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차량 정보
{{철도차량 정보
|차량이름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
|차량명 = 서울교통공사 쵸퍼제어 전동차/GEC<br /><small>(공통사항)</small>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그림     = [[파일:seoul metro gec line 3 original.jpg]]
|글자색 = white
|그림설명 = 348편성
|그림 = seoul_metro_gec_line_3_original.jpg
|운영    = [[서울교통공사]]
|그림설명 = 348편성
|설계    =  
|량수 = 10
|제작    = [[현대로템|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편성구조 = 10량 1편성
|제작연도 = 1984~1985년, 1990~1993년
|동력방식 = 미쓰비시 MB-3268-A형 직류직권전동기
|생산량  =  
|전기방식 = [[가공전차선]] 집전기<br />[[직류]] 1,500 V
|정원    =  
|제어방식 = 사이리스터 쵸퍼제어
|편성구조 = 1편성 10량
|기관형식 =  
|편성길이 =  
|전동기형식 = 직류직권전동기
|전장     = 19,500 mm
|기어비 = 15:98
|전폭     = 3,160 mm
|차륜배열 =
|전고     = 3,750 mm
|차륜직경 =
|중량    = 382 t
|기동가속도 = 3.0
|궤간    = 1,435 mm ([[표준궤]])
|영업최고속도 = 80
|최고속도 = 80 km/h
|설계최고속도 = 110
|엔진    = 직류직권전동기
|감속도 = 상용 최대 3.5 km/h/s<br />비상 4.5
|출력    = 3,888 kW
|기관출력 =
|견인력  =  
|전동기출력 = 162
|가속도  = 3.0 km/h/s
|편성출력 = 3,888
|감속도  = 3.5 km/h/s (상용)<br />4.5 km/h/s (비상)
|출력 =
|제동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견인력 =  
|전기    = [[직류]] 1,500 V, [[팬터그래프]]
|용도 = 통근형 전동차
|제어    = 사이리스터 쵸퍼제어
|차량정원 =  
|보안    = [[ATC]]
|편성정원 =  
|비고     =  
|편성길이 =
|전장 = 19,500
|전폭 = 3,160
|전고 = 3,750
|차량중량 = Tc: 33t<br />M1: 42.21t<br />M2: 41.8t<br />T: 32
|편성중량 = 382
|대차 =
|대차간거리 =  
|축중 =  
|궤간 = [[표준궤]] 1,435
|구동장치 =
|MT비 = 6M 4T
|보안장치 = [[ATC]]
|구동방식 = 전기 동력분산식
|제동방식 = 회생제동 병용<br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설계사 =
|제작사 = [[현대로템|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제작연도 = 1984~1985년, 1990~1993년
|운영회사 = [[서울교통공사]]
|생산량 =
|사용량 = 2호선 : 12편성 120량<ref>2019년 12월 기준</ref><br/>3호선 : 15편성 150량<ref>2019년 12월 기준</ref>
|도입단가 =
|비고 =  
}}
}}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중인 GEC ('''G'''eneral '''E'''lectric '''C'''ompany) 쵸퍼제어 사양이다. 최초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운행차량으로 도입하였으나, 4호선이 [[과천선]]과 [[안산선]]을 직결하고 광역전철로 탈바꿈함에 따라 4호선 운행용으로 대거 도입된 VVVF 사양 전동차가 투입되면서, 4호선에서 운행하던 GEC 쵸퍼제어 전동차는 2호선과 3호선으로 이적하였다. 내구연한 만료에 따라 대부분의 차량이 2010년을 전후하여 폐차되었고, 남아있는 차량들도 2022년 9월까지 운행하고 폐차된다.
== 개요 ==
{{현재년}} 현재 [[서울 지하철 2호선]] 및 [[수도권 전철 3호선]]에서 운행중인 GEC ('''G'''eneral '''E'''lectric '''C'''ompany) 쵸퍼제어 사양이다. 최초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운행차량으로 도입하였으나, 4호선이 [[과천선]]과 [[안산선]]을 직결하고 광역전철로 탈바꿈함에 따라 4호선 운행용으로 대거 도입된 VVVF 사양 전동차가 투입되면서, 4호선에서 운행하던 GEC 쵸퍼제어 전동차는 2호선과 3호선으로 이적하였다. 내구연한 만료에 따라 대부분의 차량이 2010년을 전후하여 폐차되었고, 남아있는 차량들도 조만간 모두 폐차될 예정이다.  


외형적인 특징으로 도시형 지하철이라는 컨셉을 적용하여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전폭이 넓은 이른바 광폭형 디자인을 도입하였으며, 당시로서는 매우 신선한 디자인이었다. 따라서 승객 입장에서는 기존의 네모반듯한 차량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이 여유롭게 느껴질 정도. 또한 전두부 운전실 디자인은 중앙에 설치된 비상탈출용 관통문을 경계로 좌우로 커다란 유리창이 나뉘어 있으며, 특이하게도 운전 제어대가 진행방향기준 오른쪽에 쏠려있다.
외형적인 특징으로 도시형 지하철이라는 컨셉을 적용하여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전폭이 넓은 이른바 광폭형 디자인을 도입하였으며, 당시로서는 매우 신선한 디자인이었다. 따라서 승객 입장에서는 기존의 네모반듯한 차량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실내공간이 여유롭게 느껴질 정도. 또한 전두부 운전실 디자인은 중앙에 설치된 비상탈출용 관통문을 경계로 좌우로 커다란 유리창이 나뉘어져 있으며, 특이하게도 운전 제어대가 진행방향기준 오른쪽에 쏠려있다.
 
[[서울 지하철 2호선]]의 경우 [[2020년]]을 마지막으로 GEC 쵸퍼제어 전동차는 모두 전멸하였으며, 3호선에서도 [[2022년]] [[9월 30일]]을 마지막으로 모두 퇴역했다. 이 차량을 마지막으로 해서 수도권에서는 전기자 초퍼제어 전동차가 전멸했고 IGBT 초퍼제어인 [[의정부경전철 U100호대 전동차]]가 수도권의 유일한 초퍼제어 차량이 되었다.


== 구분 ==
== 구분 ==
42번째 줄: 63번째 줄:
File:seoul_metro_gec_line_2.jpg|3,4호선에서 이적하여 넘어온 편성{{ㅈ|사진 속 차량은 290편성. 현재는 폐차되었다.}}
File:seoul_metro_gec_line_2.jpg|3,4호선에서 이적하여 넘어온 편성{{ㅈ|사진 속 차량은 290편성. 현재는 폐차되었다.}}
</gallery>
</gallery>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83년부터 1984년까지 MELCO형과 GEC형이 모두 도입되었으며, GEC형은 15편성 90량이 도입되었다. 당시 지하철은 1편성 6량으로 운행되었기 때문. 이후 수도권 전철 10량화 증편에 맞추어 꾸준히 부수객차가 도입되었고, 3호선에서 이적하여 넘어온 편성 등 2호선 전동차는 MELCO와 GEC가 양분하던 시절도 있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되었다. 1983년부터 1984년까지 MELCO형과 GEC형이 모두 도입되었으며, GEC형은 15편성 90량이 도입되었다. 당시 지하철은 1편성 6량으로 운행되었기 때문. 이후 수도권 전철 10량화 증편에 맞추어 꾸준히 부수객차가 도입되었고, 3호선에서 이적하여 넘어온 편성 등 2호선 전동차는 MELCO와 GEC가 양분하던 시절도 있었다.  


리즈시절이라고 할 수 있는 1990년~2000년대 사이에는 최대 40편성 400량의 GEC 전동차가 2호선을 누비고 다녔으나, 내구연한 만료가 도래하면서 2008년~2010년을 기점으로 대거 폐차가 진행되었고, [[2020년]] [[3월 30일]] 최후로 남아있던 284편성이 마지막 운행을 하게 되면서 2호선에서 미개조 광폭형 GEC 쵸퍼가 운행하는 모습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2020년]] [[6월 16일]], 284편성의 폐차 매각이 진행되었으며, 이제 2호선 광폭형 GEC 쵸퍼의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2020년]] [[8월]], 277편성을 마지막으로 개조형 GEC 쵸퍼도 막을 내리게 되었으며, 현재는 MELCO형 미개조 GEC 쵸퍼 293편성과 295편성이 2호선 GEC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ㅈ|294편성은 [[2020년]] [[8월 24일]], [[군자차량사업소]] 내에서 112편성과 추돌 사고로 폐차되었다.}} 그러나 이 두 대의 차량도 2022년 하반기까지 교체될 것으로 보이며, 295편성이 폐차되면 2호선의 GEC 차량은 영원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리즈시절이라고 할 수 있는 1990년~2000년대 사이에는 최대 40편성 400량의 GEC 전동차가 2호선을 누비고 다녔으나, 내구연한 만료가 도래하면서 2008년~2010년을 기점으로 대거 폐차가 진행되었고, [[2020년]] [[3월 30일]] 최후로 남아있던 284편성이 마지막 운행을 하게 되면서 2호선에서 미개조 광폭형 GEC 쵸퍼가 운행하는 모습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또한 [[2020년]] [[6월 16일]], 284편성의 폐차 매각이 진행되었으며, 이제 2호선 광폭형 GEC 쵸퍼의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2020년]] [[8월]], 277편성을 마지막으로 개조형 GEC 쵸퍼도 막을 내리게 되었으며, 현재는 MELCO형 미개조 GEC 쵸퍼 293편성과 295편성이 2호선 GEC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ㅈ|294편성은 [[2020년]] [[8월 24일]], [[군자차량사업소]] 내에서 112편성과 추돌 사고로 폐차되었다.}} 그러나 이 두 대의 차량도 2020년 하반기까지 교체될 것으로 보이며, 295편성이 폐차되면 2호선의 GEC 차량은 영원히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 3호선 ===
=== 3호선 ===
51번째 줄: 72번째 줄:
File:seoul_metro_gec_line_3.jpg|전두부 개조 차량 344편성
File:seoul_metro_gec_line_3.jpg|전두부 개조 차량 344편성
</gallery>
</gallery>
MELCO 사양이 동시에 반입된 2호선과 다르게, 3호선은 순수 GEC 사양으로만 도입되었다. 4호선 광역전철화와 맞물려 3호선에서 운행중이던 VVVF 전동차를 4호선에 넘겨주고, 대신 4호선에서 운행중이던 GEC 전동차가 2호선과 3호선으로 이적하면서 GEC 전동차는 3호선의 간판 전동차로 불러도 손색이 없을만큼 당시 서울메트로의 3호선 주력 전동차였다.
MELCO 사양이 동시에 반입된 2호선과 다르게, 3호선은 순수 GEC 사양으로만 도입되었다. 4호선 광역전철화와 맞물려 3호선에서 운행중이던 VVVF 전동차를 4호선에 넘겨주고, 대신 4호선에서 운행중이던 GEC 전동차가 2호선과 3호선으로 이적하면서 GEC 전동차는 3호선의 간판 전동차로 불러도 손색이 없을만큼 당시 서울메트로의 3호선 주력 전동차였다.  


1990년~2000년대 사이에는 최대 57편성 570량이 3호선을 쓸어담고 다녔지만, 역시 2호선과 마찬가지로 내구연한이 도래하면서 {{현재년}}년 기준으로 전두부 미개조 6편성, 개조 9편성이 남아있는 상태다. 이들 역시 최대 [[2022년]]을 전후하여 모두 퇴역할 운명. 개조편성의 경우 2009~2010년 사이에 폐차된 차량들 중 내구연한이 일부 남아있던 부수객차를 조합하여 수명을 연장한 케이스로, 전두부는 원형을 버리고 1호선이나 4호선의 VVVF 차량과 유사한 형태로 개조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편성들은 [[지축차량사업소]]와 [[수서차량사업소]]에 분산되어 소속되어있다.
1990년~2000년대 사이에는 최대 57편성 570량이 3호선을 쓸어담고 다녔지만, 역시 2호선과 마찬가지로 내구연한이 도래하면서 {{현재년}}년 기준으로 전두부 미개조 6편성, 개조 9편성이 남아있는 상태다. 이들 역시 최대 [[2022년]]을 전후하여 모두 퇴역할 운명. 개조편성의 경우 2009~2010년 사이에 폐차된 차량들 중 내구연한이 일부 남아있던 부수객차를 조합하여 수명을 연장한 케이스로, 전두부는 원형을 버리고 1호선이나 4호선의 VVVF 차량과 유사한 형태로 개조되었다. 현재 운행중인 편성들은 [[지축차량사업소]]와 [[수서차량사업소]]에 분산되어 소속되어있다.
60번째 줄: 81번째 줄:
== 운용 ==
== 운용 ==
=== 2호선 ===
=== 2호선 ===
내구연한이 도래하지 않은 편성들은 내선순환, 외선순환 모두 운행한다.
내구연한이 도래하지 않은 편성들은 내선순환, 외선순환 모두 운행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122번째 줄: 142번째 줄:
{{각주}}
{{각주}}
{{수도권 전철 차량}}
{{수도권 전철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차량|1]]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