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게임 정보
{{게임 정보
|게임이름 =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 제목 =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원어이름 = ルフランの地下迷宮と魔女ノ旅団
| 원제목 = ルフランの地下迷宮と魔女ノ旅団<br/>Labyrinth of Refrain: Coven of Dusk
|배경색   = #8A08083E
| 이미지 = [[파일:img_ps4_switch.png]]
|글자색   = black
| 테두리색 = #8A0808
|그림    = {{
| 배경색 = #8A0808
|여백좁게 = y
| 글자색 = #E4FDDF
|제목1 = PS Vita판
| 설명 = 일본 PS4 및 닌텐도 스위치판 커버 아트
|내용1 = [[파일:Coven and Labyrinth of Refrain PS Vita cover art.png]]
| 개발사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제목2 = PS4판
| 발행사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내용2 = [[파일:Coven and Labyrinth of Refrain PS4 cover art.png]]
| 배급사 = {{국기그림|일본}} [[니폰이치 소프트웨어]]<br/>{{국기그림|미국}} [[NIS America]]<br/>{{국기그림|한국}} [[인트라게임즈]]
| 디렉터 = [[이즈미 타츠야]]
| 프로듀서 = [[니이카와 소헤이]]
| 아티스트 = [[하라다 타케히토]]
| 작곡가 = [[사토 텐페이]]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br/>[[플레이스테이션 4]]<br/>[[스팀 (플랫폼)|스팀]]<br/>[[닌텐도 스위치]]
| 출시 = {{국기그림|일본}} {{날짜/출력|2016-6-23}}<br/>{{국기그림|한국}} {{날짜/출력|2016-11-27}}<br/>{{국기그림|미국}} {{날짜/출력|2018-9-18}}
| 장르 = [[던전 RPG]]
| 모드 = 1인용
| 언어 = [[일본어]], [[영어]], [[한국어]], [[프랑스어]]
| 이용가 등급 = {{국기그림|일본}}CERO:C (15세 이상 대상)<br/>{{국기그림|한국}}15세 이용가
| 이전작 =
| 후속작 =
| 관련 사이트 =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ps4/ PS4 공식 사이트]
}}
}}
|그림설명 = 커버 아트
== 개요 ==
|배급사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개발사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제작    = [[이즈미 타츠야]] (디렉터)<br />[[니이카와 소헤이]] (프로듀서)
|작가    =
|미술    = [[하라다 타케히토]] (캐릭터 디자인)
|작곡가  = [[사토 텐페이]]
|장르    = [[롤플레잉 게임|던전 RPG]]
|출시일  = {{깃발|일본}} [[2016년]] [[6월 23일]]<br />{{깃발|한국}} [[2016년]] [[11월 27일]]<br />{{깃발|미국}} [[2018년]] [[9월 18일]]
|종료일  =
|플랫폼  = [[플레이스테이션 비타]]<br />[[플레이스테이션 4]]<br />[[Windows]]<br />[[닌텐도 스위치]]
|모드    = 1인용
|언어    = [[일본어]], [[영어]], [[한국어]], [[프랑스어]]
|엔진    =
|시리즈  =
|이전작  =
|후속작  = [[갈레리아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웹사이트 =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ps4/ PS4 공식 사이트]
|비고    =
}}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ルフランの地下迷宮と魔女ノ旅団)은 [[일본]]의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발매한 던전 롤플레잉 게임이다. 마녀 드로니아와 그 제자 루카, 전설의 책 '요로역정'이 루프란 시에서 전인미답의 지하미궁을 탐색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2016년에 [[플레이스테이션 비타]](PS Vita)로 먼저 발매되었고, 2017년에는 [[플레이스테이션 4]](PS 4), 2018년에는 [[스팀 (플랫폼)|스팀]]과 [[닌텐도 스위치]]로도 출시되었다.
 
__TOC__
<br />
{{유튜브|pM_6ssnctBE}}
 
== 줄거리 ==
{{본문|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줄거리}}
 
{{인용문|
{{인용문|
전인미답, 인적미답.<br />
전인미답, 인적미답.<br/>
요염한 「지하미궁」에 도전하는, 「마녀의 여단」 이야기.<br />
요염한 「지하미궁」에 도전하는, 「마녀의 여단」 이야기.
(前人未到,人跡未踏。妖しげな『地下迷宮』に挑む,『魔女ノ旅団』の物語。)
<ref>원문은 다음과 같다. 前人未到,人跡未踏。妖しげな『地下迷宮』に挑む,『魔女ノ旅団』の物語。</ref>
|공식 홈페이지 소개
|공식 홈페이지 소개
}}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하고 발매한 던전 RPG 게임. 마녀 드로니아와 그 제자 루카, 전설의 책 '요로역정'이 루프란 시에서 전인미답의 지하미궁을 탐색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스토리에서 큰 호평을 받는 게임인 만큼, 스포일러를 당하게 되면 게임의 즐거움을 잃어버린다. 플레이할 계획이 있다면 보지 않는 것을 권한다.
2016년 [[플레이스테이션 비타|비타]], 2017년 [[플레이스테이션 4|PS 4]]로 발매되었다. 2018년에는 [[스팀 (플랫폼)|스팀]]과 [[닌텐도 스위치|스위치]]로도 발매되었다.
 
== 평가 ==
발매 전까지만 해도 대단한 화제는 아니었으나, 발매 이후 순식간에 각지에서 품절되었으며 개발사에서 품절 사태에 대해 사과까지 할 정도로 호조인 판매량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는 2016년의 비타 소프트 명작이자 당해 최고의 게임으로도 손꼽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평가가 좋다. 스팀판에서도 Very Positive 리뷰가 다수를 차지하며 가격에 대한 불만 말고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아기자기한 일러스트와 대비되는, 줄거리와 시스템 전반에서 풍기는 암울한 분위기가 주요 매력으로 거론된다. 그러한 분위기는 거칠고 불편하며 때로는 성적인 장면들을 보여주면서 유저가 추측하게 만드는 스토리텔링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 등장인물 ==
== 등장인물 ==
{{본문|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등장인물}}
{{본문|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등장인물}}
;드로니아 (ドロニア)
*드로니아 (CV: {{국기그림|일본}} [[센다이 에리]])
:{{배지|성우}} [[센다이 에리]]
*:"땅거미의 마녀"라는 이명을 지닌 흑발 마녀. 하루츠 왕국의 궁정마녀이며 대마녀 바바 예거<ref>오역. 원문은 バーバ・ヤーガ로 영어로는 Baba Yaga라고 하는, 슬라브 민담이나 전설에 등장하는 마녀이다.</ref>. 루프란에는 미궁 조사 의뢰를 받고 오게 되었다. 상대를 원하는 대로 행동하게 하는 마법에 능통하다. 방향 감각이 형편없으며, 평소 독설을 내뱉는 것에 비해 성격은 무른 면이 있어서 일의 마무리가 깔금하지 못하다. 가끔 인형극을 하는데 내용이 독일의 그림 형제가 쓴 '그림동화'를 떠올리게 할 정도로 뒷맛이 개운치 못하다.
:"땅거미의 마녀"라는 이명을 지닌 흑발 마녀. 하루츠 왕국의 궁정마녀이며 대마녀 바바 예거.<ref>오역. 원문은 [[바바 야가]](バーバ・ヤーガ, {{러시아어|Ба́ба-Яга́}})로, 슬라브 민담이나 전설에 등장하는 마녀이다.</ref> 루프란에는 미궁 조사 의뢰를 받고 오게 되었다. 상대를 원하는 대로 행동하게 하는 마법에 능통하다. 방향 감각이 형편없으며, 평소 독설을 내뱉는 것에 비해 성격은 무른 면이 있어서 일의 마무리가 깔금하지 못하다. 가끔 인형극을 하는데 내용이 독일의 그림 형제가 쓴 '그림동화'를 떠올리게 할 정도로 뒷맛이 개운치 못하다.
*루카 (CV: {{국기그림|일본}} [[타네자키 아츠미]])
 
*:드로니아의 제자를 자처하는 어린아이. 단어를 수 차례 복창하는 버릇이 있다. 밝고 명랑한 성격으로, 깨방정을 떨다가 드로니아에게 혼이 나곤 한다. 집안일에 능숙하다.
;루카 (ルカ)
*요로역정
:{{배지|성우}} [[타네자키 아츠미]]
*:플레이어의 분신인 존재. 세계의 틈새를 해메던 영혼이 누군가의 안내를 통해 책에 깃들게 되었다. 루카는 책에 '역정'이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과거 루프란의 지하 미궁을 완주했던 한 남자가 미친 상태에서 일주일에 걸쳐 이 책을 쓴 뒤 바로 죽고 말았다는 전설이 남아있다. 미궁을 탐색하는데 필수적이며, 탐색 내용이 기록된다.
:드로니아의 제자를 자처하는 어린아이. 단어를 수 차례 복창하는 버릇이 있다. 밝고 명랑한 성격으로, 깨방정을 떨다가 드로니아에게 혼이 나곤 한다. 집안일에 능숙하다.
*넬드 (CV: {{국기그림|일본}} [[후쿠시마 준]])
 
*:다른 미궁 탐색자인 은발의 청년. 드로니아 일행에게 미궁 탐색에서 손을 떼라며 경고한다. 본래의 종족은 조인. 루카를 좋아한다. 드로니아에 대해서는 애정과는 다른, 위태한 모습에 무언가를 느꼈는지 역정의 탐색에 종종 도움을 준다.
;요로역정 (妖路暦程)
*페트로네 (CV: {{국기그림|일본}} [[사사 켄타]])
:플레이어의 분신인 존재. 세계의 틈새를 해메던 영혼이 누군가의 안내를 통해 책에 깃들게 되었다. 루카는 책에 '역정'이라는 이름을 지어준다. 과거 루프란의 지하 미궁을 완주했던 한 남자가 미친 상태에서 일주일에 걸쳐 이 책을 쓴 뒤 바로 죽고 말았다는 전설이 남아있다. 미궁을 탐색하는데 필수적이며, 탐색 내용이 기록된다.
*:루프란 시의 영주 대행. 대상회 페트로네 상회의 회장이다. 드로니아에게 미궁 탐색을 의뢰한 장본인.
 
*마리에타 (CV: {{국기그림|일본}} [[쿠와하라 유키]])
;넬드 (ネルド)
*:수도원의 수녀. 상처를 안대로 감추고 있다. 정갈해야 할 수녀임에도 불구하고 틈만 나면 드로니아에게 성적으로 덤벼들며 육식과 음주에도 꺼리낌이 없는, 파계승 같은 캐릭터. 드로니아에게 일편단심의 애정을 향하고 있다.
:{{배지|성우}} [[후쿠시마 준]]
== 줄거리 ==
:다른 미궁 탐색자인 은발의 청년. 드로니아 일행에게 미궁 탐색에서 손을 떼라며 경고한다. 본래의 종족은 조인. 루카를 좋아한다. 드로니아에 대해서는 애정과는 다른, 위태한 모습에 무언가를 느꼈는지 역정의 탐색에 종종 도움을 준다.
{{본문|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줄거리}}
 
{{스포일러}}
;페트로네 (ペトローネ)
스토리에서 큰 호평을 받는 게임인 만큼, 스포일러를 당하게 되면 게임의 즐거움을 잃어버린다. 플레이할 계획이 있다면 보지 않는 것을 권한다.
:{{배지|성우}} [[사사 켄타]]
== 게임 시스템 ==
:루프란 시의 영주 대행. 대상회 페트로네 상회의 회장이다. 드로니아에게 미궁 탐색을 의뢰한 장본인.
 
;마리에타 (マリエッタ)
:{{배지|성우}} [[쿠와하라 유키]]
:수도원의 수녀. 상처를 안대로 감추고 있다. 정갈해야 할 수녀임에도 불구하고 틈만 나면 드로니아에게 성적으로 덤벼들며 육식과 음주에도 꺼리낌이 없는, 파계승 같은 캐릭터. 드로니아에게 일편단심의 애정을 향하고 있다.
 
== 용어 ==
{{빈 문단}}
 
== 게임플레이 ==
=== 조작 ===
=== 조작 ===
플레이어는 1인칭 시점으로 3D 던전을 탐색하게 된다. 적 심볼이나 아이템과 마주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랜덤 인카운터의 2D 전투로 넘어가게 되며 후자의 경우 아이템을 습득할 수 있다.
플레이어는 1인칭 시점으로 3D 던전을 탐색하게 된다. 적 심볼이나 아이템과 마주할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랜덤 인카운터의 2D 전투로 넘어가게 되며 후자의 경우 아이템을 습득할 수 있다.
전투는 턴제로 진행되며 적이든 아군이든 한 턴에 한 번의 행동만 가능하다. 때문에 여러 차례 공격하거나 적 그룹, 혹은 전체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기술이 상당히 유용하다. 단 기습을 당할 경우, 기습을 당한 쪽이 경악하여 행동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전투는 턴제로 진행되며 적이든 아군이든 한 턴에 한 번의 행동만 가능하다. 때문에 여러 차례 공격하거나 적 그룹, 혹은 전체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기술이 상당히 유용하다. 단 기습을 당할 경우, 기습을 당한 쪽이 경악하여 행동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리인포스를 소비하여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리인포스를 소비하여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벽 부수기
*벽 부수기
95번째 줄: 68번째 줄:
*: 리인포스 10을 소모하여 적에게 들키지 않는 잠입 상태가 될 수 있다. 장막 같은 것이 덮이면서 적에게 잘 들키지 않게 되고, 바닥의 독 등 함정을 무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빠르게 탐색하고 싶을 때 유용한 기술. 적이야 은숟가락으로 아예 생성을 막아버릴 수 있지만, 독은 해독제로 일일이 없애기 귀찮기 때문에 사방이 독으로 가득한 곳이라면 이 기술을 사용하여 편히 지나갈 수 있다.
*: 리인포스 10을 소모하여 적에게 들키지 않는 잠입 상태가 될 수 있다. 장막 같은 것이 덮이면서 적에게 잘 들키지 않게 되고, 바닥의 독 등 함정을 무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빠르게 탐색하고 싶을 때 유용한 기술. 적이야 은숟가락으로 아예 생성을 막아버릴 수 있지만, 독은 해독제로 일일이 없애기 귀찮기 때문에 사방이 독으로 가득한 곳이라면 이 기술을 사용하여 편히 지나갈 수 있다.
=== 인형병 ===
=== 인형병 ===
*만들기
역정과 적이 조우했을 때 적에게 맞서 싸우는 인형 병사들. 상점에서 구입 가능한 '인형 소체'에, '영혼의 병' 아이템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역정과 적이 조우했을 때 적에게 맞서 싸우는 인형 병사들. 상점에서 구입 가능한 '인형 소체'에, '영혼의 병' 아이템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인형 제작 시 '인과'의 경우 최초 결정된 값을 절대 바꿀 수 없는데, 때문에 인과의 경우 짝수인 편이 좋다. 인형들을 배치하는 '결혼서' 아이템에서 짝수만 요구하는 것들이 있기 때문. 딱히 홀수 인과 수치를 요구하는 것은 없기 때문에 굳이 선택권을 제한할 필요가 없다. 나머지 항목들은 탄원, 이혼술, 서적을 통해 바꾸거나 언제든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것들이 섞여 있으므로 거기까지 주의할 사항은 아니다.
*제작 시 주의사항
*:인형 제작 시 '인과'의 경우 최초 결정된 값을 절대 바꿀 수 없는데, 진엔딩을 보면서 인형병 최종육성까지 고려한다면 인과수는 짝수로 하는 편이 좋다. EX 던전에서 획득 가능한 경험치용 결혼서는 막대한 경험치 배율을 갖고 있어서 노가다 시간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데, 이 결혼서에 배치하려면 인과 짝수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인과 홀수를 요구하는 결혼서가 둘 있는데, 제물의 결혼서와 마키나의 결혼서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결혼서 자체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고, 서포터 자리 하나의 요구 조건에 해당할 뿐이므로 큰 의미가 없다. 후자의 경우 어택커와 서포터 일부 자리가 인과 홀수를 요구하지만, 일부러 키워서 쓸 정도의 성능은 아니다.
*:중반부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매력만점의 결혼서, 후반부에 얻을 수 있는 마녀여단의 결혼서나 백장미의 결혼서 등 성능이 뛰어나고 조건도 따로 없는 공격용 결혼서들이 존재하는 만큼 일부러 해당 결혼서 하나를 위해 인과수 홀수의 인형병을 만드는 것은 낭비이다. 그 외의 나머지 항목들은 탄원, 이혼술, 서적을 통해 바꾸거나 언제든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것들이 섞여 있으므로 거기까지 주의할 사항은 아니다.
*이혼술
*이혼술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인형의 이혼술이 해금된다. 일종의 '전생'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인형의 영혼을 다른 인형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혼술에는 소정의 마나와 인형소체를 필요로 한다.
*:게임을 진행하다 보면 인형의 이혼술이 해금된다. 일종의 '전생'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인형의 영혼을 다른 인형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혼술에는 소정의 마나와 인형소체를 필요로 한다.
234번째 줄: 204번째 줄:


==== 인형병의 직업 ====
==== 인형병의 직업 ====
여덟 가지가 있으며, 두 개는 처음에 잠겨 있다가 스토리를 진행하며 해금된다. 알아서 해금되는 것은 아니고 마녀 탄원을 거쳐야 한다.
8가지가 있으며, 두 개는 처음에 잠겨 있다가 스토리를 진행하며 해금된다. 알아서 해금되는 것은 아니고 마녀 탄원을 거쳐야 한다.
 
*아스텔 나이트
===== 아스텔 나이트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284번째 줄: 254번째 줄:
이혼술 시에는 주로 '불굴의 의지'를 계승하기 위해 거치게 된다. 운명력이 행운일 때 방어율이 15% 증가하는 '철벽의 운세'도 피어 포트리스용으로 가져가는 편. 장비가 넉넉하지 않을 경우 '힘 자랑'으로 완력을 35% 올려줄 수도 있다.
이혼술 시에는 주로 '불굴의 의지'를 계승하기 위해 거치게 된다. 운명력이 행운일 때 방어율이 15% 증가하는 '철벽의 운세'도 피어 포트리스용으로 가져가는 편. 장비가 넉넉하지 않을 경우 '힘 자랑'으로 완력을 35% 올려줄 수도 있다.


공략 초창기에는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도 많이 선택되었으나, 좀 더 연구가 이루어지고 난 뒤에는 데몬 리퍼를 비롯한 민첩 딜러들을 더 선호한다. 게임 특성상 민첩이 중요한데, 아스텔 나이트는 민첩이 마지널 메이지나 고딕 코펠리아에 비하면 높지만 성장률이 우수한 민첩 딜러들에 비하면 아쉬운 수준이기 때문. 하지만 행동력 기술을 달아주는 것으로 어느 정도 커버가 되고, 완력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만큼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공략 초창기에는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도 많이 선택되었으나, 좀 더 연구가 이루어지고 난 뒤에는 데몬 리퍼를 비롯한 민첩 딜러들을 더 선호한다. 게임 특성상 민첩이 중요한데, 아스텔 나이트는 민첩이 마지널 메이지나 고딕 코펠리아에 비하면 높지만 성장률이 우수한 민첩 딜러들에 비하면 아쉬운 수준이기 때문. 하지만 행동력 기술을 달아주는 것으로 어느정도 커버가 되고, 완력에 있어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만큼 충분히 사용 가능하다.
 
*시노부시
===== 시노부시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335번째 줄: 305번째 줄:


민첩 스탯이 출중해서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도 나쁘지 않으나, 이도일류를 제외한 나머지 기술들이 썩 좋지 않아서 기술 슬롯을 낭비하게 되는 것이 아쉬운 점. 본작에서는 방어도 무시 기술들이 큰 효용성이 없기 때문에 데몬 리퍼나 매드 랩터에 비하면 기술 구성에서 매력적이지 못하다.
민첩 스탯이 출중해서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도 나쁘지 않으나, 이도일류를 제외한 나머지 기술들이 썩 좋지 않아서 기술 슬롯을 낭비하게 되는 것이 아쉬운 점. 본작에서는 방어도 무시 기술들이 큰 효용성이 없기 때문에 데몬 리퍼나 매드 랩터에 비하면 기술 구성에서 매력적이지 못하다.
 
*시어트리컬 스타
===== 시어트리컬 스타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385번째 줄: 355번째 줄:


또한 준수한 도남력과 최대 DP의 이점을 살려서, 마법 계통의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 쓸 수 있다. 마지널 메이지가 이중부각 기준 민첩성이 F로 전 직업 최하 수준을 자랑하기 때문에, 기술만 계승한 뒤 시어트리컬 스타로 전생시키는 편이 훨씬 쓰기 편하기 때문이다. 데몬 리퍼의 '신속', 매드랩터의 '속공술' '백화의 저격수' '스피드 자랑'을 갖추어주면 더욱 좋다. 어차피 도남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양손인 촛대보다 한손 백화궁 두개를 차는 것이 더 좋기 때문에, '백화의 저격수'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준수한 도남력과 최대 DP의 이점을 살려서, 마법 계통의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 쓸 수 있다. 마지널 메이지가 이중부각 기준 민첩성이 F로 전 직업 최하 수준을 자랑하기 때문에, 기술만 계승한 뒤 시어트리컬 스타로 전생시키는 편이 훨씬 쓰기 편하기 때문이다. 데몬 리퍼의 '신속', 매드랩터의 '속공술' '백화의 저격수' '스피드 자랑'을 갖추어주면 더욱 좋다. 어차피 도남력을 올리기 위해서는 양손인 촛대보다 한손 백화궁 두개를 차는 것이 더 좋기 때문에, '백화의 저격수'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널 메이즈
===== 마지널 메이즈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435번째 줄: 405번째 줄:


기본 무기인 촛대만 해도 도남으론 쌍 백화궁에 밀리고 공격력으론 타 무기들에 밀리는 안습한 처지인데 이 직업도 마찬가지로 도남으론 시어트리컬 스타나 매드 랩터에 밀리고, 물리 딜러로는 타 직업에 밀리는 만큼 그 직업에 그 무기란 말이 나오게 만든다.
기본 무기인 촛대만 해도 도남으론 쌍 백화궁에 밀리고 공격력으론 타 무기들에 밀리는 안습한 처지인데 이 직업도 마찬가지로 도남으론 시어트리컬 스타나 매드 랩터에 밀리고, 물리 딜러로는 타 직업에 밀리는 만큼 그 직업에 그 무기란 말이 나오게 만든다.
 
*피어 포트리스
===== 피어 포트리스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487번째 줄: 457번째 줄:


인형병들 순도가 높아지고, 장비가 크게 향상되면서 보정되는 회피율도 상당히 오르는 후반 및 EX 던전에서는 쓰기 애매한 직업. 차라리 평타 딜러진으로만 여단을 채우는 편이 더 편하고 강하다. 그러나 이혼술 노가다를 과하게 하지 않고, 적당한 선에서 엔딩을 보고 싶다면, 여전히 유용한 직업이다.
인형병들 순도가 높아지고, 장비가 크게 향상되면서 보정되는 회피율도 상당히 오르는 후반 및 EX 던전에서는 쓰기 애매한 직업. 차라리 평타 딜러진으로만 여단을 채우는 편이 더 편하고 강하다. 그러나 이혼술 노가다를 과하게 하지 않고, 적당한 선에서 엔딩을 보고 싶다면, 여전히 유용한 직업이다.
 
*매드랩터
===== 매드랩터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531번째 줄: 501번째 줄:
|SS
|SS
|}
|}
게임을 처음 하는 플레이어라면 처음에는 기피할 직업. 도남력이 높으나 최대 DP가 낮아서 마법 파티에 넣기도 아깝고, HP와 완력이 낮은데 기본 무기도 관통속성의 백화궁이다. 같은 관통 속성의 고탑창을 쓰는데다 HP와 공격력도 높은 아스텔 나이트를 두고 이 직업을 쓸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끔 백화궁의 화살비가 터지면서 10연타 공격이 들어가면 기분이 좋아지는 정도.
게임을 처음 하는 유저라면 처음에는 기피할 직업. 도남력이 높으나 최대 DP가 낮아서 마법 파티에 넣기도 아깝고, HP와 완력이 낮은데 기본 무기도 관통속성의 백화궁이다. 같은 관통 속성의 고탑창을 쓰는데다 HP와 공격력도 높은 아스텔 나이트를 두고 이 직업을 쓸 매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가끔 백화궁의 화살비가 터지면서 10연타 공격이 들어가면 기분이 좋아지는 정도.
 
기본 무기는 백화궁. 초기에는 달의 아이 속성을 주고 후열 평타 딜러로 쓰이거나, 도남 파티의 행동속도 업을 위해 하나정도 들어가게 된다.
기본 무기는 백화궁. 초기에는 달의 아이 속성을 주고 후열 평타 딜러로 쓰이거나, 도남 파티의 행동속도 업을 위해 하나정도 들어가게 된다.


538번째 줄: 507번째 줄:


후반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는 데몬리퍼와 더불어 투톱이다. 기본적으로 민첩, 기예가 높은데다 행동력 기술들 덕에 속도도 빠르고, 도남력과 매력도 출중하다. 약점인 최대 DP는 아이템을 통해 쉽게 올릴 수 있어서 마법 파티에 들어가도 되고, 특정 무기 숙련도 기술을 가져가서 평타 딜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완력이 우수한 데몬 리퍼에는 다소 밀리는 편.
후반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는 데몬리퍼와 더불어 투톱이다. 기본적으로 민첩, 기예가 높은데다 행동력 기술들 덕에 속도도 빠르고, 도남력과 매력도 출중하다. 약점인 최대 DP는 아이템을 통해 쉽게 올릴 수 있어서 마법 파티에 들어가도 되고, 특정 무기 숙련도 기술을 가져가서 평타 딜러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단 완력이 우수한 데몬 리퍼에는 다소 밀리는 편.
 
*고딕 코펠리아
===== 고딕 코펠리아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585번째 줄: 554번째 줄:


성별이 없다. 그래서 성별을 요구하는 결혼서에는 배치할 수 없다. 반면 중성만 배치 가능한 결혼서도 있다.
성별이 없다. 그래서 성별을 요구하는 결혼서에는 배치할 수 없다. 반면 중성만 배치 가능한 결혼서도 있다.
초기에는 달의 아이 속성을 달아주고 둔추를 들려서 강력한 일격 및 흑절참을 통해 '한 방'을 노린다. 자체 완력도 높고 기술셋도 공격형인 만큼 이혼술이 풀리게 되기 전까지는 파티 내에서 독보적인 평타 딜을 자랑한다. 특히 고어 크리티컬이 터졌을 때의 딜은 해당 진행 시기로서는 경악스런 수치. 타 인형병의 몇 배에 달하는 딜이 한번에 들어간다. 기절 수치도 높아서 위협적인 적을 기절시켜 주기도 한다. 그러나 마지널 메이지와 마찬가지로 괴멸적인 민첩 수치가 발목을 잡는다.
초기에는 달의 아이 속성을 달아주고 둔추를 들려서 강력한 일격 및 흑절참을 통해 '한 방'을 노린다. 자체 완력도 높고 기술셋도 공격형인 만큼 이혼술이 풀리게 되기 전까지는 파티 내에서 독보적인 평타 딜을 자랑한다. 특히 고어 크리티컬이 터졌을 때의 딜은 해당 진행 시기로서는 경악스런 수치. 타 인형병의 몇 배에 달하는 딜이 한번에 들어간다. 기절 수치도 높아서 위협적인 적을 기절시켜 주기도 한다. 그러나 마지널 메이지와 마찬가지로 괴멸적인 민첩 수치가 발목을 잡는다.


591번째 줄: 559번째 줄: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 쓰기에는 마지널 메이지와 마찬가지로 낮은 민첩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아무리 행동 기술들을 덕지덕지 붙여주어도 민첩계통 딜러들에 비해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 그러나 기술 구성은 나쁘지 않은 편으로 은화를 퍼부어서 민첩을 올려주는 식으로 어떻게든 쓸 수는 있다.
이혼술 최종 직업으로 쓰기에는 마지널 메이지와 마찬가지로 낮은 민첩으로 인해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아무리 행동 기술들을 덕지덕지 붙여주어도 민첩계통 딜러들에 비해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 그러나 기술 구성은 나쁘지 않은 편으로 은화를 퍼부어서 민첩을 올려주는 식으로 어떻게든 쓸 수는 있다.
 
*데몬 리퍼
===== 데몬 리퍼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 colspan="8" style="background-color:#dae8fc; color:#333333;"|무기 숙련도
639번째 줄: 607번째 줄:
민첩이 전 직업 중 가장 높고, 완력과 매력도 출중한 편. HP와 체력이 낮은 것이 단점이지만 회피력이 뛰어난 덕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자체 회피 기술인 '간파'와, 매드랩터의 '스피드 자랑', 시어트리컬 스타의 '간파의 운세'를 모두 확보하게 되면 회피가 기본인 것마냥 도통 맞지를 않는다.
민첩이 전 직업 중 가장 높고, 완력과 매력도 출중한 편. HP와 체력이 낮은 것이 단점이지만 회피력이 뛰어난 덕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자체 회피 기술인 '간파'와, 매드랩터의 '스피드 자랑', 시어트리컬 스타의 '간파의 운세'를 모두 확보하게 되면 회피가 기본인 것마냥 도통 맞지를 않는다.


기본무기는 성람검. 무려 그룹 공격이 가능한 참격 속성의 무기인데다 고유기술 '성람무답'이 발동시 4회 공격이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시작하자마자 다 쓸어버릴 수 있다. 해당 기술의 발동률은 12%로 그리 낮지 않기 때문에, 한 부대의 데몬 리퍼만 있어도 전투 3회중 한 번 꼴로 볼 수 있어 체감이 잘 되는 편이다.
기본무기는 성람검. 무려 그룹 공격이 가능한 참격 속성의 무기인데다 고유기술 '성람무답'이 발동시 4회 공격이기 때문에, 운이 좋다면 시작하자마자 다 쓸어버릴 수 있다. 해당 기술의 발동률은 12%로 그리 낮지 않기 때문에, 한 부대의 데몬 리퍼만 있어도 전투 3회중 한번 꼴로 볼 수 있어 체감이 잘 되는 편이다.


특이한 고유 기술로 '워커맨'이 있다. 본작에서 고어 크리티컬을 당할 경우 신체 부위가 하나씩 파손되는데, 이 기술은 파손 부위마다 공격력을 100%씩 올려준다. 가령 왼손과 몸통이 파손되었다면 총 200%의 공격력을 추가로 얻는 셈. 덕분에 최종 보스용 인형병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특이한 고유 기술로 '워커맨'이 있다. 본작에서 고어 크리티컬을 당할 경우 신체 부위가 하나씩 파손되는데, 이 기술은 파손 부위마다 공격력을 100%씩 올려준다. 가령 왼손과 몸통이 파손되었다면 총 200%의 공격력을 추가로 얻는 셈. 덕분에 최종 보스용 인형병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650번째 줄: 618번째 줄:
* 방어구
* 방어구
*: 머리, 몸통, 발, 장신구의 4종으로 나뉜다.
*: 머리, 몸통, 발, 장신구의 4종으로 나뉜다.
==== 무기의 종류 ====
==== 무기의 종류 ====
* 도검
* 도검
736번째 줄: 703번째 줄:
*: 황혼의 테네스 동부: 13,26 근방 지역에서 양담부인이 리젠된다. 링가메탈리카의 7,800에 비하면 조금 낮은 경험치를 주지만 매우 잡기 쉽고, 등장율도 높아서 훨씬 수월한 노가다가 가능하다. 벽에 부딪치면서 적을 리젠시키고 리인포스 스킬 '불꽃의 휘파람'을 사용하는 식으로 적을 끌어모으면 된다.
*: 황혼의 테네스 동부: 13,26 근방 지역에서 양담부인이 리젠된다. 링가메탈리카의 7,800에 비하면 조금 낮은 경험치를 주지만 매우 잡기 쉽고, 등장율도 높아서 훨씬 수월한 노가다가 가능하다. 벽에 부딪치면서 적을 리젠시키고 리인포스 스킬 '불꽃의 휘파람'을 사용하는 식으로 적을 끌어모으면 된다.
*: EX던전의 아즈-메룸, 아즈-움브라에서 골드 비텀을 잡을 수 있는데 마리당 38,000이라는 엄청난 경험치를 자랑한다. 단 EX던전에 진입해야 하는 만큼 극후반부에나 가능하다. 사실 여기까지 오면 노가다를 할 필요도 없는 수준이다.
*: EX던전의 아즈-메룸, 아즈-움브라에서 골드 비텀을 잡을 수 있는데 마리당 38,000이라는 엄청난 경험치를 자랑한다. 단 EX던전에 진입해야 하는 만큼 극후반부에나 가능하다. 사실 여기까지 오면 노가다를 할 필요도 없는 수준이다.
== 평가 ==
발매 전까지만 해도 대단한 화제는 아니었으나, 발매 이후 순식간에 각지에서 품절되었으며 개발사에서 품절 사태에 대해 사과까지 할 정도로 호조인 판매량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는 2016년의 플레이스테이션 비타 소프트 명작이자 당해 최고의 게임으로도 손꼽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평가가 좋다. 스팀판에서도 Very Positive 리뷰가 다수를 차지하며 가격에 대한 불만 말고는 대체적으로 좋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아기자기한 일러스트와 대비되는, 줄거리와 시스템 전반에서 풍기는 암울한 분위기가 주요 매력으로 거론된다. 그러한 분위기는 거칠고 불편하며 때로는 성적인 장면들을 보여주면서 유저가 추측하게 만드는 스토리텔링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 관련 사이트 ==
* {{언어링크|ja}}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포털 사이트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 {{언어링크|ja}}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psVita/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 {{언어링크|ja}}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ps4/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PS4판)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 {{언어링크|ja}} [https://nippon1.jp/consumer/refrain/switch/ 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Nintendo Switch™판) | 니폰이치 소프트웨어]
* {{스팀|566540|루프란의 지하미궁과 마녀의 여단 - 스팀}}
{{각주}}
{{각주}}
[[분류:플레이스테이션 비타 게임]]
[[분류:롤플레잉 게임]]
[[분류: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분류:플레이스테이션 4 게임]]
[[분류:닌텐도 스위치 게임]]
[[분류:닌텐도 스위치 게임]]
[[분류:2016년 비디오 게임]]
[[분류:롤플레잉 게임]]
[[분류:판타지 게임]]
[[분류:니폰이치 소프트웨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