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스 셔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 정보
{{야구 선수 정보
|인물이름 = 맥스 셔저
| 선수명 = 맥스 셔저
|원어이름 = Max Scherzer
| 선수명 다른 표기 = Max Scherzer
|배경색  =  
| 현 소속 구단 = 워싱턴 내셔널스
|글자색  =  
| 등번호 = 31
|그림    = [[파일:Max Scherzer in WSN uniform.jpg|100%]]
| 선수 사진 파일명 = Max Scherzer in WSN uniform.jpg
|그림설명 = 워싱턴 내셔널스의 맥스 셔저
| 선수 사진 크기 = 100%
|본명     = 맥스웰 M. 셔저<br />(Maxwell M. Scherzer)
| 선수 사진 설명 = 워싱턴 내셔널스의 맥스 셔저
|다른이름 =
| 본명 = 맥스웰 M. 셔저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84|7|27}}
| 본명 다른 표기 = Maxwell M. Scherzer
|출생지   = [[미국]]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84|07|27}}
|사망일  =  
| 출생지 = {{국기|미국}} [[미주리]] [[세인트루이스]]
|사망지  =
| 신장 = 190.5cm
|국적    = {{나라|미국}}
| 체중 = 97.5kg
|학력    =  
| 투구 = 우투
|직업    =
| 타격 = 우타
|종교    =
| 수비 위치 = [[투수]]
|정당    =
| 프로 입단 = [[2007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br />2006 MLB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1순위
|신체    = 190.5cm, 97.5kg
| 소속 구단 = <nowiki></nowiki>
|배우자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07-2009)
|가족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0-2014)
|활동기간 =
* [[워싱턴 내셔널스]] (2015-)
|소속사  =  
| 주요 경력 = <nowiki></nowiki>
|웹사이트 =
'''[[MLB]] 경력'''
|비고    =
* 2008년 4월 29일 데뷔
|하위 틀  =
* [[아메리칸 리그|AL]] [[올스타]] 선정 2회 (2013-2014)
{{인물 정보/프로선수
* [[내셔널 리그|NL]] [[올스타]] 선정 1회 (2015)
|종목    = [[야구]]
* [[아메리칸 리그|AL]] [[사이 영 상]] 수상 (2013)
|포지션  = [[투수]]
* [[아메리칸 리그|AL]] 다승왕 2회 (2013-2014)
|코치    =  
* [[노히터]] 2회 (2015년 6월 20일, 2015년 10월 3일)
|소속팀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small>(2007~2009)</small><br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small>(2010~2014)</small><br />[[워싱턴 내셔널스]] <small>(2015~)</small>
|지도    =
}}
}}
}}
'''맥스웰 M. "맥스" 셔저'''(Maxwell M. "Max" Scherzer, 1984년 7월 27일 출생)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ajor League Baseball, MLB) [[워싱턴 내셔널스]]에 소속된 [[미국]]의 프로 [[야구]] [[투수]]다. 이전에 같은 메이저 리그 팀인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2013년에 [[아메리칸 리그]](American League, AL) [[사이 영 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 한 시즌 동안 두 번의 [[노히터]]를 던진 메이저 리그 역사상 여섯 번째 투수가 됐다.
'''맥스웰 M. "맥스" 셔저'''(Maxwell M. "Max" Scherzer, 1984년 7월 27일 출생)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ajor League Baseball, MLB) [[워싱턴 내셔널스]]에 소속된 [[미국]]의 프로 [[야구]] [[투수]]다. 이전에 같은 메이저 리그 팀인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2013년에 [[아메리칸 리그]](American League, AL) [[사이 영 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 한 시즌 동안 두 번의 [[노히터]]를 던진 메이저 리그 역사상 여섯 번째 투수가 됐다.


74번째 줄: 72번째 줄:


=== 2012시즌 ===
=== 2012시즌 ===
2012년 6월 21일, 시즌 시작 이후 극심한 성적 부진에 시달리던 셔저에게 비극적인 일이 찾아왔다. 우울증을 앓던 남동생 알렉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http://blog.naver.com/chinadrum/70174019117 관련 기사1], [http://mlbpark.donga.com/mbs/articleV.php?mbsC=mlbtown&mbsIdx=449160&cpage=&mbsW=search&select=stt&opt=1&keyword=%B8%C6%B0%FA%C0%CC%BE%EE 관련 기사2]) 성적이 반등한 것은 그 무렵이었다. 시즌 후반 무섭게 질주한 셔저는 그 해 정규 시즌 동안 32경기에 선발 등판해 16승 7패(.696)를 거두며 다승과 승률에서 새로운 커리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탈삼진이었다. 무려 231개의 삼진을 기록하며 팀동료 [[저스틴 벌랜더]]의 239개에 이어 아메리칸 리그 2위를 차지했던 것이다. 9이닝 당 탈삼진 비율은 무려 11.1개로 1위였다. 사랑하던 동생을 잃었던 일이 반전의 계기가 됐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부진했던 시기에도 탈삼진 비율 같은 세부 지표에선 눈에 띄는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야구계의 통계 분석가들로 하여금 그의 부진이 일시적일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게 했었다. 똑똑한 경제학도였던 동생 알렉스도 평소 그 분야에 대한 조예가 깊었고, 형에게 그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들려줬다고 한다.
2012년 6월 21일, 시즌 시작 이후 극심한 성적 부진에 시달리던 셔저에게 비극적인 일이 찾아왔다. 우울증을 앓던 남동생 알렉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http://blog.naver.com/chinadrum/70174019117 관련 기사: 동생의 죽음] 성적이 반등한 것은 그 무렵이었다. 시즌 후반 무섭게 질주한 셔저는 그 해 정규 시즌 동안 32경기에 선발 등판해 16승 7패(.696)를 거두며 다승과 승률에서 새로운 커리어 최고 기록을 세웠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탈삼진이었다. 무려 231개의 삼진을 기록하며 팀동료 [[저스틴 벌랜더]]의 239개에 이어 아메리칸 리그 2위를 차지했던 것이다. 9이닝 당 탈삼진 비율은 무려 11.1개로 1위였다. 사랑하던 동생을 잃었던 일이 반전의 계기가 됐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사실 부진했던 시기에도 탈삼진 비율 같은 세부 지표에선 눈에 띄는 긍정적인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야구계의 통계 분석가들로 하여금 그의 부진이 일시적일 것이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게 했었다. 똑똑한 경제학도였던 동생 알렉스도 평소 그 분야에 대한 조예가 깊었고, 형에게 그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들려줬다고 한다.


이어지는 포스트시즌 동안엔 평소만큼의 투구수를 소화하지 못했다. 정규 시즌 막판에 찾아온 부상 때문이었다. 하지만 투구 내용은 훌륭했고, 소속팀 타이거스가 디비전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챔피언쉽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를 꺾으며 [[월드 시리즈]] 진출을 이뤄내는데 힘을 보탰다. 그리고 생애 첫 월드 시리즈에선 4차전에 선발 등판해 6과 1/3이닝 동안 3자책점 8탈삼진의 무난한 투구를 보였다. 하지만 팀은 연장에서 패했고, 이는 시리즈를 결정짓는 마지막 패배였다.
이어지는 포스트시즌 동안엔 평소만큼의 투구수를 소화하지 못했다. 정규 시즌 막판에 찾아온 부상 때문이었다. 하지만 투구 내용은 훌륭했고, 소속팀 타이거스가 디비전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챔피언쉽 시리즈에서 뉴욕 양키스를 꺾으며 [[월드 시리즈]] 진출을 이뤄내는데 힘을 보탰다. 그리고 생애 첫 월드 시리즈에선 4차전에 선발 등판해 6과 1/3이닝 동안 3자책점 8탈삼진의 무난한 투구를 보였다. 하지만 팀은 연장에서 패했고, 이는 시리즈를 결정짓는 마지막 패배였다.
102번째 줄: 100번째 줄:


2015년 6월 14일엔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오직 1안타와 1볼넷만을 허용하며 16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했다. 그 1안타조차도 내야를 살짝 넘기는 안타였을 정도로 압도적인 투구였다. 이날 잡은 16개의 탈삼진은 개인 최다 신기록임과 동시에 내셔널스 팀의 신기록이기도 했다.
2015년 6월 14일엔 [[밀워키 브루어스]]를 상대로 오직 1안타와 1볼넷만을 허용하며 16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했다. 그 1안타조차도 내야를 살짝 넘기는 안타였을 정도로 압도적인 투구였다. 이날 잡은 16개의 탈삼진은 개인 최다 신기록임과 동시에 내셔널스 팀의 신기록이기도 했다.
 
2015년 6월 20일 [[내셔널스 파크]] 홈팬들 앞에서 등판한 셔저는 [[피츠버그 파이러츠]] 타자들을 압도해나갔다. 첫 26타자를 아웃시키며 퍼펙트 행진을 이어갔는데, 이어지는 27번째 타자 [[호세 타바타]]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지며 [[퍼펙트 게임]]을 놓쳤다. 심지어 2스트라이크 상황이라 더 아쉬움이 컸다. 더군다나 타바타가 공을 일부러 피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생길 정도로 애매한 공이기도 했다. 셔저는 다음 타자 [[조쉬 해리슨]]을 뜬공 아웃시키며 [[노히터]]를 달성하는데는 성공했다.
2015년 6월 20일 [[내셔널스 파크]] 홈팬들 앞에서 등판한 셔저는 [[피츠버그 파이러츠]] 타자들을 압도해나갔다. 첫 26타자를 아웃시키며 퍼펙트 행진을 이어갔는데, 이어지는 27번째 타자 [[호세 타바타]]에게 [[몸에 맞는 공]]을 던지며 [[퍼펙트 게임]]을 놓쳤다. 심지어 2스트라이크 상황이라 더 아쉬움이 컸다. 더군다나 타바타가 공을 일부러 피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생길 정도로 애매한 공이기도 했다. 셔저는 다음 타자 [[조쉬 해리슨]]을 뜬공 아웃시키며 [[노히터]]를 달성하는데는 성공했다.


115번째 줄: 113번째 줄:


== 자료 출처 ==
== 자료 출처 ==
* {{웹 인용|title=Max Scherzer Statistics and History|work=Baseball-Reference.com|url=http://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s/scherma01.shtml|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Max Scherzer Statistics and History|work=Baseball-Reference.com|url=http://www.baseball-reference.com/players/s/scherma01.shtml|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인적사항
** 인적사항
** 기록과 수상 경력
** 기록과 수상 경력
** 연봉
** 연봉


* {{웹 인용|title=Max Scherzer Stats, Fantasy & News|work=MLB.com|url=http://m.mlb.com/player/453286/max-scherzer|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Max Scherzer Stats, Fantasy & News|work=MLB.com|url=http://m.mlb.com/player/453286/max-scherzer|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인적사항
** 인적사항
** 기록과 수상 경력
** 기록과 수상 경력


* {{뉴스 인용|title=Former Logger Max Scherzer Named 2013 AL Cy Young Award Winner!|work=La Crosse Loggers|date=2013년 11월 14일|url=http://northwoodsleague.com/la-crosse-loggers/2013/11/14/former-logger-max-scherzer-named-2013-al-cy-young-award-winner/|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Former Logger Max Scherzer Named 2013 AL Cy Young Award Winner!|work=La Crosse Loggers|date=2013년 11월 14일|url=http://northwoodsleague.com/la-crosse-loggers/2013/11/14/former-logger-max-scherzer-named-2013-al-cy-young-award-winner/|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2004년 라크로스 로거스에서의 경력
** 2004년 라크로스 로거스에서의 경력


* {{뉴스 인용|title=Two tone: Max Scherzer's playfulness, intensity may be final piece for Nationals|work=Washington Times|date=2015년 4월 5일|저자=Todd Dybas|url=http://www.washingtontimes.com/news/2015/apr/5/two-tone-max-scherzers-playfulness-intensity-may-b/?page=all#pagebrea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Two tone: Max Scherzer's playfulness, intensity may be final piece for Nationals|work=Washington Times|date=2015년 4월 5일|저자=Todd Dybas|url=http://www.washingtontimes.com/news/2015/apr/5/two-tone-max-scherzers-playfulness-intensity-may-b/?page=all#pagebrea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성격; 유쾌함, 강한 승부근성, 지적인 면모
** 성격; 유쾌함, 강한 승부근성, 지적인 면모
** 고향과 모교; 진학 동기
** 고향과 모교; 진학 동기
134번째 줄: 132번째 줄:
** 홍채이색증
** 홍채이색증


* {{뉴스 인용|title=Scherzer family quietly deals with a loss that wins can never offset|work=The Kansas City Star|date=2013년 7월 13일 22시 50분|저자=Vahe Gregorian|url=http://www.kansascity.com/sports/spt-columns-blogs/vahe-gregorian/article323059/Scherzer-family-quietly-deals-with-a-loss-that-wins-can-never-offset.html|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Scherzer family quietly deals with a loss that wins can never offset|work=The Kansas City Star|date=2013년 7월 13일 22시 50분|저자=Vahe Gregorian|url=http://www.kansascity.com/sports/spt-columns-blogs/vahe-gregorian/article323059/Scherzer-family-quietly-deals-with-a-loss-that-wins-can-never-offset.html|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가족; 아버지; 어머니의 결혼 전 성
** 가족; 아버지; 어머니의 결혼 전 성
** 동생의 죽음
** 동생의 죽음


* {{웹 인용|title=2012 Big 12 Baseball Media Guide|work=Big12sports.com|url=http://www.big12sports.com/fls/10410/pdfs/baseball/12guide/record-book.pdf?DB_OEM_ID=10410|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2012 Big 12 Baseball Media Guide|work=Big12sports.com|url=http://www.big12sports.com/fls/10410/pdfs/baseball/12guide/record-book.pdf?DB_OEM_ID=10410|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미주리 대학교 시절 경력; 빅12 컨퍼런스 최우수 투수
** 미주리 대학교 시절 경력; 빅12 컨퍼런스 최우수 투수


* {{웹 인용|title=University of Missouri Athletics - Hall of Fame|work=mutigers.com|url=http://www.mutigers.com/hof.aspx?hof=187&path=&kios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University of Missouri Athletics - Hall of Fame|work=mutigers.com|url=http://www.mutigers.com/hof.aspx?hof=187&path=&kios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미주리 대학교 시절 경력; 학교 최초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미주리 대학교 시절 경력; 학교 최초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 1라운드 지명 선수


* {{웹 인용|title=2013 AL Cy Young|work=BBWAA.com|url=http://bbwaa.com/13-al-cy/|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2013 AL Cy Young|work=BBWAA.com|url=http://bbwaa.com/13-al-cy/|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2013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투표 결과
** 2013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투표 결과


* {{뉴스 인용|title=Scherzer makes history, becoming first Tigers starter to post an 11-0 record to begin the season|work=Oakland Press News|date=2013년 6월 22일 00시 01분|저자=Matthew B. Mowery|url=http://www.theoaklandpress.com/general-news/20130622/scherzer-makes-history-becoming-first-tigers-starter-to-post-an-11-0-record-to-begin-the-season|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Scherzer makes history, becoming first Tigers starter to post an 11-0 record to begin the season|work=Oakland Press News|date=2013년 6월 22일 00시 01분|저자=Matthew B. Mowery|url=http://www.theoaklandpress.com/general-news/20130622/scherzer-makes-history-becoming-first-tigers-starter-to-post-an-11-0-record-to-begin-the-season|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역대 타이거스 투수들의 개막 연승 기록
** 역대 타이거스 투수들의 개막 연승 기록


* {{뉴스 인용|title=Tigers’ Max Scherzer improves to 10-0 / Baseball Notebook|work=The Seattle Times|date=2013년 6월 17일 20시 55분|저자=|url=http://www.seattletimes.com/sports/mariners/tigersrsquo-max-scherzer-improves-to-10-0-baseball-noteboo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Tigers’ Max Scherzer improves to 10-0 / Baseball Notebook|work=The Seattle Times|date=2013년 6월 17일 20시 55분|저자=|url=http://www.seattletimes.com/sports/mariners/tigersrsquo-max-scherzer-improves-to-10-0-baseball-notebook/|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역대 타이거스 최다 개막 연승 기록
** 역대 타이거스 최다 개막 연승 기록


* {{뉴스 인용|title=Max Scherzer becomes first pitcher since 1986 to start season 13-0|work=CBS Sports|date=2013년 7월 3일 21시 18분|저자=Matt Snyder|url=http://www.cbssports.com/mlb/eye-on-baseball/22627281/max-scherzer-becomes-first-pitcher-since-1986-to-start-season-130|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Max Scherzer becomes first pitcher since 1986 to start season 13-0|work=CBS Sports|date=2013년 7월 3일 21시 18분|저자=Matt Snyder|url=http://www.cbssports.com/mlb/eye-on-baseball/22627281/max-scherzer-becomes-first-pitcher-since-1986-to-start-season-130|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개막 13연승; 로저 클레멘스 이후 처음
** 개막 13연승; 로저 클레멘스 이후 처음


* {{뉴스 인용|title=Max Scherzer outduels Matt Harvey, gets win No. 19|work=ESPN|date=2013년 8월 24일|저자=|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Max Scherzer outduels Matt Harvey, gets win No. 19|work=ESPN|date=2013년 8월 24일|저자=|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개막 이후 19승 1패; 로저 클레멘스; 루브 마콰드
** 개막 이후 19승 1패; 로저 클레멘스; 루브 마콰드


* {{웹 인용|title=Player Card: Max Scherzer|work=Brooks Baseball|url=http://www.brooksbaseball.net/landing.php?player=453286|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web|title=Player Card: Max Scherzer|work=Brooks Baseball|url=http://www.brooksbaseball.net/landing.php?player=453286|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투구 스타일
** 투구 스타일


* {{뉴스 인용|title=Max Scherzer spins his second no-hitter of 2015|work=ESPN|date=2015년 10월 4일|저자=Adam Rubin|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Max Scherzer spins his second no-hitter of 2015|work=ESPN|date=2015년 10월 4일|저자=Adam Rubin|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두 번째 노히터; 한 시즌 두 번의 노히터를 던진 MLB 역대 여섯 번째 투수
** 두 번째 노히터; 한 시즌 두 번의 노히터를 던진 MLB 역대 여섯 번째 투수


* {{뉴스 인용|title=Max Scherzer just pitched one of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 SweetSpot|work=ESPN|date=2015년 10월 3일|저자=David Schoenfield|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cite news|title=Max Scherzer just pitched one of the greatest games of all time - SweetSpot|work=ESPN|date=2015년 10월 3일|저자=David Schoenfield|url=http://espn.go.com/mlb/recap?gameId=330824121|accessdate=2016년 1월 14일}}
** 두 번째 노히터; 게임 스코어
** 두 번째 노히터; 게임 스코어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