발 ~ 오금 구간은 [[가공강체가선]] 사용</ref>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ref>구파발 ~ 오금 구간은 [[가공강체가선]] 사용</ref>
|신호    = [[ATC]]
|신호    = [[ATC]]
|차량기지 = [[지축차량사업소|지축]], [[수서차량사업소]] (광역전철)
|비고    = [[일산선]] 구간의 시설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비고    = [[일산선]] 구간의 시설 정보는 해당 문서 참고
}}
}}
33번째 줄: 31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1985년]] [[7월 12일]]: [[구파발역|구파발]]~[[독립문역|독립문]] 구간 개통.
* [[1985년]] [[7월 12일]]: [[구파발역|구파발]] ~ [[독립문역|독립문]]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양재역|양재]] 구간 개통.
* [[1985년]] [[10월 18일]]: 독립문 ~ [[양재역|양제]] 구간 개통.
* [[1987년]] [[5월 1일]]: 중앙청역 이름을 [[경복궁역|경복궁]]으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136호</ref>
* [[1990년]] [[7월 13일]]: [[지축역|지축]] ~ 구파발 구간 개통.
* [[1990년]] [[4월 1일]]: 교대역 이름을 교대(법원·검찰청)으로,<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0032800289109017&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90-03-28&officeId=00028&pageNo=9&printNo=577&publishType=00010 3호선 화물터미널·교대역 다음달부터 이름바꾸기로], 한겨레</ref> 화물터미널역 이름을 [[남부터미널역|남부터미널]]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38호</ref>
* [[1993년]] [[10월 30일]]: 양재 ~ [[수서역|수서]] 구간 개통.
* [[1990년]] [[7월 13일]]: [[지축역|지축]]~구파발 구간 개통.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과 함께 [[직결운행]] 개시.
* 1991년 7월 31일: 양재역 이름을 양재(서초구청)으로 변경.<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1080100289113004&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8-01&officeId=00028&pageNo=13&printNo=992&publishType=00010 신설 지하철역 이름 크게 바꿔], 한겨레</ref>
* [[2010년]] [[2월 18일]]: 수서 ~ [[오금역|오금]] 구간 개통.
* [[1993년]] [[10월 30일]]: 양재~[[수서역|수서]] 구간 개통.
 
* [[1996년]] [[1월 30일]]: [[일산선]] 개통 및 3호선 직결 운행 개시.
=== 노선 연장 ===
* 1999년 12월 26일: 경복궁역 이름을 경복궁(정부중앙청사)로 변경.<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112700289120002&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99-11-27&officeId=00028&pageNo=20&printNo=3670&publishType=00010 수유동 백운봉길→'4.19길'], 한겨레</ref>
{{참고|일산선}}
* [[2010년]] [[2월 18일]]: 수서~[[오금역|오금]] 구간 개통.
일산선의 건설 목적인 [[일산신도시]]가 완공됨에 따라 소기의 건설 목적을 달성한 노선이지만, 2000년대 이후 개발된 [[운정신도시]]의 행정구역인 [[파주시]]에서는 일산선 종착역인 [[대화역]]에서 북쪽으로 연장하여 덕이지구나 가좌지구를 거쳐 운정신도시 중심을 관통하는 노선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차량기지 이전 등 조건을 내걸면서 파주 연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2016년]]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었으며, 계획에 따르면 [[대화역]]에서 운정신도시 중심부까지 약 7Km 가량을 연장하며, [[2022년]]에 착공하여 [[2027년]]에 완공한다는 내용<ref>[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9&news_seq_no=2920689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지하철 3호선 파주 운정신도시까지 연장], MBN, [[2016년]] [[6월 18일]]</ref>이다. 연장 계획이 구체화 되면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반색을 표했으나 완공시기가 너무 늦다면서 빠른 착공을 촉구하는 여론도 형성되는 상황이다.
* 2013년 1월 3일: 경복궁(정부중앙청사)역 이름을 경복궁(정부서울청사)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2012-369호</ref>
* [[2014년]] [[12월 27일]]: 일산선 [[원흥역]] 개업.


== 운영 ==
== 운영 ==
53번째 줄: 49번째 줄:
: [[수서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 [[수서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 일반 [대화 - 삼송] / [구파발 - 오금]
; 일반 [대화 - 삼송] / [오금 - 구파발]
: [[지축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구파발행 일부는 종착 후 오금 방면 반복 운행.
: [[지축차량사업소]] 입고 열차


=== 운행차량 ===
=== 운행차량 ===
[[서울교통공사]] 소속 차량과 [[한국철도공사]] 소속 차량으로 나뉜다. 그런데 한국철도공사가 서울교통공사에 차량을 위탁했기 때문에 차량 번호를 공유한다.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쵸퍼제어 전동차(GEC)]]
 
*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2세대|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VVVF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소속 3000호대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GEC 쵸퍼제어 전동차]]'' (퇴역)
:* [[서울교통공사 VVVF 전동차 (현대로템 2세대)|현대로템 3세대 VVVF 전동차]]
:* [[다원시스 통근형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소속 3000호대 전동차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현대로템 1세대 VVVF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4세대)|현대로템 4세대 VVVF 전동차]]
:* [[우진산전 통근형 전동차]]
{{글 숨김|제목='''차량 현황'''|
; 쵸퍼제어 (운행종료)
:* 301~314호: 1984년 제작 (원래 401~414호)
:* 315호: 1985년 제작 (원래 415호)
:* 316~333, 336~340호: 1985년 제작 (원래 316~338호)
:* 334~335, 345~348호: 1990년 제작 (원래 436~441호)
:* 341~344호: 1985년 제작 (원래 424~427호)
 
; 쵸퍼제어 개조 (운행종료)
:* 316~320, 341~344호: 1990년대에 10량으로 증결을 위해 추가된 동력객차(M)과 무동력객차(T)를 개조
 
; 한국철도공사 소속 현대로템 1세대 VVVF 전동차
:* 371~377호: 1995년 제작
:* 378~383호: 1996년 제작
:* 384~386호: 1997년 제작
 
; 서울교통공사 소속 현대로템 2세대 VVVF 전동차
:* 301~315, 321~333호: 2009년 제작
:* 336~340, 349호: 2010년 제작
 
; 다원시스 통근형 전동차
:* 316~320, 334~335, 341~344호: 2021년 제작
:* 345~348호: 2022년 제작
 
; 한국철도공사 소속 현대로템 4세대 VVVF 전동차
:* 387~393호: 2022년 제작
:* 394호: 2023년 제작
 
; 우진산전 통근형 전동차
:* 395호: 2022년 제작
:* 396~399, 368~370호: 2023년 제작
}}


== 특징 ==
== 특징 ==
106번째 줄: 62번째 줄: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위탁 검수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위탁 검수
: 일산선 운행 목적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일산선에 별도의 철도공사 소속 차량기지를 건설하지않고 대신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인 [[지축차량사업소]]에 차적을 등록하여 운행종료 후 해당 기지에 입고하여 서울교통공사의 관리를 받는다.  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대곡역 (고양)]]에 설치된 차량승무사업소를 통해 근무교대를 한다. 지축역의 위치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철도 3호선의 마지막역인 [[구파발역]]과 일산선 구간인 [[삼송역]] 중간 위치에 건설되었으며, 최초 6량 규격으로 건설되었던 지점을 연장하여 10량 규격으로 증축하면서 나머지 4량 규격의 구역은 철도공사가 시공하였기에 구역구분 경계석이 남아있다.
: 일산선 운행 목적으로 도입된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는 일산선에 별도의 철도공사 소속 차량기지를 건설하지않고 대신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인 [[지축차량사업소]]에 차적을 등록하여 운행종료 후 해당 기지에 입고하여 서울교통공사의 관리를 받는다.  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대곡역 (고양)]]에 설치된 차량승무사업소를 통해 근무교대를 하며, 지축역의 위치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철도 3호선의 마지막역인 [[구파발역]]과 철도공사 구간인 [[삼송역]]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지축역]]은 일산선 직결이 확정된 이후 당초 6량 규격으로 건설되었던 지점을 연장하여 10량 규격으로 건설하면서 나머지 4량 규격의 구역은 철도공사가 시공하였기에 현재도 구역구분 경계석이 남아있다.


; 일산선의 불량한 선형
; 일산선의 불량한 선형
113번째 줄: 69번째 줄:
== 역 목록 ==
== 역 목록 ==
* [[일산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 [[일산선]]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 rowspan="2" | {{세로|노선}}
! rowspan="2" | {{세로|노선}}
161번째 줄: 117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7.8
| style="text-align: right;" | 7.8
| [[대곡역 (고양)|대곡]]
| [[대곡역 (고양)|대곡]]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예정)''<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5
224번째 줄: 180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7.5
| style="text-align: right;" | 7.5
| style="text-align: right;" | 26.7
| style="text-align: right;" | 26.7
| [[홍제역|홍제]]
| [[홍제역|홍제<br />(서울문화예술대)]]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서대문구]]
| rowspan="3" | [[서대문구]]
382번째 줄: 338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54.4
| style="text-align: right;" | 54.4
| [[수서역|수서]]
| [[수서역|수서]]
| style="text-align: left;" | [[수서평택고속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br />[[분당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 style="text-align: left;" | [[수서평택고속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br />[[분당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5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50
404번째 줄: 360번째 줄:
|-
|-
|}
|}
== 연장 계획 ==
* 파주 연장
*: [[파주시]]의 [[운정신도시]]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기 종점인 [[대화역]]부터 운정신도시를 거쳐 [[금릉역]]까지 약 10.7 Km를 연장한다는 계획이며,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에도 포함되었던 사항이다. 다만 [[예비타당성조사]]에서 B/C값이 저조하여 발목을 잡고 있는 상황. 이에 [[지축차량사업소]]를 파주시 관내에 위치한 [[문산차량사업소]]에 통합하여 이전한다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제안까지 나올정도로 지역의 숙원사업이기도 하다.<ref>차량사업소 이전 조건으로 연장이 성사된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진접선]] 사례와 유사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높다.</ref>
* 송파하남선
*: [[3기 신도시]]로 건설 예정인 [[하남시]]의 [[교산신도시]]를 거쳐 [[하남선]]의 [[하남시청역]]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2022년]] [[7월 18일]]에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ref>[http://www.molit.go.kr/USR/NEWS/m_72/dtl.jsp?lcmspage=1&id=95086972 「송파하남선」광역철도 건설 첫 걸음], 국토교통부 설명자료</ref> 2020년에 뜬금없이 3호선 연장이 아닌 전용 경전철로 선회하는 입장을 발표하여 지역 주민들의 여론이 크게 악화되기도 하는 [[우여곡절]]을 거쳤지만 사전타당성조사를 재분석하여 3호선을 연장한다는 원안을 그대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각주}}
{{각주}}
417번째 줄: 366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서울 지하철 3호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