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FC 1995/2016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대사|'''<big>富川本色…축구로 물들다</big>'''}}
{{대사|'''<big>富川本色…축구로 물들다</big>'''}}
{{안내문|축구단 [[부천 FC 1995]]의 [[2016년]] 시즌에 대한 문서입니다.}}
 
==개요==
축구팀 [[부천 FC 1995]]의 [[2016년]] 시즌에 대한 문서이다.


==개막 전==
==개막 전==
===겨울 이적시장===
===겨울 이적시장===
 
{{현재진행중}}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IN
! IN
22번째 줄: 24번째 줄:
FW [[바그닝요]]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B 'Oeste', 임대)<br />
FW [[바그닝요]]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B 'Oeste', 임대)<br />
GK [[권정혁]] ([[광주 FC]])<br />
GK [[권정혁]] ([[광주 FC]])<br />
DF [[한성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임대)<br />
DF [[한성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임대)
DF [[지병주]] ([[인천 유나이티드]], 임대)
|-
|-
! 재계약
! 재계약
66번째 줄: 67번째 줄:
[[2016년]] [[1월 1일]], [[고양 Hi FC]]에서 뛰던 미드필더 [[진창수]]를 영입했다. 진창수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교포]]로 [[J리그]]와 [[K3리그]], [[내셔널리그]], [[K리그 챌린지]]를 경험한 선수이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01111841553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재일교포 출신 MF 진창수 영입], 인터풋볼, 2016.01.01.</ref> [[2013년]]과 [[2015년]]에는 [[고양 Hi FC]]에서 활약하면서 리그 통산 72경기 12골 9도움(지난 시즌 39경기 7골 6도움)을 기록했다.
[[2016년]] [[1월 1일]], [[고양 Hi FC]]에서 뛰던 미드필더 [[진창수]]를 영입했다. 진창수는 [[일본]] [[도쿄]]에서 태어난 [[재일교포]]로 [[J리그]]와 [[K3리그]], [[내셔널리그]], [[K리그 챌린지]]를 경험한 선수이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01111841553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재일교포 출신 MF 진창수 영입], 인터풋볼, 2016.01.01.</ref> [[2013년]]과 [[2015년]]에는 [[고양 Hi FC]]에서 활약하면서 리그 통산 72경기 12골 9도움(지난 시즌 39경기 7골 6도움)을 기록했다.


[[1월 8일]], [[대전 시티즌]] 수비수 [[서명식]]을 영입했다. 서명식은 [[2015년]] [[관동대학교]]를 졸업, 자유계약으로 [[대전 시티즌]]에 입단했으며 리그 후반기에는 [[강원 FC]]에서 임대로 활약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08102511834 뉴스 본문 <nowiki>[오피셜]</nowiki> 부천FC, 대전 출신 수비수 서명식 영입], 스포츠한국, 2016.01.08.</ref>
[[1월 8일]], [[대전 시티즌]] 수비수 [[서명식]]을 영입했다. 서명식은 [[2015년]] [[관동대학교]]를 졸업, 자유계약으로 [[대전 시티즌]]에 입단했으며 리그 후반기에는 [[강원 FC]]에서 임대로 활약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08102511834 뉴스 본문
<nowiki>[오피셜]</nowiki> 부천FC, 대전 출신 수비수 서명식 영입], 스포츠한국, 2016.01.08.</ref>


같은 날 [[주광선]] 선수가 [[내셔널리그]]의 [[강릉시청축구단]]으로 이적했다.<ref>[https://www.facebook.com/BUCHEONFC/photos/a.165966670117803.33053.165963413451462/975251932522602/?type=3&theater <nowiki>[소식]</nowiki> 주광선 선수 강릉시청 이적], 부천 FC 1995 공식 페이스북, 2016.01.08.</ref>
같은 날 [[주광선]] 선수가 [[내셔널리그]]의 [[강릉시청축구단]]으로 이적했다.<ref>[https://www.facebook.com/BUCHEONFC/photos/a.165966670117803.33053.165963413451462/975251932522602/?type=3&theater <nowiki>[소식]</nowiki> 주광선 선수 강릉시청 이적], 부천 FC 1995 공식 페이스북, 2016.01.08.</ref>
74번째 줄: 76번째 줄:
같은 날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C(3부리그)의 ASA 등에서 뛰었던 공격수 [[에벨톤]]을 영입했다. 과거 [[울산 현대]]에서 활약했던 에벨톤과는 다른 인물이며 풀네임은 ''이베르통 나시멘투 지 멘돈사(Everton Nascimento De Mendonça)''이다. [[1993년]] 생에 젊은 선수로 경험은 부족하지만 186㎝의 큰 키에 빠르고 현란한 드리블 돌파 능력을 갖췄다고 한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11181037996 부천, 브라질 유망주 공격수 에벨톤 영입], 마이데일리, 2016.01.11.</ref>
같은 날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C(3부리그)의 ASA 등에서 뛰었던 공격수 [[에벨톤]]을 영입했다. 과거 [[울산 현대]]에서 활약했던 에벨톤과는 다른 인물이며 풀네임은 ''이베르통 나시멘투 지 멘돈사(Everton Nascimento De Mendonça)''이다. [[1993년]] 생에 젊은 선수로 경험은 부족하지만 186㎝의 큰 키에 빠르고 현란한 드리블 돌파 능력을 갖췄다고 한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11181037996 부천, 브라질 유망주 공격수 에벨톤 영입], 마이데일리, 2016.01.11.</ref>


다음날인 [[1월 12일]]에는 마찬가지로 [[브라질]] 공격수 [[바그닝요]](Waguininho)<ref>'와기니뉴'는 '작은 와그네르'라는 뜻을 가진 별명으로 '작은 호나우두'라는 뜻의 [[호나우지뉴]]와 비슷한 용법이다. 풀네임은 Wagner Da Silva Souza(와그네르 다 시우바 소자)이다.</ref>를 영입했다. 2015 시즌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B(2부리그) 오에스티(Oeste) 소속으로 활약한 그는 51경기를 거의 풀타임 소화하며 10골을 기록했다. 브라질에서는 도움 기록을 집계하지 않지만 약 20개의 도움을 올린 것으로도 알려졌다. 바그닝요는 브라질 1부리그 아메리카 미네이루의 영입을 거부하고 부천행을 선택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12090153594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브라질 대형 공격수 바그닝요 영입], 인터풋볼, 2016.01.12.</ref> 다만 원 소속팀과의 계약이 [[2020년]]까지 맺어진 상태라 완전 이적이 아니라 1년 임대라고 한다.<ref>[http://bucheonfc.net/xe/board/247316 바그닝요 1년 임대인가 보네요], 부천 FC 팬페이지([[헤르메스 (서포터즈)]] 홈페이지), 2016.01.14.</ref>
다음날인 [[1월 12일]]에는 마찬가지로 [[브라질]] 공격수 [[바그닝요]](Waguininho)<ref>'와기니뉴'는 '작은 와그네르'라는 뜻을 가진 별명으로 '작은 호나우두'라는 뜻의 [[호나우지뉴]]와 비슷한 용법이다. 풀네임은 Wagner Da Silva Souza(와그네르 다 시우바 소자)이다.</ref>를 영입했다. 2015 시즌 [[브라질]] [[캄페우나투 브라질레이루]] 세리B(2부리그) 오에스티(Oeste) 소속으로 활약한 그는 51경기를 거의 풀타임 소화하며 10골을 기록했다. 브라질에서는 도움 기록을 집계하지 않지만 약 20개의 도움을 올린 것으로도 알려졌다. 바그닝요는 브라질 1부리그 아메리카 미네이루의 영입을 거부하고 부천행을 선택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112090153594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브라질 대형 공격수 바그닝요 영입], 인터풋볼, 2016.01.12.</ref> 다만 원 소속팀과의 계약이 [[2020년]]까지 맺어진 상태라 완전 이적이 아니라 1년 임대라고 한다.<ref>[http://bucheonfc.net/xe/board/247316 바그닝요 1년 임대인가 보네요], 부천 FC 팬페이지([[헤르메스 (서포터즈)]] 홈페이지), 2016.01.14.</ref>


[[2월 3일]], [[권정혁]] [[골키퍼]]를 영입했다. 권정혁은 [[1996년]]~[[1997년]] U-20 청소년 대표, [[2002년]] [[북중미 골드컵]] 당시 국가대표를 지낸 경력이 있다. [[2001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데뷔했으며 [[2009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럽 무대([[핀란드]] 1부리그 로바니에멘 팔로시우라(RoPS)에 진출한 바 있다. [[2013년]]에는 GK 최초 필드골<ref>이에 앞서 [[김병지]] 골키퍼가 득점을 한 적이 있지만 세트피스 득점이었다.</ref>·최장거리 골 기록<ref>[http://www.xportsnews.com/jsports/?ac=article_view&entry_id=350382&_REFERER=http%3A%2F%2Fsearch.daum.net%2Fsearch%3Fw%3Dtot%26m%3D%26q%3D%25EA%25B6%258C%25EC%25A0%2595%25ED%2598%2581%2520%25EA%25B3%25A8%26nil_profile%3Djockeytop%26nzq%3D%25EA%25B6%258C%25EC%25A0%2595%25ED%2598%2581%26topq%3D%26DA%3DNSJ 'GK골' 권정혁, 1·4·6·85·400에 담긴 의미], 엑스포츠뉴스, 2013.07.22.</ref>이라는 이색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다.<ref>[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3&aid=0000029155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클래식 출신 베테랑 GK 권정혁 영입], 인터풋볼, 2016.02.03.</ref>
[[2월 3일]], [[권정혁]] [[골키퍼]]를 영입했다. 권정혁은 [[1996년]]~[[1997년]] U-20 청소년 대표, [[2002년]] [[북중미 골드컵]] 당시 국가대표를 지낸 경력이 있다. [[2001년]]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데뷔했으며 [[2009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럽 무대([[핀란드]] 1부리그 로바니에멘 팔로시우라(RoPS)에 진출한 바 있다. [[2013년]]에는 GK 최초 필드골<ref>이에 앞서 [[김병지]] 골키퍼가 득점을 한 적이 있지만 세트피스 득점이었다.</ref>·최장거리 골 기록<ref>[http://www.xportsnews.com/jsports/?ac=article_view&entry_id=350382&_REFERER=http%3A%2F%2Fsearch.daum.net%2Fsearch%3Fw%3Dtot%26m%3D%26q%3D%25EA%25B6%258C%25EC%25A0%2595%25ED%2598%2581%2520%25EA%25B3%25A8%26nil_profile%3Djockeytop%26nzq%3D%25EA%25B6%258C%25EC%25A0%2595%25ED%2598%2581%26topq%3D%26DA%3DNSJ 'GK골' 권정혁, 1·4·6·85·400에 담긴 의미], 엑스포츠뉴스, 2013.07.22.</ref>이라는 이색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다.<ref>[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13&aid=0000029155 <nowiki>[오피셜]</nowiki> 부천, 클래식 출신 베테랑 GK 권정혁 영입], 인터풋볼, 2016.02.03.</ref>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풀백으로 뛰던 [[한성규]]를 임대영입했다. [[한성규]]는 2013 터키 U-20 월드컵 본선, U-22 올림픽 대표 평가전에 국가대표로 뛴 바 있다.<ref>[http://sports.hankooki.com/lpage/soccer/201603/sp2016030317242393650.htm 부천FC1995, '올림픽팀 윙백' 한성규 임대 영입], 스포츠한국, 2016.03.03.</ref>
[[3월 3일]],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풀백으로 뛰던 [[한성규]]를 임대영입했다. [[한성규]]는 2013 터키 U-20 월드컵 본선, U-22 올림픽 대표 평가전에 국가대표로 뛴 바 있다.<ref>[http://sports.hankooki.com/lpage/soccer/201603/sp2016030317242393650.htm 부천FC1995, '올림픽팀 윙백' 한성규 임대 영입], 스포츠한국, 2016.03.03.</ref>
선수 이동이 완료되었다고 생각할 [[3월 26일]], [[인천 유나이티드]]에서 [[지병주]] 선수를 임대했다.


===기타===
===기타===
89번째 줄: 89번째 줄:
[[2016년]] [[2월 2일]], 사회적[[협동조합]] 시민모집단 발대식을 열었다. 공교롭게도 10년 전 이 날은 [[부천 SK|SK축구단]]이 야반도주했던 바로 그 날이다.
[[2016년]] [[2월 2일]], 사회적[[협동조합]] 시민모집단 발대식을 열었다. 공교롭게도 10년 전 이 날은 [[부천 SK|SK축구단]]이 야반도주했던 바로 그 날이다.


[[2016년]] [[2월 26일]], [[서드파티]](Third-Party Ownership)<ref>구단·선수가 아닌 제 3자가 선수 소유권을 갖는 것을 말한다. 주로 남미 선수들을 중심으로 행해진 관행이나 [[2015년]] [[5월 1일]]부터 [[FIFA]]에서 금지하고 있다.</ref> 금지 규정 위반으로 프로축구연맹에게 벌금 1,000만원 징계를 받았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2262125235 대전 시티즌·부천FC ‘서드파티’ 벌금], 경향신문, 2016.02.26.</ref> 올해 초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한 [[이창민]] 선수가 [[2014년]] 서드파티 계약을 체결한 것이 드러난 바 있다. 징계 수위가 다소 낮은 것은 [[FIFA]]에서 [[서드파티]]를 금지하기로 한 [[2015년]] 이전의 사안에 대해서는 묵인했기 때문이다.
[[2016년]] [[2월 26일]], [[서드파티]](Third-Party Ownership)<ref>구단·선수가 아닌 제 3자가 선수 소유권을 갖는 것을 말한다. 주로 남미 선수들을 중심으로 행해진 관행이나 [[2015년]] [[5월 1일]]부터 [[FIFA]]에서 금지하고 있다.</ref> 금지 규정 위반으로 프로축구연맹에게 벌금 1,000만원 징계를 받았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2262125235&code= 대전 시티즌·부천FC ‘서드파티’ 벌금
], 경향신문, 2016.02.26.</ref> 올해 초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한 [[이창민]] 선수가 [[2014년]] 서드파티 계약을 체결한 것이 드러난 바 있다. 징계 수위가 다소 낮은 것은 [[FIFA]]에서 [[서드파티]]를 금지하기로 한 [[2015년]] 이전의 사안에 대해서는 묵인했기 때문이다.


[[2016년]] [[3월 3일]], 2016시즌 사용할 유니폼과 등번호, 주장·부주장이 발표되었다.<ref>[http://sportalkorea.mt.co.kr/general/view.php?gisa_uniq=2016030314001929760&key=&field=&section_code=D1000&search_key=y 부천FC, 2016시즌 새 유니폼 공개..팀 정체성 강조]</ref> 주장은 작년에 이어 [[강지용]], 부주장은 [[문기한]]이 맡는다. 유니폼에 대해서는 [[부천 FC 1995/유니폼#2015 시즌~2016 시즌]] 참고.
[[2016년]] [[3월 3일]], 2016시즌 사용할 유니폼과 등번호, 주장·부주장이 발표되었다.<ref>[http://sportalkorea.mt.co.kr/general/view.php?gisa_uniq=2016030314001929760&key=&field=&section_code=D1000&search_key=y 부천FC, 2016시즌 새 유니폼 공개..팀 정체성 강조]</ref> 주장은 작년에 이어 [[강지용]], 부주장은 [[문기한]]이 맡는다. 유니폼에 대해서는 [[부천 FC 1995/유니폼#2015 시즌~2016 시즌]] 참고.
109번째 줄: 110번째 줄:


부천 FC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한 평가로는 '좋아요를 누르지 않았다'가 60%에 달했다. 이유로는 '페이스북을 쓰지 않는다(56.3%)'이 가장 높았고 '있는지 몰랐다(35.1%)'가 그 뒤를 이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서는 경기 전 다양한 홍보 콘텐츠(80%), 선수들의 평소 훈련·생활 모습(68%), 경기 후 다양한 사진·영상(64%)을 원했다<ref>중복선택</ref>. '좋아요'를 누른 사람들은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 평균 8.02점으로 평가했는데 20세 미만과 20대가 좋아요를 누른 비율이 각각 60.9%·59.8%로 가장 높았다.
부천 FC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한 평가로는 '좋아요를 누르지 않았다'가 60%에 달했다. 이유로는 '페이스북을 쓰지 않는다(56.3%)'이 가장 높았고 '있는지 몰랐다(35.1%)'가 그 뒤를 이었다.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서는 경기 전 다양한 홍보 콘텐츠(80%), 선수들의 평소 훈련·생활 모습(68%), 경기 후 다양한 사진·영상(64%)을 원했다<ref>중복선택</ref>. '좋아요'를 누른 사람들은 페이스북 페이지에 대해 평균 8.02점으로 평가했는데 20세 미만과 20대가 좋아요를 누른 비율이 각각 60.9%·59.8%로 가장 높았다.
==[[K리그 챌린지]]==
===2R. (v. 충주)===
{{축구경기
|날짜  = 2016.04.03.
|시간  = 13:30
|대회이름=
|팀1    = [[충주 험멜]]
|득점  = 0:1
|리포트 =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9#review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p:71040692 하이라이트]
|팀2    = [[부천 FC 1995]]
|골1    =
|골2    = [[에벨톤]] {{골|후29}}
|경기장 = [[충주종합경기장]]
|관중수 = 3,118
|심판  = 김영수
|MOM  =[[루키안]](부천)
}}
{{대사|세트피스 하나가 승부를 가르다}}
1라운드부터 휴식이 걸린 부천은 2라운드 충주 원정으로 시즌을 시작했다. 1라운드에서 [[서울 이랜드]]를 상대로 작년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축구팬을 놀라게했던 충주인 만큼 경기는 어렵게 흘러갔다.
충주는 1라운드에 보여준 세밀한 패스 플레이로 부천을 공략했고, 부천은 아직 몸이 덜 풀린 듯한 인상을 주었다. 하지만 충주는 창 끝이 무뎠고 결국 득점에는 실패했다. 반면 부천은 교체카드가 적중했다. 후반 교체투입된 [[에벨톤]]은 세트피스에서 가볍게 헤더를 성공시키며 부천의 시즌 첫 득점을 선사했다.
===3R. (v. 서울E)===
{{축구경기
|날짜  = 2016.04.09.
|시간  = 16: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0:1
|리포트 =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13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p:71040696 하이라이트]
|팀2    = [[서울 이랜드 FC]]
|골1    =
|골2    = [[김영남]] {{골|전24|OG}}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 10,982
|심판  = 매호영
|MOM  =[[칼라일 미첼]](서울)
}}
{{대사|[[여자친구]]의 저주?}}
자책골 하나가 승부를 가르고 말았다.
다른 팀보다 늦은 4월에서야 홈 개막전을 가진 부천은 리그 시작전부터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한편 [[부천종합운동장]] 인근에서 진달래꽃 축제가 열리며 수많은 인파가 몰리며 대성황을 이루었다. 이번 시즌부터 스폰서가 된 [[KEB 하나은행]]이 홍보에 동참했으며<ref>[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12005001&boardtypeid=7787&pagesize=10&boardid=602039],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 2016.04.07.</ref> [[헤르메스 (서포터즈)]]도 중고생 100명에게 티셔츠를 나눠주는 등<ref>[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12005001&boardtypeid=7787&pagesize=10&boardid=601767 <nowiki>[이벤트]</nowiki>모여라! 가변석으로!],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 2016.04.06.</ref> 관계 단체가 홍보에 열을 올렸다. 구단측에서는 하프타임 공연에 걸그룹 [[여자친구]]를 부르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ref>[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12005001&pagesize=10&boardtypeid=7787&boardid=600707 <경기안내>2016 홈개막전 4월 9일(토) vs 서울이랜드FC],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2016.03.29.</ref> <s>하이라이트 섬네일이 [[여자친구]]인 이유</s>
안타깝게도 경기 내용은 답답하게 흘러갔다. 부천은 전반 5분 [[이학민]]이 골대를 강타하며 맹공을 퍼부었지만, 전반 24분 서울의 세트피스에서 [[김영남]]이 자책골을 넣으며 주도권을 내주었다. [[송선호]] 감독은 전반 32분에 [[루키안]], 후반 11분에 [[에벨론]]을 넣으며 공격의 고삐를 바짝 조였다. 그러나 서울은 의도적으로 점유율을 포기하고 극단적인 선수비 후역습 전술로 피를 말렸다. 부천은 몇 번의 득점 기회를 모두 놓쳤고 서울은 역습으로 재미를 볼 뻔 했으나 부천의 선방에 막혔다.
아쉽게 진 경기였으나 [[바그닝요]]가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상대의 경고를 유도하는 등(서울은 이날 5개의 경고를 받았다) 희망을 보여준 경기였다. 한편 [[여자친구]]는 [[대전 시티즌]]에 이어 2경기 연속으로 [[K리그]] 공연을 갈 때마다 홈팀에게 패배를 안기는 징크스가 생겼다.<ref>"허회원 기자 -서울 승"여자친구는 홈팀엔 재앙(?)"" - [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408175342619 <nowiki>[더스포츠]</nowiki> 챌린지 프리뷰 - '다크호스' 부천과 '우승 후보' 서울, 연승 성공할 팀은?], 더스포츠, 2016.04.08.</ref>
===4R. (v. 안양)===
{{축구경기
|날짜  = 2016.04.13.
|시간  = 15: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1:1
|리포트 =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19 리포트]
|팀2    = [[FC 안양]]
|골1    = [[루키안]] {{골|후7|PK}}
|골2    = [[오르시니]] {{골|후8}}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 1,076
|심판  = 김대용
|MOM  =[[바그닝요]](부천)
}}
[[20대 총선]] 당일 벌어진 경기. [[K리그 클래식]], [[KBO 리그|프로야구]] 그리고 '''[[20대 총선]]'''으로 모든 중계진이 쏠리면서 이날 열린 모든 [[K리그 챌린지]] 경기는 [[서울 이랜드]]의 자체 중계([[부산 아이파크]] 원정)를 제외하고는 '''중계가 없었다.''' 직관하지 못한 팬들은 [[네이버]] [http://sports.news.naver.com/gameCenter/textRelayFootball.nhn?category=kleague2&gameId=20160413262719&tab=player_stats 문자중계] 내지는 직관한 팬들의 소식에만 의지해야 했다. 후술하겠지만 [[오르시니]]의 동점골은 득점 후 10여분이 지나서야 정정·추가되는 등 문자중계 질도 나빴다.
부천은 여전히 감을 잡지 못했다. 점유율은 높았지만 골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13개의 슈팅 중 유효슈팅은 7개였고 그나마 얻은 골은 [[페널티 킥]]이었다. 후반 5분, [[안세희]]가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며 얻어낸 [[PK]]를 [[루키안]]이 성공시키며 수적·점수 우세를 만들어냈지만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413212111206 부천FC, 축구 승패가 점유율로 결정되는 경기?], 언더컴, 2016.04.13.</ref> 그나마 얻은 골도 곧바로 실점하면서 무위로 돌려버렸다. 안양 원정 팬이 촬영한 실점 장면을 보면 패스 미스·역습 한 번에 수비가 한순간에 와르르 무너지는 것을 볼 수 있다.<ref>[https://www.youtube.com/watch?v=-FOTJxZ1kaA 2016.04.13. 부천FC vs FC안양 오르시니(Nicolas Orsini) 동점골], 유튜브, 2016.04.13. 욕설 있음(…).</ref> 관전평에 따르면 [[FC 안양]]이 퇴장을 당하고 나서야 비등비등한 경기를 펼쳤다고.<ref>[http://bucheonfc.net/xe/board/250651 수준이 딱 맞는 듯], [[헤르메스 (서포터즈)]] 공식 홈페이지, 2016.04.13.</ref>
결국 경기는 비겼다. 아직 시즌 초반이라고 하지만 팀을 수습하는 것이 시급해보인다.
===5R. (v. 대전)===
{{축구경기
|날짜  = 2016.04.17.
|시간  = 14: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3:1
|리포트 =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23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p:71040706 하이라이트]
|팀2    = [[대전 시티즌]]
|골1    = [[한희훈]] {{골|전28}}<br />[[바그닝요]] {{골|후5}}<br />[[루키안]] {{골|후21}}
|골2    =[[김동찬]] {{골|전6}}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808
|심판  =임정수
|MOM  =[[루키안]](부천)
}}
{{^|미리보기}}
{{대사|[[여자친구]] 더비(…)}}
홈 개막전에서 [[여자친구]]를 불렀다가 패배한 두 팀이 [[부천종합운동장]]에서 만난다. 양팀 모두 부진한 성적을 만회하기 위해 승리가 필요한 상황.
부천은 걸그룹 [[더블비]] 공연과 더불어 [[20대 총선]] 투표인증샷을 제시하면 동반 1인까지 50% 티켓 할인 등 이벤트·경품을 준비했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415101145298 부천FC, 3연패 대전 제물로 홈 첫 승 노린다], 에스티엔, 2016.04.15.</ref>
{{^|결과}}
{{대사|화끈한 역전승으로 신고한 홈 첫 승}}
부천이 3골을 터뜨리며 대전을 상대로 홈 첫 승을 신고했다.
실점은 너무 이른 시간에 나왔다. 경기 초반부터 대전은 개인기를 앞세워 부천의 수비를 공략했다. 전반 6분, [[김동찬]]이 오른쪽에서 연달아 수비를 재치고 박스 모서리 부근에서 감아찬 것이 그대로 부천의 골망을 가르고 말았다. [[대전 시티즌]]의 시즌 첫 골이었다. 부천은 한동안 우왕좌왕하며 좀처럼 공격을 풀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부천에게는 세트피스가 있었다. 전반 28분, 대전의 박스 오른편에서 얻은 프리킥을 놓치지 않았다. [[문기한]]이 올린 크로스는 대전 골키퍼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고 그대로 공격에 가담한 [[한희훈]]의 머리에 정확하게 연결됐다. 동점골이 들어가자 이번에는 대전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부천은 총공세를 펼치며 대전의 진영을 유린했다. 전반 추가시간 [[바그닝요]]의 헤더가 다시 대전의 골망을 갈랐지만 [[오프사이드]]가 선언되어 아쉬움을 삼켜야 했다.
후반 시작하자마자 이번에는 부천이 다시 골을 터뜨렸다. [[오프사이드]]로 골이 취소된 [[바그닝요]]가 주인공이었다. 후반 5분, [[바그닝요]]가 박스 서클에서 패스를 받아 한 명 재치고 날린 호쾌한 중거리슛이 그대로 대전의 골망에 꽂혔다. 직전 상황에서 [[루키안]]이 적극적으로 수비수를 압박한 것이 주효했다. 이후에는 완벽하게 부천의 흐름대로 흘러갔다. 후반 22분, 다시 부천의 쐐기골이 터졌다. [[이학민]]이 수비수들의 압박을 뚫고 찔러준 재치있는 스루패스를 [[바그닝요]]가 받아 그대로 땅볼 크로스를 올렸다. 쇄도하던 [[루키안]]이 대전 수비수와의 경합을 완벽하게 이겨내고 슬라이딩으로 방향만 꺾어놓았다.
이후 부천은 여유롭게 경기를 풀어갔고 대전은 꼬여버린 경기를 풀지 못했다. 결국 승부는 그대로 끝나고 말았다.
부천은 오늘 경기에 출전한 외국인 공격수가 모두 득점에 성공하며 기새를 올렸다. [[진창수]]를 위시한 양 사이드 공격에 주력하는 한편 [[루키안]]은 끊임없이 상대 수비수가 경합하며 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른 시간 실점은 아쉬웠지만 다득점으로 만회할 수 있었다. 반면 대전은 4연패에 빠지고 말았다.
한편 이날 전국적으로 강하게 불었던 바람이 부천에도 불어닥쳤다. 다행히 경기 내용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후반들어 광고판들이 연달아 쓰러지는 장면을 연출했다. 하프타임 공연을 온 [[더블비]]는 부천 FC 응원가를 발표<ref>[https://www.youtube.com/watch?v=IgA5Siajg6s <nowiki>[부천FC1995]</nowiki> Double B(더블비) 부천 FC응원가], 유튜브, 2016.04.16.</ref>하며 여느 공연과는 색다른 모습을 보였다.<s>근데 막상 경기장에서 부르기에는 애매한 곡조다.</s>
===6R. (v. 대구)===
{{축구경기
|날짜  = 2016.04.23.
|시간  = 14: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0:0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27 리포트]<br />[http://sportstv.afreecatv.com/kfa/highlight.php 하이라이트]
|팀2    = [[대구 FC]]
|골1    =
|골2    =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892
|심판  =김영수
|MOM  =[[루키안]](부천)
}}
작년 대구의 역전우승을 좌절시킨 부천이 홈에서 다시 대구를 상대했다. 일진일퇴의 공방을 벌였으나 양팀 모두 공격을 제대로 풀어나가지 못하며 무득점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부천이 대체로 주도권을 잡으며 경기를 풀어갔다. 그러나 최전방으로 찔러주는 패스가 제대로 들어가질 않았다. 미드필더 보강을 했다고 하지만 이날 경기는 그런 것이 전혀 느껴지질 않았다. 작년 대구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던 [[문기한]]은 친정팀을 상대로 침묵했다. [[진창수]]는 썩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으나 후반 44분 시도한 결정적인 슛이 [[조현우]]의 선방에 막혔다. 부천은 그나마 얻은 슈팅 기회도 골대를 벗어나거나 골키퍼 품에 안겼다. 특히 [[루키안]]은 최전방에서 분투했으나 패스를 제대로 하지 못해 아쉬움<s>욕</s>을 샀다. 부천은 이번 경기에서도 22세 이하 선수를 출전시키지 않아 교체카드 2장만으로 경기에 임했는데 경기를 반전시킬 교체카드가 부족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았다.
대구 역시 공격을 제대로 전개시키지 못했다. 대부분의 패스 플레이가 부정확해 부천 수비에 걸렸다. 그나마 얻은 기회도 골대를 맞추거나 [[류원우]]의 선방에 막혔다.
작년 우승후보이자 리그 3위(P.O. 기준)였던 대구를 상대로 대등한 경기를 펼친 것은 좋았으나 양팀 모두 경기력이 나빴기 때문에 더 보완할 점이 눈에 띄는 아쉬운 경기였다.
===7R. (v. 경남)===
{{축구경기
|날짜  = 2016.04.30.
|시간  = 14:00
|대회이름=
|팀1    = [[경남 FC]]
|득점  = 0:2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31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p:71040714 하이라이트]
|팀2    = [[부천 FC 1995]]
|골1    =
|골2    =[[루키안]] {{골|후6|PK}}<br />[[문기한]] {{골|후8}}
|경기장 = [[창원 축구센터 경기장]]
|관중수 =904
|심판  =김희곤
|MOM  =[[루키안]](부천)
}}
승점 징계 -10점에서 0점대 승점 복귀를 노리는 경남을 상대로 부천이 승점 3점을 챙겼다.
전날 내린 비바람의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강한 바람이 일었다. 이날 [[창원]]에도 강한 바람이 불면서 경기에 변수로 작용했다. 골키퍼의 골킥이 역풍을 맞아 하프라인을 넘지 못했다.
팽팽하던 전반전이었지만 경기는 후반 초반에 갈렸다. [[루키안]]이 자신이 얻어낸 [[PK]]를 직접 성공시킨데 이어 2분여 뒤 [[문기한]]이 각도가 없는 지점에서 자신의 데뷔골을 터뜨렸다.
순식간에 2실점을 한 경남은 이후에 급격하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대로 부천은 파상공세를 이어갔지만 추가골에는 실패했다. 부천은 후반 30여분부터 수비를 틀어막으며 승점 3점을 가져갔다.
경남은 외국인 선수와 주전이 경고누적 등으로 빠진 것이 컸다. 결국 4월달에 0점대 승점을 만드는 데에 실패했다. 부천은 FA컵 경기(v. 한라대. 3:1 a.e.t. 승) 이후 측면을 선택하며 효과를 보았다.
===8R. (v. 안산)===
{{축구경기
|날짜  = 2016.05.05.
|시간  = 14: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3:1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37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194740 하이라이트]
|팀2    = [[안산 무궁화]]
|골1    =[[바그닝요]] {{골|전16||전42}}<br />[[진창수]] {{골|후32}}
|골2    =[[이현승]] {{골|전6}}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3102
|심판  =박영록
|MOM  =[[바그닝요]](부천)
}}
부천이 리그 1위 안산에게 3:1 역전승을 거두며 리그 5경기 연속 무패를 달성했다. 이날 승리로 부천은 FA컵을 포함, 홈 경기에서 모두 3:1 승리를 거두는 진기록을 만들었다. 한편으로는 안산을 상대로 홈에서 승리를 거두지 못했던 부천은 역사적인 첫 승을 거두었다.
안산에서는 작년 반 시즌을 뛰었던 [[이현승]]과 창단멤버 [[공민현]]이 부천을 상대했다. 첫 골은 [[이현승]]이 터뜨렸다. 전반 6분, 왼쪽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수비를 뚫어낸 [[이현승]]이 가볍게 차넣었다. 하지만 10분 뒤, 프리킥 상황에서 [[문기한]]이 올려준 크로스를 [[바그닝요]]가 백헤더로 안산의 골망을 갈랐다. 동료들과 멋진 세레모니를 펼친 [[바그닝요]]는 전반 42분 역전골까지 터뜨렸다. 오른쪽에서 올라온 [[이학민]]이 올려준 크로스가 기점이었다. [[이학민]]의 크로스를 [[바그닝요]]가 헤더로 연결한 것이 골대를 맞고 오른쪽 안 좋은 각도로 떨어졌다. 이것을 [[루키안]]이 재차 크로스를 올렸고 [[바그닝요]]가 멋진 오버헤드킥으로 골을 터뜨렸다. 안산 수비수들은 [[오프사이드]]를 주장했지만, 안산의 골키퍼와 수비수가 모두 골라인 근처에 있었던 상황이라 [[오프사이드]]는 선언되지 않았다.
이후 안산 선수들은 조급한 모습을 보이며 만회골은 얻어내지 못했다. 교체투입된 [[공민현]]은 결정적인 골기회를 놓쳤고, 이후에도 몇 차례 좋은 공격 기회를 만들어냈지만 골로 연결짓지 못했다. 오히려 부천이 쐐기골을 터뜨리며 승부를 갈랐다. [[진창수]]가 무려 50m를 드리블하며 수비수를 연달아 3명을 벗겨내며 오른발로 멋진 골을 터뜨렸다.
쐐기골 이후에 안산은 평정심을 잃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주장 [[신형민]]은 후반 40분과 49분 잇달아 경고를 받아 퇴장당했고, 안산 [[이진형]] 골키퍼는 항의를 하다 경고를 추가로 받았다. 그렇게 허용한 박스 앞 프리킥 상황에서는 안산 수비수들은 아예 수비벽을 서지 않으며 심판 판정에 항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바그닝요]]가 마음껏 때린 슛이 골대를 벗어나면서 경기는 마무리됐다.
이날은 [[어린이날]]을 맞아 여러 가지 이벤트가 열렸다. 하프타임에는 4~7세 어린이 100명과 부천 선수 11명이 축구경기를 펼쳤는데, 어린이 팀이 1:0으로 이겼다.
===9R. (v. 고양)===
{{축구경기
|날짜  = 2016.05.08.
|시간  = 14:00
|대회이름=
|팀1    = [[고양 자이크로]]
|득점  = 0:0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41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p:71040724 하이라이트]
|팀2    = [[부천 FC 1995]]
|골1    =
|골2    =
|경기장 = [[고양종합운동장]]
|관중수 =422
|심판  =서동진
|MOM  =[[이예찬]](고양)
}}
부천이 고양의 두터운 수비를 뚫어내지 못했다.
고양은 경기 내내 작정하고 수비에 치중했다. '선수비 후역습'이 아닌 '선수비 후수비'에 가깝게 공을 따 내도 공격보다는 위치 유지에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부천의 주전 선수들은 연이은 경기와 잦은 출전으로 체력이 많이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었다. 후반들어 고양이 조금씩 역습을 시도할 때 부천은 잇달아 드리블 돌파를 허용하며 아찔한 장면을 연출했다. 부진했던 [[문기한]]은 후반들어 [[김륜도]]로 교체되었고, 교체투입된 [[진창수]]는 친정팀을 상대로 이렇다 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다시 교체아웃되는 수모를 겪었다. 그나마 후반 14분 경 [[바그닝요]]가 득점에 가까운 기회를 골키퍼 선방에 가로막힌 것이 이날 부천이 보여준 가장 위력적인 장면이었다.
부천은 이날 '경기가 안 풀 릴 때' 보여주는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높은 점유율에도 불구하고 최전방으로 패스를 이어주질 못했고 슈팅도 적었다. 다음 경기는 [[FA컵]] [[포항 스틸러스]] 원정 경기인데 주전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송선호]] 감독의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10R. (v. 강원)===
{{축구경기
|날짜  = 2016.05.16.
|시간  = 19:3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0:0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49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199232 하이라이트]
|팀2    = [[강원 FC]]
|골1    =[[문기한]] {{골|전9}}<br />[[바그닝요]] {{골|전40}}<br />[[루키안]] {{골|후33}}
|골2    =[[마테우스]] {{골|전41}}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809
|심판  =김동인
|MOM  =[[루키안]](부천)
}}
부천이 6연승을 달리던 강원을 잡고 홈 7경기 무패를 기록했다.
지공으로 천천히 옥죄어가는 강원의 전술에 부천은 선수비 후역습을 들고 나왔다. 그리고 이 전술이 먹혔다. 부천은 전반 9분만에 선제골을 터뜨렸다. 역습 상황에서 [[루키안]]이 수비수를 달고 중앙으로 흘려준 공을 [[문기한]]이 중거리에서 침착하게 골대 왼쪽 아래로 꽂아넣었다. [[대한민국 FA컵]] 32강 [[포항 스틸러스]]전에서 추가골이 나온 패턴과 유사했다.
이후 강원의 공격을 부천이 효과적으로 끊어내며 시간이 흘렀다. 강원의 지공과 부천의 날카로운 역습이 연이어 부딪혔다. 전반 20분경에는 [[바그닝요]]가 [[송유걸]] 골키퍼의 공을 가로채는 장면이 나왔으나 득점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추가골은 20분 뒤에 나왔다. 전반 40분, [[바그닝요]]의 헤더를 [[송유걸]]이 걷어낸다는 것이 골대를 맞고 골라인을 넘어갔다. 하지만 강원은 1분 뒤 [[마테우스]]가 빠른 공격으로 [[류원우]] 골키퍼까지 재치고 만회골을 넣었다. 전반은 2대 1로 끝났는데 부천은 슈팅수를 단 2개만 기록했다.
후반에도 전략은 비슷했다. 강원이 지공으로 천천히 옥죄어오면 부천은 이를 막아내다 빠른 역습으로 강원의 뒤를 노렸다. 경기 양상은 매우 빠른 편이었고 공은 쉴새없이 양측 박스를 오갔다.
추가골은 부천에게 행운처럼 찾아왔다. [[바그닝요]]가 박스 우측 모서리 부근에서 감아찬 슛이 골대를 맞고 나왔다. 이걸 [[루키안]]이 헤더로 밀어넣었는데 [[송유걸]]이 다시 미숙한 볼처리를 했다. 심판은 골라인을 넘은 것으로 보고 부천의 골을 선언했다. 후반 33분이었다. 강원은 교체투입된 [[최진호]]가 몇 차례 좋은 장면을 만들었으나 더이상 만회하지 못했다.
부천의 날카로운 역습이 빛을 발한 경기였다. 실점 장면을 제외하면 부천은 압박과 협력 수비로 강원의 맹공을 막아냈다.
한편 이 승리로 부천은 올 시즌 FA컵을 포함, 홈에서 거둔 승리를 모두 3대 1로 기록하는 진기록을 이어갔다.
===11R. (v. 부산)===
{{축구경기
|날짜  = 2016.05.21.
|시간  = 19:00
|대회이름=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1:1
|리포트 =[http://www.kleague.com/KOR_2016/challenge/result_detail.asp?gameId=52 리포트]<br />[http://live.sports.media.daum.net/video/kl2/200903 하이라이트]
|팀2    = [[부산 아이파크]]
|골1    =[[바그닝요]] {{골|후0}}
|골2    =[[이원영]] {{골|후38}}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1,506
|심판  =김종혁
|MOM  =[[바그닝요]](부천)
}}
부천이 부산을 홈으로 불러들여 아쉬운 무승부를 거두었지만 구단 역사상 최초로 10경기 무패 기록을 달성하였다.
양팀 모두 리그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며 상위권에 머물며 선두를 노리고 있던 상황. 이 경기 결과에 따라 부천은 선두 자리를 넘볼 수도 있었던 만큼 경기는 초반부터 긴장감이 넘쳐흘렀다.
경기 양상은 전반부터 팽팽했다. 양팀 모두 날카로운 공격을 펼쳤지만 부산의 공격이 좀 더 매서웠다. 전반 5분 부산 [[김종민]]의 드리블 돌파에 이은 슈팅 이후 부천 수비진은 연달아 부산의 공격수에게 슈팅을 허용했다. [[SPOTV]] 해설진은 경기 초반부터 부천 수비진이 흔들리고 있는 것은 처음 본다며 당황할 정도. [[류원우]] 골키퍼의 선방이 아니었으면 많은 실점을 허용했을 아찔한 장면이 여러번 나왔다. 이는 전반전 기록으로 나타난다. 부산은 전반전 동안 슈팅수 11개, 유효슈팅수 6개, 코너킥 6개를 기록했다. 반면 부천은 [[루키안]]을 중심으로 공격을 전개했지만 부산의 주장 [[이원영]]에게 막히며 여의치 않았다. [[바그닝요]]가 몇 차례 인상적인 슈팅을 시도했지만 안타깝게 빗나갔다.
팽팽했던 경기는 후반 시작과 동시에 깨졌다. 주인공은 [[바그닝요]]였다. 후반 50초경, [[문기한]]의 코너킥을 [[바그닝요]]가 정확한 헤더로 골망을 흔들었다. 단단했던 부산 수비는 순간적으로 [[바그닝요]]를 놓쳤다. 세 경기 연속 골을 터뜨린 [[바그닝요]]는 바로 옆 가변석으로 달려가 [[헤르메스 (서포터즈)]]와 함께 기쁨을 나누었다. 5분 뒤에는 [[김륜도]]의 절묘한 헤더 패스를 [[루키안]]이 주어먹는 장면이 나왔다. 그러나 공은 뒤늦게 몸을 날린 골키퍼가 아슬아슬하게 선상에서 잡아내어 득점으로 인정되지 않았다.
후반 전개도 전반과 비슷했다. 팽팽한 경기가 계속 이어졌고 양팀의 공격은 모두 수비수들에게 가로막혀 재미를 보지 못했다. 후반 36분, 부산 [[최영준]] 감독이 수를 꺼냈다. 전반전 활약과 달리 후반전은 태업에 가까운 플레이를 한 [[포프]]를 빼고 그 자리에 수비수였던 [[이원영]]을 올렸다. 그리고 2분만에 그 수가 먹혔다. 후반 38분, [[이원영]]이 코너킥에서 헤더 득점을 터뜨렸다. [[이원영]] 역시 득점 직후 근처의 원정 응원을 온 팬들을 향해 세레머니를 펼쳤다.
부천의 전술 변화와 실점 이후에 부천은 크게 흔들렸다. 연달아 부산에게 실점 위기를 허용했다. [[김륜도]]가 수비에 가담했지만 전체적으로 체력저하를 보인 선수들은 간신히 공격을 막아내는데 급급했다. 부산 수비진에 지워지다시피 한 [[루키안]]은 별다른 활약을 펼치지 못했고 [[바그닝요]]가 고군분투 했지만 추가골에는 실패했다. 부천은 후반 추가시간에 연달아 극장골이 될 뻔한 장면을 허용했지만 간신히 틀어막는데 성공했다.
이날 무승부로 부천은 일요일 경기가 예정된 [[대구 FC]]와 승점 동률을 이루었지만 다득점에 앞서 2위로 올라갔다. 경기 후 [[송선호]] 감독은 인터뷰를 통해 후반 체력저하를 아쉬워하면서도 선수들에게 10경기 무패의 공을 돌렸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521214815171 송선호 감독, "후반 체력 저하가 아쉽다"], 베스트 일레븐, 2016.05.21.</ref>
한편 이날 경기에 앞서 부천의 새로운 유니폼이 발표되었다. 기존 유니폼들의 색상 구분 문제가 지속적으로 재기되어 흰색 골키퍼 유니폼이 추가되었다. [[류원우]] 골키퍼는 새로 나온 유니폼을 입고 선방쇼를 보였다.<ref>[https://www.facebook.com/BUCHEONFC/photos/a.165966670117803.33053.165963413451462/1054100554637739/?type=3&theater <nowiki>[안내]</nowiki>오늘 경기에서 흰색 골키퍼 유니폼을 착용할 예정입니다.]</ref>, 부천 FC 1995 공식 페이스북, 2016.05.21.
==[[대한민국 FA CUP]]==
===3R.(v. 한라대)===
{{축구경기
|날짜  = 2016.04.27.
|시간  = 19:30
|대회이름=2016 KEB 하나은행 FA CUP 3라운드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3:1<br />(a.e.t.)
|리포트 =[http://www.kfa.or.kr/facup/facupresult.asp?Query=Match%3D4946%26Single%3D180490 리포트]<br />[https://youtu.be/DmVhkzbXAek 득점장면]
|팀2    = [[한라대학교]]
|골1    =[[김대광]] {{골|73}}<br />[[한성규]] {{골|91}}<br />[[황신영]] {{골|102}}
|골2    =안동수 {{골|68}}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320
|심판  =
|MOM  =
}}
{{대사|우리는 [[스틸야드]]로 간다!}}
부천이 [[강원]][[한라대]]를 상대로 3:1 역전승을 거두며 10년 7개월여만에 [[포항 스틸러스]]와 만나게 됐다.
부천은 주전 선수를 대거 제외시키고 비주전·2군 선수로 경기에 임했다. 제외된 주전들은 게릴라 팬 사인회를 열었다.<ref>[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12005001&boardtypeid=7787&pagesize=10&boardid=604778 <nowiki>[안내]</nowiki>4월 27일 게릴라 팬사인회],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 2016.04.27.</ref> 구단 측은 [[페이스북]]으로 댓글 중계를 했다.<ref>[https://www.facebook.com/BUCHEONFC/photos/a.165966670117803.33053.165963413451462/1039563486091446/?type=3 댓글중계]</ref>
부천은 꽤 고전했다. 주도권은 잡았지면 골로 연결시키지 못했다. 한라대는 선수비 후역습 전략을 택했는데 부천은 좀처럼 공략하지 못했다. 특히 이날 유일한 브라질 선수였던 [[에벨톤]]은 부진한 모습을 보여 팬들의 원성을 샀다.<ref>[https://www.kfootball.org/index.php?mid=board&document_srl=4777249 부천 프리킥 골], KFOOTBALL, 2016.04.27.</ref>
첫 득점은 한라대가 터뜨렸다. 68분 실점을 허용한 부천은 5분여 뒤 [[김대광]]의 프리킥 득점으로 기사회생했다. 한라대는 실점 이후 공격적으로 경기하며 이변을 일으키려고 하였으나 경기는 연장으로 넘어간다.
연장전에 들어가며 생긴 교체카드로 [[에벨톤]]이 빠졌다. 한라대는 급격한 체력 저하를 보이며 크게 흔들렸다. 결국 96분, 로빙 패스를 받은 [[한성규]]가 왼발 슛으로 역전골을 터뜨린데 이어, 102분에는 [[황신영]]이 중거리 슛을 꽂아넣으며 쐐기골을 터뜨렸다. 한라대는 경기를 뒤집지 못했고 경기는 부천의 승리로 끝났다.
이번 승리로 부천은 4라운드에 진출한다. 상대는 [[포항 스틸러스]]. [[2005년]] [[9월 11일]] [[K리그]] 후기리그 이후 10년 7개월여만에 부천팬들은 다시 포항과 만나게 됐다.<ref>[http://sports.media.daum.net/sports/soccer/newsview?newsId=20160428113126458 부천의 축구팬, 10년 7개월만에 포항 축구 만난다], 언더컴, 2016.04.28.</ref>
승리도 승리지만 이날 경기 내용에 대해서는 계속 이야기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황신영]], [[임동혁]], [[한성규]] 등 좋은 활약을 펼친 선수들은 향후 주전경쟁에 청신호를 켰다. 특히 22세 이하 선수인 [[황신영]]은 22세 이하 의무 출전 규정의 혜택을 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학팀을 상대로도 부진했던 [[에벨톤]]은 입지가 더욱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ref>[http://bucheonfc.net/xe/board/251157 오늘 경기 아주 간단평],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4.27.</ref>
==[[2016 KEB 하나은행 FA CUP]]==
===4R.(32강) (v. 포항)===
{{축구경기
|날짜  = 2016.05.11.
|시간  = 19:30
|대회이름=2016 KEB 하나은행 FA CUP 4라운드(32강)
|팀1    = [[포항 스틸러스]]
|득점  = 0:2
|리포트 =[http://www.kfa.or.kr/facup/facupresult.asp?Query=Match%3D4947%26Single%3D180461 리포트]<br />[https://www.youtube.com/watch?v=AFLOEFKEylU 득점장면]
|팀2    = [[부천 FC 1995]]
|골1    =
|골2    =[[김륜도]] {{골|59}}<br />[[바그닝요]] {{골|71}}
|경기장 = [[포항 스틸야드]]
|관중수 =1,512
|심판  =
|MOM  =[[김륜도]](부천)<ref name="moneytoday_160519">[http://m.mt.co.kr/renew/view.html?no=2016051922402547257 2016 FA컵 대진 확정, 우승 상금 3억으로 증가], 머니투데이, 2016.05.19.</ref>
}}
{{대사|3896일만의 만남, 5129일만의 승리}}
부천이 [[포항 스틸러스]] 원정에서 0:2 완승을 거두며 창단 후 최초로 [[K리그 클래식]] 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역시 창단 후 최초로 [[대한민국 FA컵]] 16강 진출을 달성했다.
3라운드 [[한라대]] 경기 이후 [[대한축구협회]] 인터뷰에서 [[송선호]] 감독은 'FA컵에서는 골고루 출전기회를 주겠다'며 [[포항 스틸러스|포항]] 원정 경기에서도 이날 경기와 비슷한 라인업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ref>[http://www.kfa.or.kr/news/news_interview_view.asp?BoardNo=2221&Page=1&Query=Gubun%3D11401 부천FC 송선호 감독 “FA컵에서 골고루 출전기회 주겠다”], 대한축구협회 (뉴스룸), 2016.04.29.</ref> 이 인터뷰에 11여년 만의 포항 원정에 들떴던 [[헤르메스 (서포터즈)]]는 말 그대로 발칵 뒤집혔다. 포항행 티켓 취소<ref>[http://bucheonfc.net/xe/board/251365 FA컵 포항전때도 2군 멤버로 싸울껀가?],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4.29.</ref>와 구단 항의 전화<ref>[http://bucheonfc.net/xe/board/251425 구단에 전화했습니다.....],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4.29.</ref>, 이럴 거면 FA컵 출전을 취소하라거나<ref>[http://bucheonfc.net/xe/board/251449 그럴거면 아예 경기를 하지맙시다.],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4.29.</ref> 심지어는 [[송선호]] 감독 퇴진운동까지 언급<ref>[http://bucheonfc.net/xe/board/251526 진짜 정내미 떨어지네.],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4.29.</ref>하는 등 격한 발언이 쏟아졌다. 구단 페이스북 페이지에도 비슷한 반응이 나왔다.<ref>[https://www.facebook.com/BUCHEONFC/posts/1190151761049654], 부천 FC 1995 공식 페이스북, 2016.04.29.</ref> 다소 무리하게 [[R리그]](2군 리그)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굳이 FA컵을 2군에게 내어줄 이유가 없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구단 측은 이 논란에 대해 [[헤르메스 (서포터즈)]] 측에 면담을 요청했다. 김종구 단장과 이상기 팀장이 참여한 이 면담에서 구단측은 '인터뷰가 잘못 전달된 것 같다'며 'FA컵 2군 출전과 포기는 감독과 구단 모두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해명했다.<ref>[http://bucheonfc.net/xe/index.php?mid=board&page=2&document_srl=251773 FA컵 관련 구단 방문 결과], 헤르메스 홈페이지, 2016.05.02.</ref> 이후 구단 측은 30명 선착순으로 무료 원정 버스를 기획하며 서포터즈를 달랬다.<ref>[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112005001&boardtypeid=7787&pagesize=10&boardid=605781 <nowiki>[공지]</nowiki> 5/11(수) VS 포항스틸러스 FA컵 32강 원정경기 원정버스 안내], 부천 FC 1995 공식홈페이지, 2016.05.04.</ref>
[[포항 스틸야드]]에서 펼쳐진 이날 경기에서 양 팀은 퍼스트 킷이 아닌 세컨드 킷(포항 흰색 상의·검정 하의, 부천 검정 상·하의)을 착용했다. 포항의 퍼스트킷이 검정·빨강 줄무늬인데 공교롭게도 이번 시즌부터 부천의 세컨드 킷이 검은색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경기는 세간의 예상과 달리 팽팽했다. 부천의 거친 압박에 포항 선수들은 연이어 실수를 범했다. 결정적인 기회에서 [[강지용]]을 비롯한 수비수들은 몸을 던져 공격을 막아냈고, 포항의 슈팅은 모두 [[류원우]] 골키퍼의 품에 안겼다. 승부는 후반에 갈렸다. 부천이 후반 초반 [[페널티 킥]]을 얻어냈다. 하지만 [[바그닝요]]의 슛을 [[신화용]] 골키퍼가 [[코너킥]]으로 만들면서 첫 득점은 무위로 돌아갔다. 하지만 몇 분 뒤인 59분, [[김륜도]]의 슛이 수비수에 맞고 굴절되며 부천의 첫 득점이 나왔다. 리그에서는 [[루키안]]에 주전경쟁에서 밀렸던 [[김륜도]]의 올 시즌 마수걸이 골이었다. 이후 [[루키안]]까지 가세하면서 부천 쪽으로 분위기가 몰리기 시작했다. [[루키안]]은 교체 투입되자마자 도움을 추가했다. 수비수 둘을 달며 [[바그닝요]]에게 기회를 내어준 [[루키안]]은 롱패스를 쇄도하던 [[바그닝요]]에게 내어주었다. [[바그닝요]]가 오른발 아웃사이드로 찬 슛이 그대로 골문으로 빨려들어가면서 승부가 사실상 결정났다. 경기 종료가 가까워지자 [[헤르메스 (서포터즈)]]는 포항 감독인 [[최진철]]의 이름을 연호하며 승리를 만끽했다.
16강 조추첨은 [[2016년]] [[5월 19일]]에 진행되며 일정에 따라 [[6월 15일]] 또는 [[6월 22일]]에 열린다.
===5R. (16강) (v. 경주시민)===
{{축구경기
|날짜  = 2016.06.22.
|시간  = 19:30
|대회이름=2016 KEB 하나은행 FA CUP 5라운드 (16강)
|팀1    = [[부천 FC 1995]]
|득점  =
|리포트 =
|팀2    = [[경주시민축구단]]
|골1    =
|골2    =
|경기장 = [[부천종합운동장]]
|관중수 =
|심판  =
|MOM  =
}}
{{대사|4년만의 재회}}
5~6라운드 추첨결과 부천의 16강 상대는 [[K3 리그]]의 [[경주시민축구단]]으로 결정됐다. 6라운드에 진출 시 [[7월 13일]] 또는 [[8월 3일]](예비일)에 [[전북 현대 모터스]]와 [[단국대학교]] 경기 승자를 상대로 원정 경기를 갖게 된다.<ref name="moneytoday_160519" />
부천은 [[2013년]] 프로 진출 이후 4년여만에 [[경주시민축구단]]을 다시 만났다. 창단 후 첫 경기·개막전이었던 [[2008년]] [[K3 리그]] 경기에서 [[경주시민축구단]]을 상대로 구단 첫 승(2:0 승)을 따낸 바 있으며<ref>[http://msportalkorea.mt.co.kr/news/news_view.php?gisa_uniq=20080323000456 K3리그, 개막전부터 골 잔치 벌이며 화끈한 출발], 스포탈코리아, 2008.03.23.</ref> 마지막 경기는 [[2012년]] [[9월 1일]] [[부천종합운동장]]에서 열린 [[챌린저스 리그]](현 [[K3 리그]])이다.(0-0 무승부).<ref>[http://www.kfa.or.kr/news/news_view.asp?BoardNo=8938&Page=1&Query=Gubun%3D11307%3D <nowiki>[챌린저스리그 21R 종합]</nowiki> 상위권 팀들 주춤..중위권 추격 당하나?], KFA신문, 2012.09.02.</ref> 역대 전적은 2승 3무 5패로 부천의 열세이다.<ref>[http://blog.daum.net/footballism/126 <nowiki>[CL프리뷰]</nowiki> 부천FC1995 vs 경주시민축구단], 부천FC와 축구이야기, 2012.08.31. 본문에서 2승 2무 5패라는 계산은 마지막 경기를 제외한 기록이다. 마지막 경기는 0-0 무승부였다.</ref>


==선수 및 코칭스태프 명단==
==선수 및 코칭스태프 명단==
출처: [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list?boardtypeid=7823&menuid=112002001&searchcategory=FW 선수 명단]·[http://www.bfc1995.com/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112002002 코칭스태프 명단],  [http://www.bfc1995.com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
출처: [http://www.bfc1995.com/site/program/board/basicboard/list?boardtypeid=7823&menuid=112002001&searchcategory=FW 선수 명단]·[http://www.bfc1995.com/site/homepage/menu/viewMenu?menuid=112002002 코칭스태프 명단],  [http://www.bfc1995.com 부천 FC 1995 공식 홈페이지]


{{축구단 선수 명단/|부천 FC 1995|2015|
{{축구단 선수 명단/시작|부천 FC 1995|2015}}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1
|등번호=1
509번째 줄: 140번째 줄:
|등번호=4
|등번호=4
|이름=한희훈
|이름=한희훈
|로마자 이름=HAN Hee Hoon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0
|생년=
|생월=08
|생월=
|생일=10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5
|등번호=5
|이름=임동혁
|이름=임동혁
|로마자 이름=LIM Dong Hyuk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06
|생월=
|생일=08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16 데뷔
}}
}}
537번째 줄: 168번째 줄:
|생월=11
|생월=11
|생일=23
|생일=23
|비고='06년 데뷔, 주장
|비고='06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7
|등번호=7
548번째 줄: 180번째 줄:
|생월=3
|생월=3
|생일=17
|생일=17
|비고='08 데뷔, 부주장
|비고='08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576번째 줄: 208번째 줄:
|이름=바그닝요
|이름=바그닝요
|로마자 이름='''WAGUININHO'''(WAGNER Da Silva Souza)
|로마자 이름='''WAGUININHO'''(WAGNER Da Silva Souza)
|포지션=MF
|포지션=FW
|국적=브라질
|국적=브라질
|생년=1990
|생년=1990
605번째 줄: 237번째 줄:
|비고='15 데뷔
|비고='15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14
|등번호=14
619번째 줄: 252번째 줄:
|등번호=15
|등번호=15
|이름=조범석
|이름=조범석
|로마자 이름=CHO Beom Seok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0
|생년=
|생월=01
|생월=
|생일=09
|생일=
|비고='11 데뷔
|비고='16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638번째 줄: 271번째 줄:
|비고='13 데뷔
|비고='13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17
|등번호=17
649번째 줄: 283번째 줄:
|비고='13년 데뷔
|비고='13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18
|등번호=18
660번째 줄: 295번째 줄:
|비고='15 데뷔
|비고='15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19
|등번호=19
|이름=유준영
|이름=유준영
|로마자 이름=YOU Jun Yong
|로마자 이름=
|포지션=FW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0
|생년=
|생월=02
|생월=
|생일=17
|생일=
|비고='13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0
|등번호=20
682번째 줄: 319번째 줄:
|비고='14년 데뷔
|비고='14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1
|등번호=21
|이름=김대광
|이름=김대광
|로마자 이름=KIM Dae Kwang
|로마자 이름=
|포지션=FW
|포지션=FW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2
|생년=
|생월=04
|생월=
|생일=10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16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2
|등번호=22
704번째 줄: 344번째 줄:
|비고='14년 데뷔
|비고='14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3
|등번호=23
715번째 줄: 356번째 줄:
|비고='13년 데뷔
|비고='13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4
|이름=한성규
|로마자 이름=HAN Sunggyu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월=1
|생일=27
|비고='15 데뷔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5
|등번호=25
|이름=한상진
|이름=한상진
|로마자 이름=HAN Sang Jin
|로마자 이름=
|포지션=GK
|포지션=GK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5
|생년=
|생월=08
|생월=
|생일=01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16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7
|등번호=27
|이름=이윤환
|이름=이윤환
|로마자 이름=LEE Yoon Hwang
|로마자 이름=
|포지션=FW
|포지션=FW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6
|생년=
|생월=10
|생월=
|생일=16
|생일=
|비고=U-18 출신, '16 데뷔
|비고=U-18 출신, '16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29
|등번호=29
759번째 줄: 392번째 줄:
|비고='15년 데뷔
|비고='15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0
|등번호=30
|이름=최철원
|이름=최철원
|로마자 이름=CHOE Cheol Won
|로마자 이름=
|포지션=GK
|포지션=GK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4
|생년=
|생월=07
|생월=
|생일=23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1
|등번호=31
|이름=박경민
|이름=박경민
|로마자 이름=PARK Kyung Min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0
|생년=
|생월=08
|생월=
|생일=22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2
|등번호=32
|이름=배준렬
|이름=배준렬
|로마자 이름=BAE Joon Ryeol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6
|생년=
|생월=09
|생월=
|생일=23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3
|등번호=33
|이름=정준현
|이름=정준현
|로마자 이름=JUNG Jun Hyen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4
|생년=
|생월=08
|생월=
|생일=26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16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4
|등번호=34
|이름=하지원
|이름=하지원
|로마자 이름=Ha Ji Won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M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7
|생년=
|생월=10
|생월=
|생일=16
|생일=
|비고=U-18 출신, '16 데뷔
|비고=U-18 출신, '16 데뷔
}}
}}
817번째 줄: 454번째 줄:
|등번호=35
|등번호=35
|이름=이영훈
|이름=이영훈
|로마자 이름=LEE Yeong Hoon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2
|생년=
|생월=09
|생월=
|생일=26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6
|등번호=36
|이름=정대현
|이름=정대현
|로마자 이름=JEONG Dae Hyeon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08
|생월=
|생일=16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7
|등번호=37
|이름=이동호
|이름=이동호
|로마자 이름=LEE Dong Ho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11
|생월=
|생일=19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8
|등번호=38
|이름=한동욱
|이름=한동욱
|로마자 이름=HAN Dong Wook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2
|생년=
|생월=10
|생월=
|생일=13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39
|등번호=39
|이름=고병욱
|이름=고병욱
|로마자 이름=KO Byeong Wook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05
|생월=
|생일=09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40
|등번호=40
|이름=김형섭
|이름=김형섭
|로마자 이름=KIM Hueg Seob
|로마자 이름=
|포지션=D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01
|생월=
|생일=11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41
|등번호=41
|이름=김서준
|이름=김서준
|로마자 이름=KIM Seo Jun
|로마자 이름=
|포지션=MF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3
|생년=
|생월=06
|생월=
|생일=22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42
|등번호=42
|이름=홍석준
|이름=홍석준
|로마자 이름=HONG Suk Jun
|로마자 이름=
|포지션=FW
|포지션=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생년=1994
|생년=
|생월=12
|생월=
|생일=15
|생일=
|비고='16 데뷔
|비고=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55
|등번호=53
|이름=정홍연
|이름=정홍연
|로마자 이름=JUNG Hong Youn
|로마자 이름=JUNG Hongyoun
|포지션=DF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국적=대한민국
912번째 줄: 549번째 줄:
|생일=18
|생일=18
|비고='06 데뷔
|비고='06 데뷔
}}
{{축구단 선수 명단
|등번호=66
|이름=이후권
|로마자 이름=LEE Hoo Kwon
|포지션=DF
|국적=대한민국
|생년=1990
|생월=10
|생일=30
|비고='13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933번째 줄: 559번째 줄:
|생월=3
|생월=3
|생일=24
|생일=24
|비고='13년 데뷔
|비고='12년 데뷔
}}
}}
{{축구단 선수 명단
{{축구단 선수 명단
944번째 줄: 570번째 줄:
|생월=8
|생월=8
|생일=2
|생일=2
|비고='01 데뷔
|비고='16 데뷔
}}
}}
}}
{{틀 끝}}


※ 등번호 12번은 창단식 때 부천시민에게 헌정하고 영구결번했다.
※ 등번호 12번은 창단식 때 부천시민에게 헌정하고 영구결번했다.
956번째 줄: 583번째 줄:
|'''감독'''||송선호||1966.01.04.||2015.05.29.~<ref>[[2015년]] [[10월 2일]] 정식 감독 계약 체결.</ref>
|'''감독'''||송선호||1966.01.04.||2015.05.29.~<ref>[[2015년]] [[10월 2일]] 정식 감독 계약 체결.</ref>
|-
|-
|수석 코치||정갑석||1969.03.03.||
|수석 코치||정갑석|| ||
|-
|-
|GK 코치||박종문||1970.10.02.||
|GK 코치||박종문||1970.10.02.||
|-
|2군 코치||박재홍||1978.11.10.||
|-
|-
|피지컬 코치||셀조실바||1983.11.24.||
|피지컬 코치||셀조실바||1983.11.24.||
976번째 줄: 601번째 줄:
| 통역관 || 강샛별
| 통역관 || 강샛별
|-
|-
| 스카우터 || 김현재
| 스카우터 || 박재홍
|}
|}


{{부천FC 둘러보기}}
{{주석}}
{{주석}}
{{부천FC 둘러보기}}
[[분류:부천 FC 1995|2016년]]
[[분류:2016년 스포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