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법인 정보
{{법인 정보
|법인이름 = 서울교통공사
|이름=서울교통공사
|원어이름 =  
|영문=Seoul Metro
|로고     = [[파일:Seoul Metro Logo.gif|200px]]
|로고=Seoul Metro Logo.gif
|그림     =  
|그림 =
|그림설명 =  
|그림크기 =
|법인종류 = 공기업
|그림설명 =
|주식코드 =
|형태= 공기업
|분야    = [[도시철도]]
|창립= [[2017년]] [[5월 31일]]
|창립자  =  
|창립자=  
|창립일  = [[2017년]] [[5월 31일]]
|이전 회사=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해산일  =  
|이후 회사=  
|이전회사 = [[서울메트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해체=
|이후회사 =  
|시장 정보=
|본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46
|상장일=
|지사수  =  
|국가= {{KOR}}
|인물     =  
|장소=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346
|자본금   = 20조 6,751억 2,872만 3,107원
|사업 지역= 서울특별시 및 인접지역
|매출액   = 2조 46억 4,340만 2,499원
|인물=
|영업이익 = -5,324억 373만 9,298원
|산업= 지하철 운행, 관리
|순이익   = -5,864억 6,726만 8,145원
|서비스=
|자산총액 = 13조 1,990억 4,479만 7,484원
|대표 제품=  
|주주     =  
|자본금=  
|모회사  =  
|매출액=  
|자회사   = [[서울메트로환경]],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서해철도]], [[김포골드라인운영]]
|영업 이익=  
|종업원   = 17,046명
|순이익=  
|웹사이트 = [http://www.seoulmetro.co.kr www.seoulmetro.co.kr]
|자산 총액=  
|비고     =  
|주주=  
|모기업=
|자회사=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부산-김해경전철운영]]
|종업원=  
|웹사이트= [http://www.seoulmetro.co.kr www.seoulmetro.co.kr]
|비고 =  
}}
}}
{{youtube|dEN_YIvTO30|||center}}
== 개요 ==
[[2017년]] [[5월 31일]] 출범한 [[서울특별시]]의 [[지하철]]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2017년]] [[5월 31일]] 출범한 [[서울특별시]]의 [[서울 도시철도|도시철도]]를 운영하는 [[공기업]]이다.
[[2016년]]까지 서울특별시의 양대 지하철 공기업인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를  하나의 지하철 운영사로 통합하는 계획의 결과물이며, 11월 19일 부터 24일까지 치러진 노조원 투표에서 74.4%찬성표가 나오면서 통합이 확정되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4/2016112400169.html 서울메트로·도시철도公 이르면 내년 3월 합친다], 조선일보, {{날짜|2016-11-24}}</ref> 통합된 이후의 회사명칭은 공모전을 통해 다수의 선택을 받은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되었으며, 영문명칭은 '''Seoul Metro'''로 유지된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1/0200000000AKR20161201192600004.HTML?input=1195m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이름은 '서울교통공사'], 연합뉴스, {{날짜|2016-12-2}}</ref>


[[2016년]]까지 서울특별시의 양대 지하철 공기업인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를  하나의 지하철 운영사로 통합하는 계획의 결과물이며, 11월 19일 부터 24일까지 치러진 노조원 투표에서 74.4%의 찬성표가 나오면서 통합이 확정되었다.<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4/2016112400169.html 서울메트로·도시철도公 이르면 내년 3월 합친다], 조선일보, [[2016년]] [[11월 24일]]</ref> 통합회사의 명칭은 공모전을 통해 다수의 선택을 받은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되었으며, 영문명칭은 '''Seoul Metro'''로 유지되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2/01/0200000000AKR20161201192600004.HTML?input=1195m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이름은 '서울교통공사'], 연합뉴스, [[2016년]] [[12월 2일]]</ref>
통합은 해놨는 데, 대부분의 조직이 서울메트로 조직과 서울도시철도공사 조직을 수평적으로 합쳐놓은 것이라 효율적인 조직 구성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통합 이전부터 역사 관리를 통합한 환승역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환승역에는 서메/도철 각각에서 꾸려놓은 역무 조직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시설 조직도 서울메트로 조직(제1사업소)과 도시철도공사 조직(제2사업소)가 공존하고 있다.
 
통합으로 인해 연간 약 21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124_0014538408&cID=10201&pID=10200 서울지하철 통합효과 매년 214억…'안전분야 재투자'], 뉴시스, [[2016년]] [[11월 24일]]</ref> 하지만 대부분의 조직이 서울메트로 조직과 서울도시철도공사 조직을 수평적으로 합쳐놓은 것이라 효율적인 조직 구성과는 다소 거리가 멀다. 통합 이전부터 역사 관리를 통합한 환승역들을 제외하면 여전히 환승역에는 서메/도철 각각에서 꾸려놓은 역무 조직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며, 시설 조직도 서울메트로 조직(제1사업소)과 도시철도공사 조직(제2사업소)가 공존하고 있다.


== 역사 ==
== 역사 ==
* [[2014년]] [[12월 1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 양대 공기업 통합안 발표.<ref>[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R&seq_800=10060293 서울 지하철, 2016년 통합], TBS, 2014.12.11.</ref>
* [[2016년]] [[11월 19일]]
* [[2016년]] [[3월 17일]]: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통합을 위한 노사정 합의안 마련.<ref>[http://news.kbs.co.kr/news/view.do?ncd=3249592&ref=A 서울지 메트로·서울도철 통합 잠정 합의…천 명 자연감축], KBS, 2016.03.17.</ref>
*: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원들이 통합 찬반투표를 진행하여 74.4%의 찬성으로 통합안이 가결됨.
* [[2016년]] [[3월 29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원들이 노사정 합의 찬반투표를 진행하여 52.7%의 반대로 통합안이 부결됨.<ref>[https://www.yna.co.kr/view/AKR20160329171600004?input=1195m 서울메트로·도철 통합 무산…노조 투표로 반대(종합)], 연합뉴스, 2016.03.29.</ref>
* [[2016년]] [[12월 2일]]
* [[2016년]] [[3월 31일]]: 통합 논의 잠정중단.<ref>[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421500053 서울시의회 “박원순 시장, 서울지하철 공사 통합중단 재확인”], 서울신문, 2016.04.21.</ref>
*: 통합될 공사의 명칭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됨.
* [[2016년]] [[11월 19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노조원들이 2차 찬반투표를 진행하여 74.4%의 찬성으로 통합안이 가결됨.
* [[2017년]] [[5월 31일]]
* [[2016년]] [[12월 2일]]: 통합될 공사의 명칭이 공모를 통해 선정된 '''서울교통공사'''로 확정됨.
*: 서울교통공사 출범<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31/0200000000AKR20170531048700004.HTML?input=1195m 지하철 1∼8호선 23년 만에 통합…서울교통공사 출범], 연합뉴스, {{날짜|2017-5-31}}</ref>. 기존 법인은 해산된다.
* [[2017년]] [[3월 3일]]: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서울교통공사 설립·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안 가결.<ref>[http://www.tbs.seoul.kr/news/bunya.do?method=daum_html2&typ_800=7&seq_800=10205251 서울시의회, 제272회 임시회 폐회…71개 안건 처리], TBS, 2017.03.03.</ref>
* [[2017년]] [[5월 31일]]: 서울교통공사 출범<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31/0200000000AKR20170531048700004.HTML?input=1195m 지하철 1∼8호선 23년 만에 통합…서울교통공사 출범], 연합뉴스, [[2017년]] [[5월 31일]]</ref>. 기존 법인은 해산된다.
* [[2018년]] [[11월 28일]]: 자회사인 [[서울메트로9호선운영]]가 담당하던 9호선 언주 ~ 중앙보훈병원 구간을 직영으로 전환<ref>{{뉴스 인용|제목=지하철 9호선 2·3단계 운영…서울교통공사 직영으로 전환|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272031005|저자=이진주 기자|출판사=[[경향신문]]|날짜=2018-08-27}}</ref><ref>{{뉴스 인용|제목=서울지하철 9호선 2·3단계, 서울교통공사 직영 전환|url=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128_0000487023|저자=김진아 기자|출판사=[[뉴시스]]|날짜=2018-11-28}}</ref>
* 2022년 1월 1일: 까치울 ~ 부평구청 구간의 운영권을 [[인천교통공사]]로 이관<ref>[https://www.ictr.or.kr/main/bbs/bbsMsgDetail.do?msg_seq=2735&bcd=report 인천교통공사, 7호선 인천·부천 연장선 운영권 성공적으로 이관받아], 인천교통공사 보도자료</ref> 및 해당 구간을 담당하는 부천영업사업소 폐지


== 업무 ==
== 특징 ==
* 서울시 도시철도의 건설과 운영
서울 지하철 1~8호선과 9호선 운영, 기존 서울메트로의 자회사인 부산-김해 경전철 등을 포함하는 매머드급 도시철도 공기업으로 재편된다.
* 도시철도 부대사업
* 도시철도 건설 및 운영에 따른 도시계획사업


=== 운영 노선 ===
== 운영 노선 ==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 [[서울 도시철도 2호선]]
* [[서울 지하철 2호선]]
* [[서울 도시철도 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
* [[서울 도시철도 4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
* [[서울 도시철도 5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 [[서울 도시철도 6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 [[서울 도시철도 7호선]] (장암~온수)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서울 도시철도 8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
* [[서울 도시철도 9호선]] (언주~중앙보훈병원)
* [[서울 지하철 9호선]]([[언주역]] ~ [[중앙보훈병원역]])


=== 영업사업소 ===
자회사인 [[서울메트로9호선운영]]이 2단계 구간([[언주역|언주]] -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의 운영을 담당하였으나, 3단계 개통을 앞두고 노사 합의로 해당 자회사를 서울교통공사에 합병시켜 서울교통공사가 2·3단계 구간을 직영하기로 결정되었다. <ref>{{뉴스 인용|제목=지하철 9호선 2·3단계 운영…서울교통공사 직영으로 전환|url=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272031005|저자=이진주 기자|출판사=[[경향신문]]|날짜=2018-08-27}}</ref><ref>{{뉴스 인용|제목=서울지하철 9호선 2·3단계, 서울교통공사 직영 전환|url=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128_0000487023|저자=김진아 기자|출판사=[[뉴시스]]|날짜=2018-11-28}}</ref>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font-size: 90%;"
! 영업사업소
! 소속역
! 역 수
|-
! 종로
| [[서울역]], [[시청역 (서울)|시청역]], [[종각역]], [[종로5가역]], [[동묘앞역]](1호선),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용두역]], [[신답역]], [[용답역]]
| 14
|-
! 동대문
| [[을지로입구역]], [[을지로3가역]], [[을지로4가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4호선), [[신당역]], [[상왕십리역]], [[왕십리역]], [[한양대역]], [[뚝섬역]]
| 14
|-
! 종합운동장
| [[성수역]], [[건대입구역]], [[구의역]], [[강변역]], [[잠실나루역]],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13
|-
! 신대방
| [[강남역]], [[교대역 (서울)|교대역]], [[서초역]], [[방배역]], [[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 [[신대방역]], [[구로디지털단지역]], [[대림역]]
| 13
|-
! 당산
| [[신도림역]], [[도림천역]], [[양천구청역]], [[신정네거리역]], [[문래역]], [[영등포구청역]], [[당산역]],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지하)|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 16
|-
! 경복궁
| [[지축역]], [[구파발역]], [[연신내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경복궁역]], [[안국역]], [[종로3가역]](1·3호선), [[동대입구역]], [[약수역]], [[금호역]], [[옥수역]]
| 16
|-
! 도곡
| [[압구정역]], [[신사역]], [[잠원역]], [[고속터미널역]], [[남부터미널역]], [[양재역]], [[매봉역]], [[도곡역]], [[대치역]], [[학여울역]], [[대청역]], [[일원역]], [[수서역]], [[경찰병원역]], [[오금역]]
| 16
|-
! 상계
| [[당고개역]], [[상계역]], [[노원역]], [[창동역]],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동대문역]]
| 15
|-
! 동작
| [[충무로역]], [[명동역]], [[회현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이촌역]], [[동작역]], [[총신대입구역|총신대입구역&이수역]], [[사당역]], [[남태령역]]
| 14
|-
! 화곡
| [[방화역]], [[개화산역]], [[김포공항역]], [[송정역 (서울)|송정역]], [[마곡역]], [[발산역]], [[우장산역]], [[화곡역]], [[까치산역]], [[신정역]], [[목동역]], [[오목교역]], [[양평역 (서울)|양평역]], [[영등포시장역]], [[신길역]], [[여의도역]], [[여의나루역]]
| 17
|-
! 광화문
| [[마포역]], [[공덕역]], [[애오개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종로3가역]](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5호선), [[청구역]], [[신금호역]], [[행당역]], [[마장역]], [[답십리역]], [[장한평역]], [[군자역]], [[아차산역]], [[광나루역]], [[천호역]]
| 17
|-
! 강동
| [[강동역]], [[길동역]], [[굽은다리역]], [[명일역]], [[고덕역]], [[상일동역]], [[둔촌동역]], [[올림픽공원역]], [[방이역]], [[개롱역]], [[거여역]], [[마천역]], [[미사역]], [[하남풍산역]], [[하남시청역]], [[하남검단산역]]
| 17
|-
! 성산
| [[응암역]], [[역촌역]], [[불광역]], [[독바위역]], [[구산역]], [[새절역]], [[증산역 (서울)|증산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월드컵경기장역  (서울)|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망원역]], [[합정역]], [[상수역]], [[광흥창역]], [[대흥역]]
| 15
|-
! 동묘
| [[효창공원앞역]], [[녹사평역]], [[이태원역]], [[한강진역]], [[버티고개역]], [[약수역]], [[신당역]], [[동묘앞역]](6호선), [[창신역]], [[보문역]], [[안암역]], [[고려대역]], [[월곡역]], [[상월곡역]], [[돌곶이역]], [[석계역]], [[화랑대역]], [[봉화산역]], [[신내역]]
| 17
|-
! 태릉
| [[장암역]], [[도봉산역]],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용마산역]], [[중곡역]], [[어린이대공원역]], [[뚝섬유원지역]], [[청담역]]
| 18
|-
! 보라매
| [[강남구청역]], [[학동역]], [[논현역]], [[반포역]], [[내방역]], [[남성역]], [[숭실대입구역]], [[상도역]], [[장승배기역]], [[신대방삼거리역]], [[보라매역]], [[신풍역]], [[남구로역]], [[가산디지털단지역]], [[철산역]], [[광명사거리역]], [[천왕역]], [[온수역]]
| 18
|-
! 모란
| [[암사역]], [[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 [[석촌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문정역]], [[장지역]], [[복정역]], [[남위례역]], [[산성역]],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성남)|신흥역]], [[수진역]], [[모란역]]
| 16
|-
|}
 
=== 자회사 ===
; 김포골드라인운영
: [[김포골드라인]]을 위탁 운영하는 기업으로, [[2018년]] [[1월 12일]]에 설립되었다.
 
; 서해철도
: [[서해선]] 소사~원시 구간의 역사 및 시설물을 관리·운영하는 기업으로, [[2018년]] [[1월 12일]]에 설립되었다.
: 설립 당시에는 이름이 '''소사원시선운영'''이었지만, 2018년 5월 25일에 '''소사원시운영'''으로 바꾸었고, 2018년 06월 16일 현재의 이름으로 다시 한번 바꾸었다.
 
; 서울메트로환경
: 1~4호선의 청소와 청사 별관(사당, 대림, 동대문, 신답) 및 1~4호선의 차량기지의 경비를 담당한다.
 
; 서울도시철도그린환경
: 5~8호선의 청소를 담당한다.
 
; 서울도시철도엔지니어링
: 서울 도시철도의 전기, 통신, 소방, 건축 시설물 등을 관리한다.
 
아래 기업들은 현재는 사라진 자회사이다.
*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언주~종합운동장 구간의 운영을 담당했던 기업으로, 2018년 11월 27일부터 서울교통공사의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 부산-김해경전철운영
*: [[부산김해경전철]]을 위탁 운영하던 기업으로, 2017년 4월 17일부터 [[부산-김해경전철 (기업)|부산-김해경전철]]의 직영으로 전환되었다.


== 기타 ==
== 기타 ==
{{youtube|p0E8wtunyS4|||center|공식 로고송}}
* 통합으로 인해 연간 약 210억원의 예산 절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f>[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1124_0014538408&cID=10201&pID=10200 서울지하철 통합효과 매년 214억…'안전분야 재투자'], 뉴시스, {{날짜|2016-11-24}}</ref>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대한민국의 지방 공기업}}
{{대한민국의 지방 공기업}}
172번째 줄: 75번째 줄:
[[분류:공기업]]
[[분류:공기업]]
[[분류:2017년 설립]]
[[분류:2017년 설립]]
[[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