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0번째 줄: 40번째 줄:


==생애==
==생애==
출생연도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각종 미술작품이나 복음서 내의 언급에서 수제자 및 연장자로 묘사되는 것을 볼 때, 다른 제자들보다 나이가 많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도인 [[안드레아]]와 형제지간이라고 알려져 있다.
출생연도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각종 미술작품이나 복음서 내의 언급에서 수제자 및 연장자로 묘사되는 것을 볼 때, 다른 제자들보다 나이가 많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사도인 [[안드레아]]와 형제지간이라고 알려져 있다.  


베드로는 본래 어부였으며, 복음서의 기록에서 묘사하는 예수와의 첫 만남 역시 물고기를 잡는 장면이 나온다. '''[[낚시|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라는 예수의 말을 듣고 제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베드로는 본래 어부였으며, 복음서의 기록에서 묘사하는 예수와의 첫 만남 역시 물고기를 잡는 장면이 나온다. '''[[낚시|사람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라는 예수의 말을 듣고 제자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 후 예수의 공생애와 함께 하며, 수제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잠깐이긴 하지만 예수를 따라 물 위를 걷기도 하고, 후술할 역대급 신앙 고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 다혈질인 모습도 있어서, 예수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칼을 들고 다니다가 예수를 체포하러 온 군인의 귀를 자르는 모습<ref>마태복음 26장 51절</ref> 역시 기록되어 있다. 이런 모습에서 공자의 수제자 중 하나인 자로와 비교되기도 한다.
그 후 예수의 공생애와 함께 하며, 수제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잠깐이긴 하지만 예수를 따라 물 위를 걷기도 하고, 후술할 역대급 신앙 고백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또 다혈질인 모습도 있어서, 예수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칼을 들고 다니다가 예수를 체포하러 온 군인의 귀를 자르는 모습<ref>마태복음 26장 51절</ref> 역시 기록되어 있다. 이런 모습에서 공자의 수제자 중 하나인 자로와 비교되기도 한다.  


그러나 예수의 체포 이후, <strike>아놔 나 그딴 사람 모른다고!!</strike> 예수를 세번 부인하는 등 인간적인 면모 역시 가지고 있다. 예수의 십자가 처형 이후 본업인 어부로 돌아가 생업에 종사하다, 부활한 예수를 만나 세번 사랑을 고백하고 다시한번 수제자로서의 지위를 회복한다. 이후 베드로는 예루살렘에서 초대 교회를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으며, 신약 성경의 베드로의 편지 두 편을 저술한다.
그러나 예수의 체포 이후, <strike>아놔 나 그딴 사람 모른다고!!</strike> 예수를 세번 부인하는 등 인간적인 면모 역시 가지고 있다. 예수의 십자가 처형 이후 본업인 어부로 돌아가 생업에 종사하다, 부활한 예수를 만나 세번 사랑을 고백하고 다시한번 수제자로서의 지위를 회복한다. 이후 베드로는 예루살렘에서 초대 교회를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으며, 신약 성경의 베드로의 편지 두 편을 저술한다.  


베드로의 최후에 대해서는 전설적으로 전해내려오는 얘기가 있는데, 내용은 이러하다. 베드로는 로마 정부의 박해를 피해 변장을 하고 로마 밖으로 빠져나가고 있었는데, 예수의 환상을 보게 된다. 베드로는 예수에게 “Quo vadis, Domine?”(주님, 어디로 가십니까?) 라고 물었고, 예수는 이에 "Venio Romam iterum crucifigi."(십자가에 '''다시''' 못박히러 로마로 간다.) 라는 대답을 한다. 베드로는 <s>아이고 예수님 엉엉엉 하면서</s> 십자가에 못박히러 로마로 다시 들어가게 되었고, 그의 말대로 기원후 64년 로마에서 못박히게 되었다.
베드로의 최후에 대해서는 전설적으로 전해내려오는 얘기가 있는데, 내용은 이러하다. 베드로는 로마 정부의 박해를 피해 변장을 하고 로마 밖으로 빠져나가고 있었는데, 예수의 환상을 보게 된다. 베드로는 예수에게 “Quo vadis, Domine?”(주님, 어디로 가십니까?) 라고 물었고, 예수는 이에 "Venio Romam iterum crucifigi."(십자가에 '''다시''' 못박히러 로마로 간다.) 라는 대답을 한다. 베드로는 <s>아이고 예수님 엉엉엉 하면서</s> 십자가에 못박히러 로마로 다시 들어가게 되었고, 그의 말대로 기원후 64년 로마에서 못박히게 되었다.  


그의 최후에 대해서는 "예수님과 같은 방법으로 죽을 수는 없다" 라고 말하며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죽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그로 인해 뒤집힌 모양의 역십자는 교황의 상징으로써 지금도 쓰여지고 있다<ref>http://www.catholic.com/blog/hector-molina/the-upside-down-cross-satanic-or-symbolic</ref>. <strike>교황 사탄 숭배자 아니라고</strike>
그의 최후에 대해서는 "예수님과 같은 방법으로 죽을 수는 없다" 라고 말하며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죽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그로 인해 뒤집힌 모양의 역십자는 교황의 상징으로써 지금도 쓰여지고 있다<ref>http://www.catholic.com/blog/hector-molina/the-upside-down-cross-satanic-or-symbolic</ref>. <strike>교황 사탄 숭배자 아니라고</strike>
62번째 줄: 62번째 줄:
내가 천국 열쇠를 네게 주리니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하시고|[[개역한글판]][[마태복음]]|16장17~19절}}
내가 천국 열쇠를 네게 주리니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요 네가 땅에서 무엇이든지 풀면 하늘에서도 풀리리라 하시고|[[개역한글판]][[마태복음]]|16장17~19절}}


이 신앙고백의 그리스어 약자로 "Ίησοῦς Χριστός, Θεοῦ Υἱός, Σωτήρ", (Iēsous Christos, Theou Yios, Sōtēr),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구세주라는 표현이 쓰였는데, 공교롭게도 이 약자의 철자와 물고기라는 단어의 철자가 같아 초대 기독교의 상징으로 익투스(Ichthus), 이크티스(Ichtys) 라고 하는 물고기 문양이 쓰여지게 되었다 <ref>http://en.wikipedia.org/wiki/Ichthys</ref>.
이 신앙고백의 그리스어 약자로 "Ίησοῦς Χριστός, Θεοῦ Υἱός, Σωτήρ", (Iēsous Christos, Theou Yios, Sōtēr),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아들, 구세주라는 표현이 쓰였는데, 공교롭게도 이 약자의 철자와 물고기라는 단어의 철자가 같아 초대 기독교의 상징으로 익투스(Ichthus), 이크티스(Ichtys) 라고 하는 물고기 문양이 쓰여지게 되었다 <ref>http://en.wikipedia.org/wiki/Ichthys</ref>.  


문제는 이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운다는 말에 대한 해석이 [[가톨릭]]과 [[개신교]]를 가르는 부분 중 하나이다. [[가톨릭]]쪽에서는 아예 이 말을 그대로 적용해서 베드로의 무덤 위에 [[성 베드로 성당]](산 피에트로 성당)을 그대로 세워버리면서 이 말을 말 그대로 실현시켜 버린다. 또 '''예수께서 직접 세우신 교회'''라는 타이틀을 밀면서 가톨릭의 정통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 반석 위에 교회를 세운다는 말에 대한 해석이 [[가톨릭]]과 [[개신교]]를 가르는 부분 중 하나이다. [[가톨릭]]쪽에서는 아예 이 말을 그대로 적용해서 베드로의 무덤 위에 [[성 베드로 성당]](산 피에트로 성당)을 그대로 세워버리면서 이 말을 말 그대로 실현시켜 버린다. 또 '''예수께서 직접 세우신 교회'''라는 타이틀을 밀면서 가톨릭의 정통성을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개신교]]측의 해석은 이와 달라서 예수가 반석이라고 한 것은 베드로의 신앙고백이지, 베드로 위에다 교회 건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또 예수께서 세우신 교회는 베드로의 몸 위에 물리적으로 세운 교회 뿐만 아니라 베드로의 고백을 공유하는 보편적인 교회를 말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이 부분은 교회에 대한 이론까지 차이가 있게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가톨릭은 베드로의 수위권 이래로 내려오는 교황권과 사도권이 전승되는 전통을 따르고, 개신교는 그런거 없이 개별 신앙고백에 따른 개교회주의를 따르게 된다.<ref>이 논쟁은 [[가톨릭]], [[개신교]]가 가장 핫하게(?) 키베를 벌이는 주제 중 하나다. 이것과 맞먹는 떡밥은 '성모 공경'정도(...) 다만 이건 성모 공경과는 달리 [[정교회]]도 얽혀 있는 정말 유서깊은 떡밥. 보다 자세한 이야기는 [[교황수위권]] 항목을 참조해보자.</ref>  
하지만 [[개신교]]측의 해석은 이와 달라서 예수가 반석이라고 한 것은 베드로의 신앙고백이지, 베드로 위에다 교회 건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또 예수께서 세우신 교회는 베드로의 몸 위에 물리적으로 세운 교회 뿐만 아니라 베드로의 고백을 공유하는 보편적인 교회를 말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이 부분은 교회에 대한 이론까지 차이가 있게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가톨릭은 베드로의 수위권 이래로 내려오는 교황권과 사도권이 전승되는 전통을 따르고, 개신교는 그런거 없이 개별 신앙고백에 따른 개교회주의를 따르게 된다.<ref>이 논쟁은 [[가톨릭]], [[개신교]]가 가장 핫하게(?) 키베를 벌이는 주제 중 하나다. 이것과 맞먹는 떡밥은 '성모 공경'정도(...) 다만 이건 성모 공경과는 달리 [[정교회]]도 얽혀 있는 정말 유서깊은 떡밥. 보다 자세한 이야기는 [[교황수위권]] 항목을 참조해보자.</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