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소프트웨어 정보
{{소프트웨어 정보
|이름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이름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원어이름 =
| 로고                 = [[파일:Visual Studio Code 1.35 icon.svg|100px]]
|배경색  =
| 로고크기            = 90px
|글자색  =
| 화면                 = [[파일: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구동화면.png]]
|로고     = [[파일:Visual Studio Code 1.35 icon.svg|100px]]
| 설명                = 윈도우 10에서 실행 중인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화면     = [[파일: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구동화면.png]]
| 원저자              =  
|화면설명 = 윈도우 10에서 실행 중인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개발자              = [[마이크로소프트]]
|원작자  =  
| 발표일              = 2015.04.29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 상태                 = 개발 중
|종류    = [[텍스트 편집기]], [[디버거]]
| 프로그래밍 언어     = [[타입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CSS]] 등
|출시    = 2015.04.29
|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 [[macOS|macOS 10.9]] 이상, [[리눅스]]
|최신버전 =
| 언어                =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한국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중국어 번체 및 간체
|최신출시 =
| 종류                = [[소스 코드 편집기]], [[디버거]]
|미리보기 =
| 라이선스             = {{가로목록|
|미리출시 =
소스코드 : [[MIT 허가서|MIT 라이선스]]<ref>{{웹 인용 | url=https://github.com/Microsoft/vscode/blob/master/LICENSE.txt | title=LICENSE.txt | publisher=[[Microsoft]] | work=github.com/Microsoft/vscode | date=17 November 2015}}</ref><br/>바이너리: [[프리웨어]]<ref>{{웹 인용|title=Download Visual Studio Code |url=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website=code.visualstudio.com |publisher=Microsoft |accessdate=16 August 2016}}</ref><ref name=official-download-license>{{웹 인용|url=https://code.visualstudio.com/license |title=Microsoft Software License Terms |website=code.visualstudio.com |publisher=[[마이크로소프트]] |accessdate=16 August 2016}}</ref>}}
|상태     = 개발 중
|언어     = 다국어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 [[macOS|macOS 10.9]] 이상, [[리눅스]]
|플랫폼  =  
|엔진    =
|작성언어 = [[타입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CSS]]
|라이선스 = {{가로목록|
소스코드 : [[MIT 허가서|MIT 라이선스]]<ref>{{웹 인용 | url=https://github.com/Microsoft/vscode/blob/master/LICENSE.txt | title=LICENSE.txt | publisher=[[Microsoft]] | work=github.com/Microsoft/vscode | date=17 November 2015}}</ref><br />바이너리: [[프리웨어]]<ref>{{웹 인용|title=Download Visual Studio Code |url=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website=code.visualstudio.com |publisher=Microsoft |accessdate=16 August 2016}}</ref><ref name=official-download-license>{{웹 인용|url=https://code.visualstudio.com/license |title=Microsoft Software License Terms |website=code.visualstudio.com |publisher=[[마이크로소프트]] |accessdate=16 August 2016}}</ref>}}
|이전    =
|이후    =
|웹사이트 = [https://code.visualstudio.com/ code.visualstudio.com]
|웹사이트 = [https://code.visualstudio.com/ code.visualstudio.com]
|비고    =
}}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텍스트 편집기/IDE.<ref>각종 확장기능을 깔면 IDE로 변신한다.</ref>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거대 기업에서 개발하고 관리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 [[깃허브]]에서 개발한 Atom은 가벼운 텍스트 편집기라고는 하지만 오히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로딩 속도가 더 빠르다. 하지만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설정 같은 부분은 JSON을 작성해서 설정하므로 초보자는 조금 헤멜 수도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진영에서 쓸만한 편집기 중에 손에 꼽힌다. SSH로 원격 접속해서 그 기기의 코드를 원격으로 띄워서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윈도우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리눅스 접속도 지원한다. 여담으로 스마트폰에 Termux 쉘<ref>스마트폰에 쉘을 제공해주는 앱. Termux 프로젝트에서 리눅스 앱을 안드로이드 상에서 작동할 수 있게해서 배포한다. 스마트폰으로 [[Vim]]을 띄울 수도 있고 [[DE]]를 띄울 수도 있다. 하지만 Termux 프로젝트에서 옮겨놓은 프로그램만 설치할 수 있어서 제한적이다. 단점은 servic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고 systemctl 조차도 없다. 대신 termux의 sv가 있는데 서비스 등록, 해제, 시작, 정지 같은 기본적 기능만 있을 뿐이다. termux 위에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는데 비추... 속도가 너무 느리다. 그냥 termux로 만족하자.<!--termux 문서 생성할 때 이 부분을 링크처리 할 예정 --></ref>을 설치해서 원격으로 띄우는건 불가능하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쪽에서 운영체제 지원을 해야지 작동된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텍스트 편집기/IDE.<ref>각종 기능을 깔면 IDE로 변신한다.</ref>


== 확장 기능 ==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공룡기업에서 개발해서 기술 지원이 원활하고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 [[깃허브]]에서 개발한 ATOM은 가벼운 텍스트 편집기라고는 하지만 오히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로딩 속도가 더 빠르다. 하지만 컴파일러 연결같은 부분은 JSON을 작성<ref>자동 작성이 되긴 하지만 복잡하다. 필자도 헤멨다.</ref>해서 설정하므로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는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진영에서 쓸만한 편집기 중에 손에 꼽힌다. SSH로 원격 접속해서 그 기기의 코드를 원격으로 띄워서 편집할 수 있는데 여담으로 스마트폰에 Termux 쉘<ref>휴대폰에 쉘을 설치할 수 있어서 쓸만한 앱. 리눅스 앱을 arm으로 옮겨놔서 스마트폰으로 [[Vim]]을 띄울 수도 있고 [[DE]]를 띄울 수도 있다. 하지만 Termux 프로젝트에서 옮겨놓은 프로그램만 설치할 수 있어서 제한적이다.</ref>을 설치해서 원격으로 띄우는건 불가능하다. 비주얼 스튜디오 쪽에서 운영체제 지원을 해야지 작동된다. 윈도우의 WSL 리눅스에도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다.
확장 기능이 매우 풍부한 편. 설치 속도도 매우 빠르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도 확장기능을 설치하면 미디어위키 편집기로 변신한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는 미디어위키 문법도 지원한다. 확장기능으로 mediawiki나 wikitext를 설치하면 된다.
{{더 알아보기|시리즈:위키야 놀자/Visual Studio Code에서 편집하기|VS code에서 편집하는 방법}}
{{더 알아보기|시리즈:위키야 놀자/Visual Studio Code에서 편집하기|VS code에서 편집하는 방법}}
== 라이선스 ==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소스 코드는 MIT 라이선스지만 바이너리 패키지는 사유 소프트웨어이자 프리웨어이다. 소스 코드를 직접 빌드해서 설치하면 오픈소스가 되는데 이것을 Code-OSS라고 부른다. 이 코드를 직접 컴파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바로 [[VSCodium]]이다. VSCodium은 Vscode와 거의 내용이 같다. 하지만 몇몇 MS 확장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각주}}
{{각주}}
[[분류: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