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
---|---|
![]() |
|
![]() 윈도우 10에서 실행 중인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
|
소프트웨어 정보 | |
개발 | 마이크로소프트 |
종류 | 텍스트 편집기, 디버거 |
출시 | 2015.04.29 |
상태 | 개발 중 |
언어 | 다국어 |
운영체제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7 이상, macOS 10.9 이상, 리눅스 |
작성언어 | 타입스크립트, 자바스크립트, CSS 등 |
라이선스 | |
웹사이트 | code.visualstudio.com |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거대 기업에서 개발하고 관리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자회사 깃허브에서 개발한 Atom은 가벼운 텍스트 편집기라고는 하지만 오히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로딩 속도가 더 빠르다. 하지만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설정 같은 부분은 JSON을 작성해서 설정하므로 초보자는 조금 헤멜 수도 있다. 자유 소프트웨어 진영에서 쓸만한 편집기 중에 손에 꼽힌다. SSH로 원격 접속해서 그 기기의 코드를 원격으로 띄워서 편집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윈도우의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 리눅스 접속도 지원한다. 여담으로 스마트폰에 Termux 쉘[5]을 설치해서 원격으로 띄우는건 불가능하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쪽에서 운영체제 지원을 해야지 작동된다.
확장 기능[편집 | 원본 편집]
확장 기능이 매우 풍부한 편. 설치 속도도 매우 빠르다.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도 확장기능을 설치하면 미디어위키 편집기로 변신한다. VS code에서 편집하는 방법
라이선스[편집 | 원본 편집]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의 소스 코드는 MIT 라이선스지만 바이너리 패키지는 사유 소프트웨어이자 프리웨어이다. 소스 코드를 직접 빌드해서 설치하면 오픈소스가 되는데 이것을 Code-OSS라고 부른다. 이 코드를 직접 컴파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프로젝트가 있는데 바로 VSCodium이다. VSCodium은 Vscode와 거의 내용이 같다. 하지만 몇몇 MS 확장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각주
- ↑ LICENSE.txt. 《github.com/Microsoft/vscode》. Microsoft, (2015년 11월 17일).
- ↑ Download Visual Studio Code. Microsoft. 2016년 8월 16일에 확인.
- ↑ Microsoft Software License Terms. 마이크로소프트. 2016년 8월 16일에 확인.
- ↑ 각종 확장기능을 깔면 IDE로 변신한다.
- ↑ 스마트폰에 쉘을 제공해주는 앱. Termux 프로젝트에서 리눅스 앱을 안드로이드 상에서 작동할 수 있게해서 배포한다. 스마트폰으로 Vim을 띄울 수도 있고 DE를 띄울 수도 있다. 하지만 Termux 프로젝트에서 옮겨놓은 프로그램만 설치할 수 있어서 제한적이다. 단점은 servic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없고 systemctl 조차도 없다. 대신 termux의 sv가 있는데 서비스 등록, 해제, 시작, 정지 같은 기본적 기능만 있을 뿐이다. termux 위에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는데 비추... 속도가 너무 느리다. 그냥 termux로 만족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