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요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몽골]]에서 만들어 먹는 [[요리]]를 말한다. 몽골(외몽골) 뿐 아니라 그 주위의 내몽골(중국), 부랴트/칼미크 공화국(러시아)의 음식도 몽골 요리에 속한다. 계통상 동북아시아 요리라고 하기엔 많이 이질적이고, 오히려 [[중앙아시아 요리]]에 더 가깝기는 하지만, 몽골 요리가 동아시아 지역과 주고받은 영향이 결코 적지는 않다. 유목생활이 주류이었던 몽골 민족의 특성상, 과정이 복잡하지 않은 심플한 요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몽골]]에서 만들어 먹는 [[요리]]를 말한다. 계통상 동북아시아 요리라고 하기엔 많이 이질적이고, 오히려 [[중앙아시아 요리]]에 더 가깝기는 하지만 몽골 요리가 동아시아 지역과 주고받은 영향이 결코 적지는 않다. 유목생활이 주류이었던 몽골 민족의 특성상, 과정이 복잡하지 않은 심플한 요리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다 20세기에 들어서 소련의 지원으로 울란바타르과 같은 수도가 한 개 만들어지고, 정착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몽골 내에서 전통적인 몽골 요리의 입지가 약간 흔들리고 있다. 아무래도 기본적으로 많은 운동량과 야외생활을 상정하고 먹던 음식이어서 도시생활과는 맞지 않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전통 몽골 요리들이 야생미가 너무 넘치다보니 비교적 세련된 외국 음식의 인기가 없을리 없다는 것.
그러다 20세기에 들어서 소련의 지원으로 울란바타르과 같은 수도가 한 개 만들어지고, 정착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생기면서 몽골 내에서 전통적인 몽골 요리의 입지가 약간 흔들리고 있다. 아무래도 기본적으로 많은 운동량과 야외생활을 상정하고 먹던 음식이어서 도시생활과는 맞지 않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전통 몽골 요리들이 야생미가 너무 넘치다보니 비교적 세련된 외국 음식의 인기가 없을리 없다는 것.
9번째 줄: 9번째 줄:
몽골 음식은 "붉은 음식, 하얀 음식(улаан идээ, цагаан идээ. 울랑이떼, 차강이떼)"이라는 말로 정리할 만큼 고기와 유제품 섭취량이 절대적이다. 반면 야채와 과일 및 견과류가 주재료로 쓰이는 일은 거의 없고, 한 술 더 떠서 수산물이 주가 되는 건 사실상 없다. 아예 새우나 조개 같은 해산물은 거의 혐오식품 취급인데, 그나마 몽골에도 강과 [[홉스굴|호수]]는 있어서 생선까지는 허용범위로 치는 모양이다.
몽골 음식은 "붉은 음식, 하얀 음식(улаан идээ, цагаан идээ. 울랑이떼, 차강이떼)"이라는 말로 정리할 만큼 고기와 유제품 섭취량이 절대적이다. 반면 야채와 과일 및 견과류가 주재료로 쓰이는 일은 거의 없고, 한 술 더 떠서 수산물이 주가 되는 건 사실상 없다. 아예 새우나 조개 같은 해산물은 거의 혐오식품 취급인데, 그나마 몽골에도 강과 [[홉스굴|호수]]는 있어서 생선까지는 허용범위로 치는 모양이다.


고기는 주로 방목이 쉬운 양고기와 염소고기를 선호한다. 소고기, 오리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같은 축산물도 유통되고 있기는 하지만, 울란바타르 같은 도시 지역이 아니면 구경조차도 힘든 .
고기는 주로 방목이 쉬운 양고기와 염소고기를 선호한다. 오리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같은 축산물도 있기는 하지만 울란바타르 같은 수도가 아니면 구경은 거의 제대로 하기 힘든 것이 대부분.


이는 몽골인이 오랫동안 유목민 생활을 해왔기 때문으로, 원재료로서 저장기간이 짧은 과채류를 구하기 힘들던 사정이 작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몽골인이 과채류를 싫어하는 건 아니며, 도리어 좋아하는 쪽이라서, 드물게 자생하거나 재배가 가능한 베리류 과일<ref>대표적으로 [[차차르간]](산자나무열매)이 있다.</ref>이나 야채류를 그 나름대로 최대한 이용해왔고, 물류 유통이 발달한 현대에 들어선 도시권을 중심으로 급격히 과채류 소비량이 급격히 늘어났다. 그럼에도 '''생'''야채는 익숙치 않아하여<ref>단, 오이 및 토마토 정도는 제법 생으로 즐겨먹는데, 이건 소련 간섭기 이후 도시화가 이뤄지면서 새로운 식문화 유행이 전해져 적응하게 된 사례에 가깝다. 이건 몽골 뿐 아니라 중앙아시아 공통사항이나, 특히 몽골에선 생오이와 생토마토를 거의 공식처럼 올리곤 한다.</ref> 다소 거부감을 가지고 있으며, 때문에 익혀먹는 채소류이자 장기 보존이 가능한, 당근과 감자 같은 [[구황작물]]이 주류를 이룬다.
이는 몽골인이 오랫동안 유목민 생활을 해왔기 때문으로, 원재료로서 저장기간이 짧은 과채류를 구하기 힘들던 사정이 작용한 것이다. 그렇다고 몽골인이 과채류를 싫어하는 건 아니며, 도리어 좋아하는 쪽이라서 드물게 자생하거나 재배가 가능한 베리류 과일이나 야채류를 그 나름대로 최대한 이용해왔고, 물류 유통이 발달한 현대에 들어선 도시권을 중심으로 급격히 과채류 소비량이 늘어났다. 그럼에도 생야채에는 익숙해하질 않아 어느 정도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서, 특히 당근과 감자 같은 장기보존이 가능한 [[구황작물]]이 주류를 이룬다.


'''몽골 요리에서는 [[분식]](粉食)이 [[육식]](肉食)보다 격이 높다.''' 전통적인 삶의 방식이 농사와는 맞지 아니하여 곡류 대부분이 [[화베이|화북 지방]] 등에서 수입할 수밖에 없었기에, 밀가루는 화폐에 준하는 취급을, 쌀은 야채와 동급으로서 귀히 여겼다. 예로 몽골식 [[피로시키]]에는 속재료로서 쌀이 섞인 야채류가 곧잘 들어간다.
'''몽골에선 도리어 [[분식]](粉食)이 [[육식]](肉食)보다 격이 높다.''' 그 대부분 [[화베이|화북 지방]]에서 올라오는 밀가루를 이용한 것이고, 쌀은 대개 귀한 야채와 동급으로 간주한다. 예로 몽골식 [[피로시키]]에는 속재료로서 쌀이 섞인 야채류가 곧잘 들어간다.


국토 대부분이 초원과 사막으로 이뤄졌다보니 물도 귀해서, 조리법은 주로 간접열 구이와 볶음, 탕이 주류를 이룬다. 흔히 떠올리는 이미지와는 달리 몽골 요리는 '''습식(濕食)'''이 많은데, 마찬가지로 '''물이 귀하다보니 재료 속의 수분까지 끌어모아다''' 요리로 만들어버리는 관습이 생겼기 때문이다.  
초원과 사막이 대부분이니 물이 귀해서, 조리법은 주로 간접열 구이와 볶음, 탕이 주류를 이룬다. 의외로 습식이 많은데, 마찬가지로 '''물이 귀하다보니, 재료 속의 수분까지 끌어모아다''' 요리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이다. 반면 '''날 것을 그대로 먹는 문화는 없으며''',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최소한 건조시켜 먹기라도 한다. 때문에 과거 중국 대륙을 차지하여 [[원]](元/Юань)을 건국했을 땐, [[송]](宋) 시절까지 간신히 남아있던 화북 및 중원의 절임류를 포함한 생식(生食)문화를 사실상 절멸시켰고, 그나마 영향력이 약하게 미치던 화남지방과 동쪽 끝자락에서만 겨우 살아남은 바 있다.
 
반면 '''날 것을 그대로 먹는 문화는 없으며''', 사정이 여의치 않으면 최소한 건조시켜 먹기라도 한다. 때문에 과거 중국 대륙을 차지하여 [[원]](元/Юань)을 건국했을 땐, [[송]](宋) 시절까지 간신히 남아있던 화북 및 중원의 절임류를 포함한 생식(生食)문화를 사실상 절멸시켰고, 그나마 영향력이 약하게 미치던 화남지방과 동쪽 끝자락에서만 겨우 살아남은 바 있다.


외국인의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요리로 유명하며, 몽골인들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모양이다.<ref>어떤 한국인 블로거의 썰에 의하면, 몽골친구에게 몽골음식이 좋다고 이야기했으나, 되려 신기하다는 반응을 들었다고 한다.</ref> 농경민족인 한국이나 일본 사람에게는 가히 [[충격과 공포]]로 점철되는 음식들이 많다. 아무래도 주기적으로 움직여야만 하는 유목민족이다보니 좀 더 맛나게 먹겠다며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갈 수는 없는 노릇. 즉, 어지간한 요리가 기본적인 조리수준에 그치며, 간 맞추기도 기껏해야 돌소금이 전부일 정도로 심심한 편이고, 이 마저도 안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흔히 국물을 낼 때 여분의 지방을 제거하는 과정이 있기 마련인데 몽골에서 그랬다간 어르신에게 뒤통수 후려맞는다. 또한 가축을 잡을 때 피를 질질 흘리면 다른 야생동물들이 그 냄새를 맡고 습격할 위험이 있었다보니 '''피를 빼지 않은 고기를 먹는다.''' 고기 비린내 대부분 피에서 나는 것임을 감안하면... 그냥 [[흠좀무]]라고 할 수밖에. 또한 유제품으로 죽을 쑤거나 소스로 사용하는 등, 유제품 소화율이 낮은 동양인 입장에선 심히 기상천외한 요리가 많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채식주의자는 몽골에서 상당한 고생을 한다.
외국인의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요리로 유명하며, 몽골인들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모양이다.<ref>어떤 한국인 블로거의 썰에 의하면, 몽골친구에게 몽골음식이 좋다고 이야기했으나, 되려 신기하다는 반응을 들었다고 한다.</ref> 농경민족인 한국이나 일본 사람에게는 가히 [[충격과 공포]]로 점철되는 음식들이 많다. 아무래도 주기적으로 움직여야만 하는 유목민족이다보니 좀 더 맛나게 먹겠다며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갈 수는 없는 노릇. 즉, 어지간한 요리가 기본적인 조리수준에 그치며, 간 맞추기도 기껏해야 돌소금이 전부일 정도로 심심한 편이고, 이 마저도 안하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흔히 국물을 낼 때 여분의 지방을 제거하는 과정이 있기 마련인데 몽골에서 그랬다간 어르신에게 뒤통수 후려맞는다. 또한 가축을 잡을 때 피를 질질 흘리면 다른 야생동물들이 그 냄새를 맡고 습격할 위험이 있었다보니 '''피를 빼지 않은 고기를 먹는다.''' 고기 비린내 대부분 피에서 나는 것임을 감안하면... 그냥 [[흠좀무]]라고 할 수밖에. 또한 유제품으로 죽을 쑤거나 소스로 사용하는 등, 유제품 소화율이 낮은 동양인 입장에선 심히 기상천외한 요리가 많다. 이와 같은 특성 때문에 채식주의자는 몽골에서 상당한 고생을 한다.
51번째 줄: 49번째 줄:


=== 분식류 (粉食類) ===
=== 분식류 (粉食類) ===
* [[만두]]
* 만두류
** 보즈(Бууз) : 중국에서 유래한 것(빠오쯔)이 확실한 찐만두로, 야채는 아주 간신히 들어가고, 그냥 다진 양고기로 꽉꽉 채워넣어 만든다. 북쪽 너머의 러시아 부랴트 지방에선 '부자'라고 부른다. 특히 몽골의 설날에선 절대 빠지지 않는 특식인데, 애초부터 엄청 많이 만들어 두기는 하지만, 만일 귀한 손님이라도 있다면 아주 배가 터지도록 와장창 먹이는 것이 관습.
** [[만두|보즈]](Бууз) : 중국에서 유래한 찐만두로 설날 음식 취급이다. 당연하지만 양고기와 양기름으로 가득차 있다.
** 반쉬(Банш) : 작은 물만두. 대략 보즈의 축소판이라 보면 된다. 수테차로 끓여 먹으면 반쉬태차(Банштай цай)가 되는데 아침식사용으로 인기가 있다.
** [[만두|반쉬]](Банш) : 작은 물만두. 대략 보즈의 축소판이라 보면 된다. 수테차로 끓여 먹으면 반쉬태차(Банштай цай)가 되는데 아침식사용으로 인기가 있다.
** [[호쇼르]] : 넓고 납작한 튀김 혹은 부침만두. 동유럽~중앙아 등지에서 먹는 체부레키와 같은 유사한 음식도 있어서 기원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대개 중국 유래로 인지하는 분위기이며, 단어 자체가 중국어 유래({{ruby|火烧|훠샤오}})이다. 내용물은 거의 다른 재료 없이 양고기로 가득 채우는 편이다.<ref>치즈를 넣는 바리에이션 정도는 있다.</ref> 몽골인 남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자주 네이밍되며, 이것을 수북히 쌓아놓고 먹는 것을 은근히 좋아한다고.
** [[군만두|호쇼르]] : 넓고 납작한 튀김 혹은 부침만두. 이것도 중국 유래인데 내용물은 거의 다른 재료 없이 양고기로 가득 채우는 편이다. 몽골인 남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으로 자주 네이밍되며, 이것을 수북히 쌓아놓고 먹는 것을 은근히 좋아한다고.
** 나담 호쇼르 : 호쇼르의 일종으로, 주로 [[나담 축제]]때 만들어 먹는 스타일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 일반적인 호쇼르가 반달 모양인 것에 비해 나담 스타일은 둥근 원형에 납작하고도 매우 넓은 크기인 것이 특징이다. 만두피의 질감도 일반적인 호쇼르가 바짝 튀긴듯이 바삭한 것에 반해, 나담 호쇼르는 전(煎)방식으로 지지듯이 튀기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바삭함이 덜하나, 대신 튀김만두 치고는 묘한 쫄깃함이 있다.
** 나담 호쇼르 : 호쇼르의 일종으로, 주로 [[나담 축제]]때 만들어 먹는 스타일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 일반적인 호쇼르에 비해 납작하고 넓은데, 그 대신에 내용물의 밀도도 다소 낮다. 만두피의 질감도 일반적인 호쇼르가 바짝 튀긴듯이 바삭한 것에 반해, 나담 호쇼르는 상대적으로 바삭함이 덜하나 쫄깃함이 있다.
** [[피로시키]](Пирошки) : 소련 시절에 들어온 러시아식 튀김빵 스타일의 왕만두.
** [[피로시키]](Пирошки) : 소련 시절에 들어온 러시아식 튀김빵 스타일의 왕만두.
* [[볶음면|초이방]](цуйван, 초이왕) : 중국 요리 차오미엔의 영향을 받은 볶음 국수. 다만 일반적인 국수류와는 달리, 기름 없이 얇게 부치듯 구워낸 빵을 가늘게 채썰어 국수로 만드는 기법을 쓴다. 양고기를 듬뿍 넣어 만들되 당근같은 야채도 조금은 들어간다. 간은 소금간이 기본이지만, 향을 위해서 약간의 간장을 넣기도 한다. 몽골인들도 이건 좀 느끼하다고 생각하는지, 먹을 때 케찹이나 간장을 뿌려 먹는 걸 선호한다.
* [[볶음면|초이방]](цуйван, 초이왕) : 중국 요리 차오미엔의 영향을 받은 볶음 국수. 다만 일반적인 국수류와는 달리, 기름 없이 얇게 부치듯 구워낸 빵을 가늘게 채썰어 국수로 만드는 기법을 쓴다. 양고기를 듬뿍 넣어 만들되 당근같은 야채도 조금은 들어간다. 간은 소금간이 기본이지만, 향을 위해서 약간의 간장을 넣기도 한다. 몽골인들도 이건 좀 느끼하다고 생각하는지, 먹을 때 케찹이나 간장을 뿌려 먹는 걸 선호한다.
* 반탕(Бантан) : 고기수프와 죽의 중간형태쯤 되는 전통음식. 일반적인 고깃국(하르슐)보다 급이 높다.
* 반탕(Бантан) : 고기수프와 죽의 중간형태쯤 되는 전통음식.
* 만토(Мантуу) : 중국의 "만두(꽃빵)"과 같다. 대개 쪄내어서 밥처럼 먹는다.
* 만토(Мантуу) : 중국의 "만두(꽃빵)"과 같다. 대개 쪄내어서 밥처럼 먹는다.
* 탈흐(Талх) : 그냥 오븐/화덕으로 구워낸 '''[[빵]]'''. 단순히 '탈흐'라고만 하면 적당히 둥근 흰 빵을 말하고, 러시아 스타일의 검은 빵은 하르탈흐(хар талх)라고 부른다.
* 탈흐(Талх) : 그냥 '''[[빵]]'''을 말한다. 단순히 '탈흐'라고만 하면 적당히 둥근 흰 빵을 말하고, 러시아 스타일의 검은 빵은 하르탈흐(хар талх)라고 부른다.


=== 기타 분류 ===
=== 기타 분류 ===
90번째 줄: 88번째 줄:
[[분류:몽골|요리]]
[[분류:몽골|요리]]
{{각주}}
{{각주}}
[[분류:동아시아 요리]]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