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전쟁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VNWarMontage.png|섬네일]]
'''베트남 전쟁'''은 [[냉전]] 시기 [[한국전쟁]]과 함께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충돌한 대표적인 [[전쟁]]이다.
'''베트남 전쟁'''은 [[냉전]] 시기 [[한국전쟁]]과 함께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충돌한 대표적인 [[전쟁]]이다.


9번째 줄: 8번째 줄:
이 전쟁으로 인해 군인들은 물론이고 수많은 민간인들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불발탄이나 고엽제 살포등의 문제는 2000년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며 1970년대에 끝난 베트남 전쟁의 상흔이 이어지고 있다.
이 전쟁으로 인해 군인들은 물론이고 수많은 민간인들의 피해가 발생했으며 불발탄이나 고엽제 살포등의 문제는 2000년대 오늘날까지도 이어지며 1970년대에 끝난 베트남 전쟁의 상흔이 이어지고 있다.


== 배경 ==
==배경==
=== 베트남의 독립 ===
===베트남의 독립===
[[1887년]]부터 [[베트남]]은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편입되어 있었고,<ref>사실 코친차이나가 베트남 남부에 있었는데, 인도차이나 전역으로 확장해서 만든 게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다만 [[영국]]령인 [[인도]]와 직접 안 닿기 위한 완충 지대로서 [[태국]]은 포함되지 않았다.</ref> [[프랑스]]는 식민지인들을 착취하고 [[베트남]]의 유교 사상을 말살하기 위해 식민지 정책을 단행했다.<ref>땅을 빼앗아 프랑스인 대지주한테 주고, 기존 농민들에게는 엄청난 세금과 소작료를 매겼다. 또한 [[프랑스]]식 교육을 진행하고 로마자 표기인 [[꾸옥응으]]를 배포했다.다만 [[꾸옥응으]]를 배포해서 인쇄, 출판이 활발해지고 독립운동에 도움을 주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ref> 그래서 [[프랑스]]로부터 독립하고자 했던 베트남인들이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나 실패로 돌아가고 있었는데, [[일본]]이 [[태평양 전쟁]]을 시작하고 [[일본]]군들이 동남아로 들어오면서 [[프랑스]]인들이 일단 후퇴하게 되었다.
{{빈 문단}}


그렇게 [[베트남]]은 [[일본]]이 세운 괴뢰정부의 지배를 받고 있었으나, [[1945년]] 일본의 항복이 다가오자 [[호찌민]]을 중심으로 한 [[베트민]]이 정부를 붕괴시킨다. 그 [[1945년]] [[9월 2일]], [[호찌민]]은 [[하노이]]의 [[바딘 광장]]에서 베트남의 독립과 [[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프랑스]]를 비롯한 연합국들은 그걸 인정하지 않았다.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트남에 영국군과 중화민국군이 각각 남쪽과 북쪽에 진주하며, 베트남의 정치적 상황은 해방 이후 [[한반도]]의 상황과 비슷하게 진행되었다. 그 와중에도 지속되던 [[국공내전]]으로 더 이상 베트남 북부에 병력을 주둔시킬 수 없던 [[중화민국]]이 군대를 철수시킴으로써 베트남 북부는 정치적 공백이 생겼고, 이 공백을 통해 [[호치민]]을 주석으로 하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이 형성된다.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
그러나 북위 17도선 아래에서는 영국군이 [[프랑스]]에게 베트남 남부를 넘겨주었고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은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에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내세워 남베트남을 수립하며 사건은 시작되었다.
이후 북위 16도를 기준으로 북쪽엔 [[중화민국]]군, 남쪽엔 [[영국]]군이 주둔하며 전후 처리를 담당한다. 하지만 [[중화민국]]은 [[국공내전]]으로 인해 베트남에 병력을 주둔시킬 수 없었고, [[영국]]도 식민지가 워낙 많다보니 [[베트남]]에만 집중할 수 없어 [[프랑스]]한테 넘겨주게 된다. 그렇게 북부에는 [[베트남 민주 공화국]]<ref>다른 말로 [[북베트남]], 또는 [[월맹]]([[베트민]])이라고 하기도 한다.</ref>이 형성되지만, 남부는 상대가 [[프랑스]]다보니 협의 하에 [[프랑스]]령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베트남]]에 독립 정부가 생기는 걸 인정하지 않았던 [[프랑스]]는 베트남 남부에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 바오 다이를 내세워 남베트남을 수립한다. 그러다 결국 [[프랑스]]가 하노이 근처의 항구도시인 하이퐁을 침공하면서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이 시작되었다. [[베트남]]은 필사적으로 저항하면서 정글 지형을 활용한 게릴라전을 이어갔고, 거기다 [[1949년]]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으며 전투력을 키우게 된다.
==전쟁의 진행==
{{빈 문단}}


이후 '''[[디엔비엔푸 전투]]'''가 시작된다. [[프랑스]]는 디엔비엔푸가 완전히 오지라서 보급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었는데, [[베트민]]군은 민간인들을 동원해서 군수물자를 옮기고, 중기관총, 야포 등의 무기들을 부품 단위로 옮겨 산 정상에서 조립하며 디엔비엔푸에 군수물자를 집결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그렇게 프랑스군들을 성공적으로 공격하고 포위해서, 결국 프랑스군의 항복을 받아낸다. '''[[베트민]]이 승리하자''' [[1954년]] 제네바 합의를 통해 [[프랑스]]군은 베트남에서 완전히 물러나고, 북위 17도를 기준으로 북쪽에 북베트남으로 독립하게 됐다.
==결과==
{{빈 문단}}


그러나 아직 [[프랑스]]가 세운 남베트남이 자리잡고 있었고, 제네바 합의를 통해 2년 내로 남북 총선거를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하지만 [[호찌민]]을 중심으로 [[베트민]]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던 상황이라, 총선거를 하면 [[베트민]]이 이기고 [[공산주의|공산화]]가 이루어지는 것이었다.<ref>지주들과 자본가들의 수탈을 받으면서 자본가들에 대한 반발이 심했던 상황에 [[공산주의]]가 큰 지지를 얻었고, [[호찌민]]은 인도차이나 공산당을 세우며 독립운동을 전개해나갔다.</ref>
==참전 국가==
 
{{빈 문단}}
이를 꺼려했던 서방 국가들은 남베트남을 지원하고 있었다. 남베트남의 실질적 정치를 맡았던 [[응오딘지엠]]<ref>남베트남의 국가원수였던 [[응우옌 왕조]]의 바오 다이는 상징적인 존재에 불과했고, [[1954년]]부터 실질적인 정치는 [[응오딘지엠]]이 하고 있었다. [[응오딘지엠]]은 완강한 반공주의자라서 [[미국]]의 지원을 받은 것이다.</ref>이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총선거를 거부했고, 이에 [[호찌민]]은 남베트남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던 조직 [[베트콩]]을 지원하기로 한다.
 
== 진행 ==
이후 [[응오딘지엠]]의 쿠데타로 [[완조]]가 붕괴하고 [[베트남 공화국]]이 세워졌다. 이후 [[도미노 이론]]을 내세운 [[미국]]은 [[베트남]]에 개입하였으며,<ref>이에 관여했던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암살을 당하며 [[린든 B. 존슨]]이 새로운 대통령으로 선출된다.</ref> [[호찌민]]은 전쟁을 선포하며, [[북베트남]] 해군이 [[미군]]을 공격하는 [[통킹만 사건]]이 벌어지자, 이를 빌미로 베트남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통킹만 사건]] 이후 3일 만에 [[린든 B. 존슨]] 대통령은 보복공습을 선포한다.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한 것보다 훨씬 많은 [[폭탄]]을 북베트남 지역에 투하하였고, 막강한 화력과 인력을 동원하였다. 거기다 정글 지대라는 낯선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고엽제]]를 살포해 나무들을 썩어버리게 만들기도 했다.<ref>[[고엽제]]가 인체에도 해로워서 월남전 참전자들도 고엽제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기도 했다.</ref> 거기다 정작 공격해야 할 중요한 산업 시설은 중국 가까운 곳에 몰려있어서 행여 중국을 자극해서 3차 대전 일어날까봐 애꿎은 민가를 쑥대밭으로 만들기도 했다. 결국 베트남의 끈질긴 저항과 명분없는 전쟁을 계속하는 동안, 전 세계와 미국내의 반전 여론이 일어났다. 왜냐면 전쟁을 계속 이어갈 명분도 없을 뿐더러 성과도 나지 않고, 가족들은 불구가 되거나 죽어서 돌아오는 경우도 허다 하니까 [[프랑스]]에선 [[68 운동]]까지 일어나게 된다. [[1968년]] 구정에는 [[북베트남]]이 '''대공세를 펼친다.''' 결국 중부 지역 전선을 대부분 상실하는 바람에 다시 되찾으려고 탈환전을 벌이는데, 이 때 종군 기자들이 이를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찍은 사진이 [[퓰리처상]]을 받는다.
 
반전 여론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버틸 수 없던 [[미국]]의 [[린든 존슨]]은 재출마를 포기하고, [[1969년]]에 [[리처드 닉슨]]으로 대통령이 바뀌며 베트남 전쟁에서 손을 떼려고 했다.<ref>이 때 [[호찌민]]은 사망하지만, 비밀 작전과 전투로 전쟁을 계속 이어오고 있었다.</ref> 하지만 남베트남은 [[미국]] 없인 살 수 없는 나라였고, [[미국]]이 철군한 사이에 북베트남이 처들어올 걸 염려한 남베트남은 [[1973년]] [[파리 협정]]을 맺게 된다. 그렇게 [[미군]]은 베트남에서 철군하고 전쟁은 끝이 나게 된다.
 
== 결과 ==
그러나... [[1975년]]에 [[북베트남]]이 파리 협정을 위반하며 침공하자 남베트남이 순식간에 무너졌다. 같은 해 [[4월 30일]]에는 [[사이공]]을 점령하였고, 사이공과 지아딘 성 등의 지역을 합쳐 '''[[호찌민시]]'''로 개명시킨다. 그리고 1976년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을 수립하면서 베트남은 완전히 공산 국가가 되어버린다.
 
== 참전 국가 ==
=== 북베트남 ===
* [[중국]]
* [[소련]]
* [[북한]]
 
=== 남베트남 ===
* [[미국]]
* [[캄보디아]]
* [[라오스]]
* [[대한민국]]
* [[태국]]
* [[호주]]
* [[필리핀]]
* [[뉴질랜드]]
 
== 창작물 ==
=== 영화 ===
* [[굿모닝 베트남]]
* [[람보]]
* [[지옥의 묵시록]]
* [[포레스트 검프]]
* [[풀 메탈 재킷]]
* [[플래툰]]
* [[위워솔져스]]
* [[님은 먼곳에]]
* [[국제시장 (영화)]]
* [[알포인트]]
 
=== 뮤지컬 ===
* [[미스 사이공]]
 
=== 음악 ===
* [[김추자]] - 월남에서 돌아온 김상사
* [[루이 암스트롱]] - What a Wonderful World


{{각주}}
{{각주}}
{{냉전}}
[[분류:베트남 전쟁| ]]
[[분류:베트남 전쟁| ]]
[[분류:1955년 분쟁]]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