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김해경전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부산 도시철도 목록}}
{{부산 도시철도 목록}}
[[File:sub_00162_img2_20180907.jpg|THUMB]]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부산-김해경전철
|노선명 = 부산-김해경전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종류 = [[도시철도]] ([[경전철]]) / [[운행 계통]]
|그림크기 =
|나라 = {{국기|대한민국}}
|그림설명 =
|체계 = [[부산 도시철도]]
|그림alt  =  
|노선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구간 = [[사상역|사상]] ~ [[가야대역|가야대]] <small>(23.4 km, 21개)</small>
|종류    = [[도시철도]], [[경전철]], [[운행계통]]
|번호    =  
|구간     = [[사상역|사상]] ~ [[가야대역|가야대]]
|영업거리 = 23.4 km
|역수    = 21개
|소유자  = [[부산광역시]], [[김해시]]
|운영자  = [[부산-김해경전철 (기업)|부산-김해경전철]]
|개통일  = [[2011년]] [[9월 16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신명차량사업소]]
|차량기지 = [[신명차량사업소]]
|궤간     = 1,435 mm ([[표준궤]])
|개통일 = [[2011년]] [[9월 16일]]
|선로     = 2
|폐지일 =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소유자 = [[부산광역시]]<br>[[김해시]]
|신호     = [[ATP]]/[[ATO]]
|운영자 = [[부산김해경전철운영주식회사]]
|비고    =  
|궤간 = 1435mm ([[표준궤]])
|선로 = 2
|전기 = 직류 750 V
|신호 = [[ATP]]/[[ATO]]
|최고속도 =
|주석 =  
}}
}}


== 개요 ==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상역]]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가야대역]]을 잇는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의 도시 철도(경전철) 노선이며, 노선색은 보라색이다.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사상역]]과 [[경상남도]] [[김해시]] [[삼계동]]에 있는 [[가야대역]]을 잇는 부산-김해경전철 주식회사의 도시 철도(경전철) 노선이며, 노선색은 보라색이다.


33번째 줄: 30번째 줄:


== 특징 ==
== 특징 ==
[[부산 도시철도]]와 유사한 구간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는데, 구간 산정방식이 다소 다르다. 양단에서 중심구간(평강~김해대학)을 왕복하는 것은 1단계, 양단을 왕복하는 건 2단계 요금을 매긴다.
[[부산 도시철도]]와 유사한 구간요금제를 채택하고 있는 데, 구간 산정방식이 다소 다르다. 양단에서 중심구간(평강~김해대학)을 왕복하는 것은 1단계, 양단을 왕복하는 건 2단계 요금을 매긴다.


승차권으로 RF토큰을 채택하였다. 또한 [[간접환승]]을 채택하여 [[교통카드]]로만 환승이 가능하다.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의 영향을 받아 환승시 500원을 차감한다.
승차권으로 RF토큰을 채택하였다. 또한 [[간접환승]]을 채택하여 [[교통카드]]로만 환승이 가능하다. [[부산-김해-양산 광역환승할인]]의 영향을 받아 환승시 500원을 차감한다.  


[[현대로템]]에서 납품한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의 무인운전 전동차로, 총 25편성이 재적중이다.
[[현대로템]]에서 납품한 [[부산김해경전철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의 무인운전 전동차로, 총 25편성이 재적중이다.
42번째 줄: 39번째 줄:


== 운임 ==
== 운임 ==
2017년 기준 성인 운임은 1구간 1,300원, 2구간 1,500원이다. 구간요금제로 운영되는데, 노선을 3개 구간으로 쪼개어 인접한 구간을 오가는 것은 1구간, 끝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2구간으로 한다.
2017년 기준 성인 운임은 1구간 1,300원, 2구간 1,500원이다. 구간요금제로 운영되는 데, 노선을 3개 구간으로 쪼개어 인접한 구간을 오가는 것은 1구간, 끝에서 끝으로 가는 것을 2구간으로 한다.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운임 구간
|+ 운임 구간
66번째 줄: 63번째 줄:
* [[2002년]]: 민간사업자에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선정<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518145 김해 경전철사업 협상 타결 .. 요금 1천원 수준], 2002.06.13</ref>
* [[2002년]]: 민간사업자에 [[현대산업개발]] 컨소시엄 선정<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5&aid=0000518145 김해 경전철사업 협상 타결 .. 요금 1천원 수준], 2002.06.13</ref>
* [[2006년]]: 착공<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076338&plink=OLDURL  오늘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 착공], SBS, 2006.02.14</ref>
* [[2006년]]: 착공<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076338&plink=OLDURL  오늘 부산-김해 경전철 건설 착공], SBS, 2006.02.14</ref>
* [[2011년]] [[9월 16일]]: 개통
* [[2011년]] [[9월 16일]]: 전구간(가야대↔사상) 개통
* 2017년 4월 1일: 최소수입보장(MRG) 방식을 폐지하고, 비용보전(MCC) 방식으로 전환<ref>[https://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192467 부산-김해경전철 최소운임수입보장 폐지…3천억 원 절감], 대한민국 정책브리핑</ref>
{{-}}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구<br>간
! 번호
! 역번호
! km
! km
! 정거장
! colspan="2" | 역명
! 연계 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
| style="width: 1.2em;" rowspan="7"| 중심구역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사상역|사상(서부터미널)]]
| [[사상역|사상]]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코레일 일반열차<br />''[[부전마산선]] (예정)''<br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2}}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사상하단}} [[사상하단선]] (예정)''
| 沙上
| rowspan="9" | {{세로|[[부산광역시]]}}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2}}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 rowspan="2" | [[사상구]]
| style="width: 1.2em;" rowspan="9"|[[부산광역시]]  
| style="width: 1.2em;" rowspan="2" | [[사상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2
| style="text-align: right;" | 0.8
| style="text-align: right;" | 0.8
| [[괘법르네시떼역|괘법르네시떼(강변공원)]]
| [[괘법르네시떼역|괘법르네시떼]]
| style="text-align: left;" |  
| 掛法르네시떼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3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text-align: right;" | 3.1
| [[서부산유통지구역|서부산유통지구<br />(금호마을·에어부산)]]
| [[서부산유통지구역|서부산유통지구]]
| style="text-align: left;" |  
| 西釜山流通地區
| rowspan="7" | [[부산 강서구|강서구]]
|
| rowspan="7" | [[강서구 (부산)|강서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4
| style="text-align: right;" | 4.0
| style="text-align: right;" | 4.0
| [[공항역 (부산)|공항]]
| [[공항역 (부산)|공항]]
| style="text-align: left;" |  
| 空港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5
| style="text-align: right;" | 5.3
| style="text-align: right;" | 5.3
| [[덕두역|덕두]]
| [[덕두역|덕두]]
| style="text-align: left;" |  
| 德斗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6
| style="text-align: right;" | 7.2
| style="text-align: right;" | 7.2
| [[등구역|등구]]
| [[등구역|등구]]
| style="text-align: left;" |  
| 登龜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7
| style="text-align: right;" | 9.2
| style="text-align: right;" | 9.2
| [[대저역|대저]]
| [[대저역|대저]]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大渚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8
! rowspan="5"| 외곽 1구역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8
| style="text-align: right;" | 10.2
| style="text-align: right;" | 10.2
| [[평강역|평강]]
| [[평강역|평강]]
| style="text-align: left;" |  
| 平江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9
| style="text-align: right;" | 11.4
| style="text-align: right;" | 11.4
| [[대사역|대사]]
| [[대사역|대사]]
| style="text-align: left;" |  
| 大沙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0
| style="text-align: right;" | 12.5
| style="text-align: right;" | 12.5
| [[불암역|불암]]
| [[불암역|불암]]
| style="text-align: left;" |
| 佛岩
| rowspan="12" | {{세로|[[경상남도]]}}
|
| rowspan="12" | [[김해시]]
| style="width: 1.2em;" rowspan="12" | [[경상남도]]
| style="width: 1.2em;" rowspan="12" | [[김해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1
| style="text-align: right;" | 13.2
| style="text-align: right;" | 13.2
| [[지내역|지내]]
| [[지내역|지내]]
| style="text-align: left;" |  
| 池內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2
| style="text-align: right;" | 14.0
| style="text-align: right;" | 14.0
| [[김해대학역|김해대학(안동)]]
| [[김해대학역|김해대학]]
| style="text-align: left;" |  
| 金海大學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3
| style="width: 1.2em;" rowspan="9"| 외곽 2구역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3
| style="text-align: right;" | 15.3
| style="text-align: right;" | 15.3
| [[인제대역|인제대(활천)]]
| [[인제대역|인제대]]
| style="text-align: left;" |  
| 仁濟大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4
| style="text-align: right;" | 16.3
| style="text-align: right;" | 16.3
| [[김해시청역|김해시청]]
| [[김해시청역|김해시청]]
| style="text-align: left;" |  
| 金海市廳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5
| style="text-align: right;" | 16.9
| style="text-align: right;" | 16.9
| [[부원역|부원]]
| [[부원역|부원]]
| style="text-align: left;" |  
| 府院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6
| style="text-align: right;" | 17.9
| style="text-align: right;" | 17.9
| [[봉황역|봉황<br />(김해여객터미널)]]
| [[봉황역|봉황]]
| style="text-align: left;" |  
| 鳳凰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7
| style="text-align: right;" | 18.6
| style="text-align: right;" | 18.6
| [[수로왕릉역|수로왕릉(김해보건소)]]
| [[수로왕릉역|수로왕릉]]
| style="text-align: left;" |  
| 首露王陵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8
| style="text-align: right;" | 19.4
| style="text-align: right;" | 19.4
| [[박물관역|박물관]]
| [[박물관역|박물관]]
| style="text-align: left;" |  
| 博物館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1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19
| style="text-align: right;" | 20.5
| style="text-align: right;" | 20.5
| [[연지공원역|연지공원]]
| [[연지공원역|연지공원]]
| style="text-align: left;" |  
| 蓮池公園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2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20
| style="text-align: right;" | 21.7
| style="text-align: right;" | 21.7
| [[장신대역|장신대(화정)]]
| [[장신대역|장신대]]
| style="text-align: left;" |  
| 長神大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2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BGL}}; color: white;" | BG21
| style="text-align: right;" | 22.6
| style="text-align: right;" | 22.6
| [[가야대역|가야대(삼계)]]
| [[가야대역|가야대]]
| style="text-align: left;" |  
| 加倻大
|
|-
|-
|}
|}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부산 도시철도]]
[[분류:부산-김해 경전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