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 개요 ==
'''사탄'''(Satan)은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거론되는 [[악마]]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악마의 우두머리로 취급되며, 악마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고 있다. {{ㅊ|유학자}}개신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역성경]]에서는 사단이라  칭하기도 한다.
'''사탄'''(Satan)은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에서 거론되는 [[악마]]다. 기독교 신학에서는 악마의 우두머리로 취급되며, 악마의 대명사처럼 사용되고 있다. {{ㅊ|유학자}}개신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개역성경]]에서는 사단이라  칭하기도 한다.


9번째 줄: 10번째 줄:
인간의 감정 중 가장 ㅎㄷㄷ한 감정인 분노를 관장하는 악마답게 그 힘도 강대하다.
인간의 감정 중 가장 ㅎㄷㄷ한 감정인 분노를 관장하는 악마답게 그 힘도 강대하다.


외형에 대해선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중세시대의 묘사에 의하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염소머리가 달렸다는 묘사도 있고, 구약성경에 나오는 이브를 꼬드긴 뱀과 [[묵시록의 붉은 용]]이 사탄이라는 설도 있다. 또 [[실낙원]]에서의 삽화 묘사에 의하면 갑옷을 입고 박쥐날개가 달린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래저래 [[드래곤|용]]의 형상을 닮기는 한 듯.
외형에 대해선 여러가지 설이 있으나 중세시대의 묘사에 의하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염소머리가 달렸다는 묘사도 있고, 구약성경에 나오는 이브를 꼬드긴 뱀과 [[묵시록의 붉은 용]]이 사탄이라는 설도 있다. 또 [[실낙원]]에서의 삽화 묘사에 의하면 갑옷을 입고 박쥐날개가 달린 인간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래저래 [[드래곤|용]]의 형상을 닮기는 한 듯.  


사탄의 이미지가 이렇게 뒤죽박죽이 된 이유는 아무래도 악마의 왕이다 보니 무섭고 나쁜 놈을 무조건 사탄으로 몰았기 때문이다. 사탄 입장에선 억울할지도(...)
사탄의 이미지가 이렇게 뒤죽박죽이 된 이유는 아무래도 악마의 왕이다 보니 무섭고 나쁜 놈을 무조건 사탄으로 몰았기 때문이다. 사탄 입장에선 억울할지도(...)
21번째 줄: 22번째 줄:


==성서속의 모습==
==성서속의 모습==
구약성경 욥기에서 등장하는 모습은 땅 위를 두루 다니면서 사람을 고발하는 역할과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물론 그 사람이 실제 죄가 없더라도 일단 고발하고 재난을 일으켜 죄를 짓도록 유도하는 일을 주로 하기 때문에 떡검이나 섹검과 같은 이미지를 투영하면 대충 들어맞는다.. 이후 스가랴서의 경우도 비슷한 역할로 등장하는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를 세번 유혹하였으나 실패하기도 하였다.  성서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에서는 사탄을 옛 뱀이라 칭하는데 이는 창세기의 에덴동산에서 인류를 유혹하여 타락시킨 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생각하면 사탄의 개념이 상당히 오래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구약성경 욥기에서 등장하는 모습늗 땅 위를 두루 다니면서 사람을 고발하는 역할과 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물론 그 사람이 실제 죄가 없더라도 일단 고발하고 재난을 일으켜 죄를 짓도록 유도하는 일을 주로 하기 때문에 떡검이나 섹검과 같은 이미지를 투영하면 대충 들어맞는다.. 이후 스가랴서의 경우도 비슷한 역할로 등장하는 모습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신약성경에서는 예수를 세번 유혹하였으나 실패하기도 하였다.  성서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에서는 사탄을 옛 뱀이라 칭하는데 이는 창세기의 에덴동산에서 인류를 유혹하여 타락시킨 뱀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생각하면 사탄의 개념이 상당히 오래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성서상의 모습을 좀 더 보면 구약 문학에서는(욥기) 고발자, 또는 참소자의 이미지 정도만 있었으나 바빌론 포로기 이후 훼방자, 대적자의 이미지가 보다 강해지고 성서의 마지막 책은 악마의 왕 정도 급이나 악마의 대명사와 같은 혼용된 이미지가 나타나게 된다. 이는 유대민족의 바빌론 포로기와 이후 [[페르시아]] 제국의 성립으로 이들이 다시 팔레스타인으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이들에게 관용적이었던 페르시아 제국의 종교인 [[조르아스터교]]에서 악신인 아흐리만의 이미지가 투영되면서 그냥 천사나 영적 존재 중 하나에 불과했던 사탄의 이미지에 덧칠되면서 유일신에 도전할만한 세력으로까지 여겨지는 이원론적 신관이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바빌론 포로기 이전의 성서 내용을 보면 인간이 스스로 죄를 지어서 신의 징벌을 받는다는 개념의 서사 구조를 가지는데 비해 포로기 이후에는 대적자들이 등장하거나 사탄이 방해를 하여 인간이 죄를 짓거나 문제가 생기는 서사 구조로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대중문화 속의 사탄 ==
== 대중문화 속의 사탄 ==
* 게임 [[여신전생 시리즈]]에서도 등장한다. 처음 등장했던 《[[디지털 데빌 이야기 여신전생 2]]》에서는 마왕으로 등장했다. 《[[진 여신전생 II]]》부터 YHVH의 분령이자 심판자 포지션을 받아 대천사, 신령<ref>로우 루트에서 아군으로 나올때는 대천사, 카오스와 뉴트럴 루트에서 적으로 나올 때는 신령.</ref> 종족의 악마로 나온다. 《[[진 여신전생 IV FINAL]]》에서는 옛 천사, 시험하는 자로써 원(原)천사로 등장한다.
* 게임 [[여신전생]] 시리즈에서는 처음 등장했던 디지털 데빌 이야기 여신전생 2에서는 마왕으로 등장했다. 진 여신전생 2부터 YHVH의 분령이자 심판자 포지션을 받아 대천사 종족의 악마로 나온다. 진 여신전생 4 FINAL에서는 옛 천사, 시험하는 자로써 원(原)천사로 등장한다.
* [[판타지 소설]] [[가즈 나이트 시리즈]]에서는 [[악신계]]에 자리 잡은 7대 악마왕 중 하나로 나온다.
* [[판타지 소설]] [[가즈 나이트 시리즈]]에서는 [[악신계]]에 자리 잡은 7대 악마왕 중 하나로 나온다.
* [[웹툰]] 《[[나이트런]]》에서는 상위 괴수 0식들 중 한 개체의 식별명으로 나온다.
* [[웹툰]] 《[[나이트런]]》에서는 상위 괴수 0식들 중 한 개체의 식별명으로 나온다.
* [[모바일 게임]] 《[[퍼즐앤드래곤]]》에서는 몬스터 중 하나로 나온다.
* [[모바일 게임]] 《[[퍼즐앤드래곤]]》에서는 몬스터 중 하나로 나온다.
* [[라이트 노벨]] 《[[알바 뛰는 마왕님!]]》의 주인공 이름은 마왕 사탄(마오 사다오)이다.
* [[라이트 노벨]] 《[[알바 뛰는 마왕님!]]》의 주인공 이름은 마왕 사탄(마오 사다오)이다.
== 사탄 드립 ==
[[파일:아 이건 좀.png|섬네일]]
[[2018년]]경부터 감히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반인륜적인 사건이 발생하면 '''사탄 실직''', '''사탄 연패''' 등의 반응이 달리고 있다. [[악마]]같은 짓보다 한 발 더 나간 짓이라는 소리. 중범죄에도 달리지만 가벼운 농담으로 사용되기도 하는 편.
==기타==
*{{ㅊ|한국에는 [[사탄마을|사탄이 사는 마을]]이 있다고 [[카더라]]}}


{{각주}}
{{각주}}
[[분류: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분류: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분류:악마]]
[[분류:악마]]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