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SCH-M470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sch-m470.jpg|right|280px|thumb|SCH-M470]]
[[파일:sch-m470.jpg|right|280px|thumb|SCH-M470]]
'''SCH-M470'''은 [[SKT]] 대상으로 [[2008년#3월|2008년 3월]]에 출시한 [[윈도우 모바일]] 폰이다. [[삼성 SPH-M4500|SPH-M4500]]의 작은 크기가 한 번 더 쓰이면서, 이번에는 메탈 디자인이 적용되어 겉모습이 고급스러워 보이게 만들었다. {{ㅊ|하지만 크롬 도금이 벗겨지면 어떻게 될까}} [[HSPA|HSUPA]] 통신을 지원하여 업로드에 강력한 폰이라고 홍보하였다.
SCH-M470은 [[SKT]] 대상으로 2008년 3월에 출시한 [[윈도우 모바일]] 폰이다. [[삼성 SPH-M4500|SPH-M4500]]의 작은 크기가 한 번 더 쓰이면서, 이번에는 메탈 디자인이 적용되어 겉모습이 고급스러워 보이게 만들었다. {{ㅊ|하지만 크롬 도금이 벗겨지면 어떻게 될까}} [[HSPA|HSUPA]] 통신을 지원하여 업로드에 강력한 폰이라고 홍보하였다.


== 개요 ==
== 개요 ==
33번째 줄: 33번째 줄:
|RAM||64MB
|RAM||64MB
|-
|-
|저장 공간||256MB ROM<br />[[SD 카드|microSDHC 카드]] 최대 16GB
|저장 공간||256MB ROM<br/>[[SD 카드|microSDHC 카드]] 최대 16GB
|-
|-
|통화 기술||[[CDMA]] 1x/EVDO
|통화 기술||[[CDMA]] 1x/EVDO
44번째 줄: 44번째 줄:
|}  
|}  


비슷한 외양의 전작보다 더 넓어지고, 가벼워지고, 얇아졌다. {{ㅊ|역시 M4500의 상위 호환}}
비슷한 외양의 전작보다 더 넓어지고, 가벼워지고, 얇아졌다. {{ㅊ|역시 M4500의 상위 호환}}  


[[Wi-Fi]]와 [[블루투스]] 덕에 데이터 활용에 지장은 없으나, [[지상파 DMB]]가 빠졌다. 전작과 대비되는 행보다.
[[Wi-Fi]]와 [[블루투스]] 덕에 데이터 활용에 지장은 없으나, [[지상파 DMB]]가 빠졌다. 전작과 대비되는 행보다.
58번째 줄: 58번째 줄:
;HSUPA 적용
;HSUPA 적용
: 기존의 국내 3G<ref>엄밀히 말해 3.5세대에 속한다. 자세한 정보는 [[3G]].</ref> 환경에서의 통신 규격 대세는 [[HSDPA]]였지만 '''SCH-M470'''은 HSDPA에서 지적되오던 업로드 대역폭을 넓힌 [[HSPA#HSUPA|HSUPA]]를 적용해 더욱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으며 특히 업로드 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고는 하는데 M470 판매가 죽을 쑨 이후로 출시되는 후속 기기들부터는 아예 그런 광고가 쏙 들어가버렸다;; 그리고 실제로 '''SCH-M470'''을 써본 사람들은 그다지 이 사실을 크게 느끼진 못하는 듯했다. <s>일단 저질 CPU부터 어떻게 좀 해보고 광고를 했어야지...</s>
: 기존의 국내 3G<ref>엄밀히 말해 3.5세대에 속한다. 자세한 정보는 [[3G]].</ref> 환경에서의 통신 규격 대세는 [[HSDPA]]였지만 '''SCH-M470'''은 HSDPA에서 지적되오던 업로드 대역폭을 넓힌 [[HSPA#HSUPA|HSUPA]]를 적용해 더욱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으며 특히 업로드 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고는 하는데 M470 판매가 죽을 쑨 이후로 출시되는 후속 기기들부터는 아예 그런 광고가 쏙 들어가버렸다;; 그리고 실제로 '''SCH-M470'''을 써본 사람들은 그다지 이 사실을 크게 느끼진 못하는 듯했다. <s>일단 저질 CPU부터 어떻게 좀 해보고 광고를 했어야지...</s>
: 사실은 통신사측에서 넘쳐나는 트래픽을 통제하기 위해 업로드 대비 다운로드 비율과 최대 속도를 '''훨씬 낮게''' 막아놓고 있어서 이론상 가능하다는 3.6Mbps의 절반도 못 내는 게 현실. 실제로 [[KT]]측에서는 이 일로 미칠 듯한 항의가 들어와 [[2010년#10월|2010년 10월]]부터 속도 제한을 상향 조정한 바가 있다.
: 사실은 통신사측에서 넘쳐나는 트래픽을 통제하기 위해 업로드 대비 다운로드 비율과 최대 속도를 '''훨씬 낮게''' 막아놓고 있어서 이론상 가능하다는 3.6Mbps의 절반도 못 내는 게 현실. 실제로 [[KT]]측에서는 이 일로 미칠듯한 항의가 들어와 2010년 10월부터 속도 제한을 상향 조정한 바가 있다.


; [[플랫터치]] 적용
; [[플랫터치]] 적용
: 드디어 플랫 터치를 적용, 액정 터치면과 외부 베젤의 높이가 같아졌다! 가장 자리도 비교적 잘 눌리고 먼지가 구석으로 밀려들어가 나오지 않는다던가 하는 일도 없어서 외관상 보기도 좋은 듯. 하지만 기존의 폭신한 느낌의 터치가 아니라, '''맨유리에 콩콩 찍는 것 같은 답답함'''이 새로 생겨났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뒤이어 출시된 [[삼성 SPH-M4655|SPH-M4655]], [[삼성 미라지|미라지]] 등 이후 플랫터치 적용 기종에서도 제법 길게 이어진다. 그나마 [[SCH-M490]] T-옴니아 정도 가서야 터치감이 미세하게 향상된다고... : 이 모든게 감압식 터치의 한계라고는 하지만 감도가 심히 골룸하다-_-; 특히 '''[[액정 보호지]]를 붙인 이후에는 더더욱'''.
: 드디어 플랫 터치를 적용, 액정 터치면과 외부 베젤의 높이가 같아졌다! 가장 자리도 비교적 잘 눌리고 먼지가 구석으로 밀려들어가 나오지 않는다던가 하는 일도 없어서 외관상 보기도 좋은 듯. 하지만 기존의 폭신한 느낌의 터치가 아니라, '''맨유리에 콩콩 찍는 것 같은 답답함'''이 새로 생겨났다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경향은 뒤이어 출시된 [[삼성 SPH-M4655|SPH-M4655]], [[삼성 미라지|미라지]] 등 이후 플랫터치 적용 기종에서도 제법 길게 이어진다. 그나마 [[SCH-M490]] T-옴니아 정도 가서야 터치감이 미세하게 향상된다고... : 이 모든게 감압식 터치의 한계라고는 하지만 감도가 심히 골룸하다-_-; 특히 '''[[액정 보호지]]를 붙인 이후에는 더더욱'''.
: 참고로 최초 플랫터치 적용은 [[삼성 SPH-M8200]]이다.
: 참고로 최초 플랫터치 적용은 [[삼성 SPH-M8200]]이다.


71번째 줄: 72번째 줄:


== 문제점 ==
== 문제점 ==
특징 몇 가지를 나열하고 나니 더 이상 좋은 점을 말할 것이 없다(...). 그 만큼 사람들에게 불평을 받았다는 얘기. 여기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아니, 당장 커뮤니티에서 조금만 검색해도 나오니깐...)
특징 몇 가지를 나열하고 나니 더 이상 좋은점을 말할 것이 없다(...). 그 만큼 사람들에게 불평을 받았다는 얘기. 여기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아니, 당장 커뮤니티에서 조금만 검색해도 나오니깐...)
* 반응 속도가 '''미칠 듯이 느리다'''. MSM7200 칩셋은 오로지 '''일반 폰을 위한 CPU'''인데 여기에 그 무거운 [[Microsoft Windows Mobile|Windows Mobile]]을 얹어버렸으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사실 [[Qualcomm|퀄컴]]의 MSM 칩셋은 CPU 본연의 자체 성능보다는 Java 처리 전용의 Jazelle 자바 가속기로 밀어붙이는 칩셋이다(일반폰의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자바로 만든다)! 물론 일반폰의 BREW OS 전용 가속기도 별도로 존재한다. 하지만 자바로 만든것도 아니고 BREW와는 전혀 상관없는 WM을 쓰게 되면서 Jazelle 가속이나 BREW 가속은 소용이 없어졌다.</ref>. 시대를 대놓고 역행하는 속도에 정신나간 클럭당 효율을 자랑하는 MSM 칩셋이 큰 공을 세웠다(...). 그런데 웃긴 건 '''같은 CPU를 사용하는''' [[HTC 터치 듀얼]]은 이런 문제가 전혀 없다(...). 삼성의 발적화가 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모습.
* 반응 속도가 '''미칠듯이 느리다'''. MSM7200 칩셋은 오로지 '''일반 폰을 위한 CPU'''인데 여기에 그 무거운 [[Microsoft Windows Mobile|Windows Mobile]]을 얹어버렸으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ref>사실 [[Qualcomm|퀄컴]]의 MSM 칩셋은 CPU 본연의 자체 성능보다는 Java 처리 전용의 Jazelle 자바 가속기로 밀어붙이는 칩셋이다(일반폰의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자바로 만든다)! 물론 일반폰의 BREW OS 전용 가속기도 별도로 존재한다. 하지만 자바로 만든것도 아니고 BREW와는 전혀 상관없는 WM을 쓰게 되면서 Jazelle 가속이나 BREW 가속은 소용이 없어졌다.</ref>. 시대를 대놓고 역행하는 속도에 정신나간 클럭당 효율을 자랑하는 MSM 칩셋이 큰 공을 세웠다(...). 그런데 웃긴건 '''같은 CPU를 사용하는''' [[HTC 터치 듀얼]]은 이런 문제가 전혀 없다(...). 삼성의 발적화가 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모습.
 
* 무작위 확률로, '''자동으로 [[하드리셋]]된다'''. 어?
* 무작위 확률로, '''자동으로 [[하드리셋]]된다'''. 어?
* 특정 상황에서 통화음이 들리지 않는다(재부팅으로 해결된다지만 어쨌든 골룸하다).
* 특정 상황에서 통화음이 들리지 않는다(재부팅으로 해결된다지만 어쨌든 골룸하다).
* [[백화 현상]]이 발생한다. <s>[[장비를 정지합니다]]</s>
* [[백화 현상]]이 발생한다. <s>[[장비를 정지합니다]]</s>
* [[Qualcomm Qtv|QTV]] 가속을 전혀 사용하지 못한다. <s>칩셋을 사왔는데 왜 쓰질 못하니</s>
* [[Qualcomm Qtv|QTV]] 가속을 전혀 사용하지 못한다. <s>칩셋을 사왔는데 왜 쓰질 못하니</s>
** 이로 인해 동영상 성능이 크게 하락했다. 동영상을 순수 CPU의 힘으로 구동한다!
** 이로인해 동영상 성능이 크게 하락했다. 동영상을 순수 CPU의 힘으로 구동한다!


== 가십 ==
== 가십 ==
마이미츠 운영진 중 한명인 '''날씨흐림'''리뷰를 하다가 '''열받아서 던져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TCPMP]] 구동이 아예 안 되어, 리뷰에서 강하게 클레임을 걸어놨더니 양산판에서는 해결, 삼성이 리뷰 내용에 대해 뿔나기도 했다. {{ㅊ|언니 저 맘에 안 들죠? 기기 주지 말까요?}}<br /> 이 일 이후로는 마이미츠 리뷰가 상당히 단조로워지고 조심스럽게 변해버리게 되어버려 거침없는 '''까기'''의 부재에 안타까움을 남기게 된다. 여러모로 나쁜 영향을 끼친 존재인 듯...
마이미츠 운영진 중 한 분인 '''날씨흐림'''님께서 리뷰를 하다가 '''열받아서 던져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TCPMP]] 구동이 아예 안 되어, 리뷰에서 강하게 클레임을 걸어놨더니 양산판에서는 해결, 삼성이 리뷰 내용에 대해 뿔나기도 했다. {{ㅊ|언니 저 맘에 안들죠? 기기 주지 말까요?}}<br /> 이 일 이후로는 마이미츠 리뷰가 상당히 단조로워지고 조심스럽게 변해버리게 되어버려 거침없는 '''까기'''의 부재에 안타까움을 남기게 된다. 여러모로 나쁜 영향을 끼친 존재인 듯...


== 총평 ==
== 총평 ==
'''윈도 모바일을 탑제한 하이브리드 피처폰'''
사면 바보... 라는 게 만장일치, 이구동성으로 나온다. 샀다는 사람들의 절대 다수는 얼마 안 가 '''환불'''받았다고 하는 듯. 중요한 실패 요인 중 하나로 [[버스]]의 부재가 꼽힌다! 무슨 배짱인지 꿋꿋이 높은 가격으로 가격 <s>발악</s>방어를 해대더니, 한 1년 쯤 지나 재고떨이 [[버스]]가 한 차례 지나간 후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린 듯.
 
사면 바보... 라는 게 만장일치, 이구동성으로 나온다. 샀다는 사람들의 절대 다수는 얼마 안 가 '''환불'''받았다고 하는 듯. 중요한 실패 요인 중 하나로 [[버스]]의 부재가 꼽힌다! 무슨 배짱인지 꿋꿋이 높은 가격으로 가격 <s>발악</s>방어를 해대더니, 한 1년쯤 지나 재고떨이 [[버스]]가 한 차례 지나간 후 시장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린 듯.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95번째 줄: 95번째 줄:
* [http://heidi.tistory.com/88 SCH-M470을 지른 후 구어삶아보니] (사용기)
* [http://heidi.tistory.com/88 SCH-M470을 지른 후 구어삶아보니] (사용기)


{{각주}}
----
<references/>


{{삼성 MITs}}
{{삼성 MITs}}
[[분류:윈도우 모바일]]
[[분류:윈도우 모바일]]
[[분류:삼성 MITs|470]]
[[분류:삼성 MITs|470]]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