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갈리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01번째 줄: 101번째 줄:
미러링은 남성혐오를 하기 위해 만들어낸 명분일 뿐이라는 주장 역시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미러링은 남성혐오를 하기 위해 만들어낸 명분일 뿐이라는 주장 역시 계속 제기되고 있으며,
메갈리아의 극단적인 해결방식은 대한민국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성혐오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는 지적 역시 있다. 이 지적은 [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해당 보고서]에서 2015년 현재 대한민국 남성의 약 50%, 여성의 약 20%가 여성 및 여성 정책에 비판적인 게시글 및 댓글<ref>해당 보고서 내에서 이를 '여성혐오표현이 있는 글'로 정의하였다.</ref>에 공감한다는 내용을 인용한 언론기사가 이를 단순히 김치녀, 된장녀 등의 '여성비하' 발언에 남성의 50%가 공감한다고 보도<ref>http://news.mk.co.kr/newsRead.php?no=191266&year=2016</ref><ref>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75672</ref>한 것과 같이 대중들에게 흔히 받아들여지는 '여성혐오'<ref>문자 그대로 해석한, '여성을 혐오하는 것'</ref>의 의미와 학계에서 사용되는 '여성혐오'<ref>노골적인 혐오 이외에도 기존의 성역할 강화, 여성의 성적 대상화(음란물 등) 등 여성에 대한 편견을 적용시키는 것까지 포함하는 경우(출처: Daley, Gemma (2012년 10월 17일). 《Macquarie Dictionary has last word on misogyny》)가 있는 등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여성혐오의 의미보다 범위가 넓은 경우가 많다.</ref>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주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여성혐오표현이 있는 글에 공감한다고 응답하면서도 대한민국의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이성혐오를 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응답한 것이나 대한민국 남성의 88%, 여성의 97%가 '현재 대한민국 내의 여성혐오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묻는 질문에 보통 또는 그 이상으로 답한 것<ref>[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안상수 외 4명,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f>은 2015년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 여성혐오를 문제가 있다고 여기고 배척하고 있지만, 여성혐오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라는 주장 역시 이 지적에서 주로 활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성혐오 발언을 쏟아내는 메갈리아의 방식 대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성평등 정책을 홍보하고 사회에 남아있는 성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알리는 등 여성혐오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 작업이 필요하다<ref>[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안상수 외 4명,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중 '정책 제언' 문단]</ref>는 지적이다.
메갈리아의 극단적인 해결방식은 대한민국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여성혐오 문제를 해결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는 지적 역시 있다. 이 지적은 [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해당 보고서]에서 2015년 현재 대한민국 남성의 약 50%, 여성의 약 20%가 여성 및 여성 정책에 비판적인 게시글 및 댓글<ref>해당 보고서 내에서 이를 '여성혐오표현이 있는 글'로 정의하였다.</ref>에 공감한다는 내용을 인용한 언론기사가 이를 단순히 김치녀, 된장녀 등의 '여성비하' 발언에 남성의 50%가 공감한다고 보도<ref>http://news.mk.co.kr/newsRead.php?no=191266&year=2016</ref><ref>http://www.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775672</ref>한 것과 같이 대중들에게 흔히 받아들여지는 '여성혐오'<ref>문자 그대로 해석한, '여성을 혐오하는 것'</ref>의 의미와 학계에서 사용되는 '여성혐오'<ref>노골적인 혐오 이외에도 기존의 성역할 강화, 여성의 성적 대상화(음란물 등) 등 여성에 대한 편견을 적용시키는 것까지 포함하는 경우(출처: Daley, Gemma (2012년 10월 17일). 《Macquarie Dictionary has last word on misogyny》)가 있는 등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는 여성혐오의 의미보다 범위가 넓은 경우가 많다.</ref>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는 주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여성혐오표현이 있는 글에 공감한다고 응답하면서도 대한민국의 남성과 여성이 모두 이성혐오를 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본다고 응답한 것이나 대한민국 남성의 88%, 여성의 97%가 '현재 대한민국 내의 여성혐오의 심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묻는 질문에 보통 또는 그 이상으로 답한 것<ref>[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안상수 외 4명,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ref>은 2015년 현재 대한민국 내에서 여성혐오를 문제가 있다고 여기고 배척하고 있지만, 여성혐오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고 있지는 않기 때문이라는 주장 역시 이 지적에서 주로 활용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성혐오 발언을 쏟아내는 메갈리아의 방식 대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성평등 정책을 홍보하고 사회에 남아있는 성과 관련된 고정관념을 알리는 등 여성혐오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는 작업이 필요하다<ref>[http://www.kwdi.re.kr/module/downFile.kw?sgrp=S01&siteCmsCd=CM0001&topCmsCd=CM0002&cmsCd=CM0004&pnum=1&cnum=0&ntNo=1195&sbjCdSel=&rptCdSel=&src=&srcTemp=&currtPg=1&pageSize=10&fno=1 안상수 외 4명,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중 '정책 제언' 문단]</ref>는 지적이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이 미러링이 여성을 혐오하는 극소수의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남성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인데 결론적으로 이는 남녀 역차별이 될 수 있다.


===미러링은 핑계일 뿐이다===
===미러링은 핑계일 뿐이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