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 지하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big>London Underground</big><br />런던 지하철 (런던 언더그라운드)<br />'''세계 최초의 지하철'''
{{+1|London Underground}}<br />런던 지하철 (런던 언더그라운드)<br />'''세계 최초의 지하철'''


== 개요 ==
== 개요 ==
[[영국]]의 수도 [[런던]], 정확히는 런던 광역권인 그레이터 런던과 몇몇 주변 주 경계를 넘어 운행되는 [[지하철]] 체계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이다. 첫 영업이 [[1863년]] 1월 10일로, [[조선]] [[철종]] 말기 개통.
[[영국]]의 수도 [[런던]], 정확히는 런던 광역권인 그레이터 런던과 몇몇 주변 주 경계를 넘어 운행되는 [[지하철]] 체계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지하철]]이다. 첫 영업이 [[1863년]] 1월 10일로, [[조선]] [[철종]] 말기 개통.


지하철을 의미하는 단어가 몇 가지 있는데, 미국의 경우 Subway를 선호하고, [[파리 메트로]] 및 프랑스어의 영향으로 Metro라는 표기도 많이 보급되었지만, 런던 지하철만큼은 원형 단어인 Underground를 사용한다. 일상 생활에서도 언더그라운드라는 명칭은 많이 쓰이지만, 보다 간편하게는 튜브(Tube)라고 부르는 편.
지하철을 의미하는 단어가 몇 가지 있는데, 미국의 경우 Subway를 선호하고, [[파리 메트로]] 및 프랑스어의 영향으로 Metro라는 표기도 많이 보급되었지만, 런던 지하철만큼은 원형 단어인 Underground를 사용한다. 일상 생활에서도 언더그라운드라는 명칭은 많이 쓰이지만, 보다 간편하게는 튜브(Tube(라고 부르는 편.


== 역사 ==
== 역사 ==
11번째 줄: 11번째 줄:


== 시설 ==
== 시설 ==
런던 지하철은 약 402 km의 노선망에 270개역을 가지고 있는 체계다. 기점 거리는 과거 영국국철 소속이었던 워털루 & 시티 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현재는 폐선된 [[런던 지하철 센트럴선|센트럴선]] [[옹가역]](Ongar)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ref>다만 리브레 위키의 각 노선 문서에서는 편의상 워털루 & 시티 선과 같이 노선별 기점을 사용한다.</ref>. 독특하게도, 영국의 다른 철도 노선들이 전통적인 [[마일]]-체인 방식을 사용할 때, 런던 지하철은 km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속도 등 다른 요소에서는 마일 단위를 쓴다.
런던 지하철은 약 402 km의 노선망에 270개역을 가지고 있는 체계다. 기점 거리는 과거 영국국철 소속이었던 워털루 & 시티 선을 제외하고는 모두 현재는 폐선된 [[런던 지하철 센트럴 선|센트럴 선]] [[옹가 역]](Ongar)을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ref>다만 리브레 위키의 각 노선 문서에서는 편의상 워털루 & 시티 선과 같이 노선별 기점을 사용한다.</ref>. 독특하게도, 영국의 다른 철도 노선들이 전통적인 [[마일]]-체인 방식을 사용할 때, 런던 지하철은 km 단위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속도 등 다른 요소에서는 마일 단위를 쓴다.


런던 지하철의 터널은 크게 두 형식으로 나뉜다.
런던 지하철의 터널은 크게 두 형식으로 나뉜다.
; 저심도 (Subsurface)
; 저심도 (Subsurface)
: [[메트로폴리탄선|메트로폴리탄 철도]]와 [[디스트릭트선|디스트릭트 철도]]이 전신이 되는 구간으로, 해당되는 노선 및 계통으로는 메트로폴리탄 선, 디스트릭트 선 이외에 이들을 활용한 [[런던 지하철 순환선|순환선]] 및 [[해머스미스앤시티선|해머스미스 & 시티선]]이 있다. 개착식 공법에 의한 구간으로, 땅을 파내고 철도를 깐 뒤 다시 덮은 구간이다. [[런던 지하철/역사|런던 지하철의 역사]]에서도 다루겠지만, 열린 구간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규격 자체는 영국 철도 본선 규격보다 조금 더 큰 정도.
: [[메트로폴리탄 선|메트로폴리탄 철도]]와 [[디스트릭트 선|디스트릭트 철도]]이 전신이 되는 구간으로, 해당되는 노선 및 계통으로는 메트로폴리탄 선, 디스트릭트 선 이외에 이들을 활용한 [[런던 지하철 순환선|순환선]] 및 [[해머스미스앤시티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이 있다. 개착식 공법에 의한 구간으로, 땅을 파내고 철도를 깐 뒤 다시 덮은 구간이다. [[런던 지하철/역사|런던 지하철의 역사]]에서도 다루겠지만, 열린 구간이 상당히 많은 편이며, 규격 자체는 영국 철도 본선 규격보다 조금 더 큰 정도.
; 고심도 (Tube)
; 고심도 (Tube)
: 이 외의 노선들이 해당된다. 고심도에 쉴드 터널 기법을 사용해 만든 노선들로, 런던 지하철의 역사에서도 다루겠지만 명칭은 [[런던 지하철 센트럴선|센트럴 런던 철도]]에 붙여졌던 별명이 그 시작이다. 규격이 각 노선별로 미묘하게 다르지만 가장 작은 규격인 센트럴 선과 확장을 했어도 뒤에서 두 번째인 노던 선의 경우 심각하게 소형 규격(한국 경전철보다 좁음)이다 보니 좀 문제가 많은 편. 빅토리아 선 같은 경우는 이런 문제 때문에 조금 규격을 넓혀 사용 중이다. 차량 한계는 바닥 면적 뿐만 아니라 천장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출입문을 둥글게 설계할 수밖에 없었고, 지상 구간에서 비라도 온다면 문 앞에 서있는 사람들은 홀딱 맞을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다.
: 이 외의 노선들이 해당된다. 고심도에 쉴드 터널 기법을 사용해 만든 노선들로, 런던 지하철의 역사에서도 다루겠지만 명칭은 [[런던 지하철 센트럴 선|센트럴 런던 철도]]에 붙여졌던 별명이 그 시작이다. 규격이 각 노선별로 미묘하게 다르지만 가장 작은 규격인 센트럴 선과 확장을 했어도 뒤에서 두 번째인 노던 선의 경우 심각하게 소형 규격(한국 경전철보다 좁음)이다 보니 좀 문제가 많은 편. 빅토리아 선 같은 경우는 이런 문제 때문에 조금 규격을 넓혀 사용 중이다. 차량 한계는 바닥 면적 뿐만 아니라 천장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출입문을 둥글게 설계할 수 밖에 없었고, 지상 구간에서 비라도 온다면 문 앞에 서있는 사람들은 홀딱 맞을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기는 한다.


물론, 지하 구간이 대부분일 것 같지만 정작 런던 지하철에서 고심도 지하 구간은 약 150 km, 저심도 지하 구간은 약 25 km 정도 남짓으로, 절반 이상의 구간이 지상 구간이다. 대부분의 구간은 좌측 통행을 쓰지만, 기지선이나 편한 환승, 또는 역사적 이유로 우측 통행 구간이 일부 남아있어 [[꽈배기굴]] 등의 전환선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물론, 지하 구간이 대부분일 것 같지만 정작 런던 지하철에서 고심도 지하 구간은 약 150 km, 저심도 지하 구간은 약 25 km 정도 남짓으로, 절반 이상의 구간이 지상 구간이다. 대부분의 구간은 좌측 통행을 쓰지만, 기지선이나 편한 환승, 또는 역사적 이유로 우측 통행 구간이 일부 남아있어 [[꽈배기굴]] 등의 전환선이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33번째 줄: 33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MT}}; color: white;" | 자주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MT}}; color: white;" | 자주색
| [[메트로폴리탄선]]
| [[메트로폴리탄 선]]
| Metropolitan
| Metropolitan
| 저심도
| 저심도
40번째 줄: 40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DS}}; color: white;" | 녹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DS}}; color: white;" | 녹색
| [[디스트릭트선]]
| [[디스트릭트 선]]
| District
| District
| 저심도
| 저심도
47번째 줄: 47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C}}; color: black;" | 노란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C}}; color: black;" | 노란색
| [[런던 지하철 순환선|순환선]] (서클선)
| [[런던 지하철 순환선|순환선]] (서클 선)
| Circle
| Circle
| 저심도
| 저심도
| 20.8<br />''27.1''<ref name="circle">2009년부터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을 직결하는 열차가 생기면서 <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moz-transform: scale(-1, 1); -webkit-transform: scale(-1, 1); -o-transform: scale(-1, 1); -ms-transform: scale(-1, 1); transform: scale(-1, 1);">の</span>자형 운행을 시작했고, 그 기준으로의 거리와 역 수.</ref>
| 20.8<br />''27.1''<ref name="circle">2009년부터 해머스미스 & 시티 선을 직결하는 열차가 생기면서 の자형 운행을 시작했고, 그 기준으로의 거리와 역 수.</ref>
| 27<br />''36''<ref name="circle" />
| 27<br />''36''<ref name="circle" />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HC}}; color: black;" | 분홍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HC}}; color: black;" | 분홍색
| [[해머스미스앤시티선|해머스미스 & 시티선]]
| [[해머스미스앤시티 선|해머스미스 & 시티 선]]
| Hammersmith & City
| Hammersmith & City
| 저심도
| 저심도
61번째 줄: 61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NT}}; color: white;" | 검은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NT}}; color: white;" | 검은색
| [[런던 지하철 노던선|노던선]]
| [[런던 지하철 노던 선|노던 선]]
| Nothern
| Nothern
| 고심도
| 고심도
68번째 줄: 68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WC}}; color: black;" | 청록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WC}}; color: black;" | 청록색
| [[워털루앤시티선|워털루 & 시티선]]
| [[워털루앤시티 선|워털루 & 시티 선]]
| Waterloo & City
| Waterloo & City
| 고심도
| 고심도
75번째 줄: 75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N}}; color: white;" | 빨간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N}}; color: white;" | 빨간색
| [[런던 지하철 센트럴선|센트럴선]]
| [[런던 지하철 센트럴 선|센트럴 선]]
| Central
| Central
| 고심도
| 고심도
82번째 줄: 82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BK}}; color: white;" | 갈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BK}}; color: white;" | 갈색
| [[베이컬루선]]
| [[베이컬루 선]]
| Bakerloo
| Bakerloo
| 고심도
| 고심도
88번째 줄: 88번째 줄:
| 25
| 25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PC}}; color: white;" | 파란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PK}}; color: white;" | 남색
| [[피카딜리선]]
| [[피카딜리 선]]
| Piccadilly
| Piccadilly
| 고심도
| 고심도
96번째 줄: 96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VC}}; color: white;" | 하늘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VC}}; color: white;" | 하늘색
| [[빅토리아선]]
| [[빅토리아 선]]
| Victoria
| Victoria
| 고심도
| 고심도
103번째 줄: 103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JB}}; color: white;" | 회색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JB}}; color: white;" | 회색
| [[주빌리선]]
| [[주빌리 선]]
| Jubilee
| Jubilee
| 고심도
| 고심도
111번째 줄: 111번째 줄:
|}
|}


원래 런던 지하철의 일부였던 [[동부 런던선]] (이스트 런던선)은 규격 자체도 저심도 규격이라 본선 활용이 가능했고, 런던 도심을 지나지 않아 런던 지하철 노선에서 제외되었으며(당시 노선색 주황색) 공사를 거쳐 현재는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색상이 당시 동부 런던 선이 쓰던 색상에 가깝다.
원래 런던 지하철의 일부였던 [[동부 런던 선]] (이스트 런던 선)은 규격 자체도 저심도 규격이라 본선 활용이 가능했고, 런던 도심을 지나지 않아 런던 지하철 노선에서 제외되었으며(당시 노선색 주황색) 공사를 거쳐 현재는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런던 오버그라운드의 색상이 당시 동부 런던 선이 쓰던 색상에 가깝다.


반면 워털루 & 시티 선은 1994년 런던 지하철로 편입된 노선이다. 사실 규격 자체는 튜브 규격이 맞음에도 불구하고, 한때 영국국철이 튜브 차량을 가지고 영국국철 동남지역선(Regional SouthEast) 도색이 된 차량이 들어갔었으나, 워낙 본선과 시설 규격도 안 맞는데다가, 직결 영업도 [[런던 북부도심선]]과 같은 형태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형태였다보니 결국 영국국철 민영화가 추진되며 해당 구간을 지하철로 넘겨 현재는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 다만 주말 영업은 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반면 워털루 & 시티 선은 1994년 런던 지하철로 편입된 노선이다. 사실 규격 자체는 튜브 규격이 맞음에도 불구하고, 한때 영국국철이 튜브 차량을 가지고 영국국철 동남지역선(Regional SouthEast) 도색이 된 차량이 들어갔었으나, 워낙 본선과 시설 규격도 안 맞는데다가, 직결 영업도 [[런던 북부도심선]]과 같은 형태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형태였다보니 결국 영국국철 민영화가 추진되며 해당 구간을 지하철로 넘겨 현재는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 다만 주말 영업은 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안내 체계 ===
런던 교통국의 색상 체계에 의한 런던 지하철의 노선색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해머스미스 & 시티 선 등은 런던 교통국의 지하철 색상 체계로는 존재하지만, 별도로 런던 교통국의 범용 색상 체계에는 들어있지 않아 몇 가지 요소가 빠져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line-height: 140%;"
|-
! rowspan="2" | 노선명
! rowspan="2" | 색상
! colspan="2" | 인쇄물
! 페인트
! colspan="2" | 발광체
|-
! [[팬톤]]
! CMYK
! NCS
! RGB
! 웹 안전
|-
| [[메트로폴리탄선|메트로폴리탄]]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MT}}; color: white;" | 자주색 <small>Magenta</small>
| PMS 235
| 6/100/0/43
| S 4050-R30B
| {{TfL 노선색|MT}}
| #990033
|-
| [[디스트릭트선|디스트릭트]]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DS}}; color: white;" | 녹색 <small>Green</small>
| PMS 356
| 100/0/91/27
| S 3065-G10Y
| {{TfL 노선색|DS}}
| #006633
|-
| [[런던 지하철 순환선|순환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C}}; color: black;" | 노란색 <small>Yellow</small>
| PMS 116
| 0/15/94/0
| S 0850-Y10R
| {{TfL 노선색|CC}}
| #ffcc00
|-
| [[해머스미스앤시티선|해머스미스 & 시티]]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HC}}; color: black;" | 분홍색 <small>-</small>
| PMS 197
| 2/50/17/0
| S 0550-R10B
| {{TfL 노선색|HC}}
| -
|-
| [[런던 지하철 노던선|노던]]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NT}}; color: white;" | 검은색 <small>Black</small>
| PMS Black
| 0/0/0/100
| S 9000-N
| {{TfL 노선색|NT}}
| #000000
|-
| [[워털루앤시티선|워털루 & 시티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WC}}; color: black;" | 청록색 <small>-</small>
| PMS 338
| 57/0/40/0
| S 1565-B
| {{TfL 노선색|WC}}
| -
|-
| [[런던 지하철 센트럴선|센트럴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CN}}; color: white;" | 빨간색 <small>Red</small>
| PMS 485
| 100/0/91/0
| S 1085-Y80R
| {{TfL 노선색|CN}}
| #cc0033
|-
| [[베이컬루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BK}}; color: white;" | 갈색 <small>Brown</small>
| PMS 470
| 56/0/94/34
| S 4050-Y50R
| {{TfL 노선색|BK}}
| #996633
|-
| [[피카딜리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PC}}; color: white;" | 파란색 <small>Blue</small>
| PMS 072
| 79/100/0/0
| S 3560-R80B
| {{TfL 노선색|PC}}
| #003399
|-
| [[빅토리아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VC}}; color: white;" | 연한 파란색 <small>Light blue</small>
| PMS 299
| 87/18/0/0
| S 2060-B
| {{TfL 노선색|VC}}
| #3399cc
|-
| [[주빌리선]]
| style="background: {{TfL 노선색|JB}}; color: white;" | 회색 <small>Grey</small>
| PMS 430
| 0/0/0/50
| S 4005-R80B
| {{TfL 노선색|JB}}
| #666666
|-
|}


== 영업 ==
== 영업 ==
2015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408만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다<ref>[https://tfl.gov.uk/cdn/static/cms/documents/multi-year-station-entry-exit-figures.xls 런던 교통국의 승하차 인원 통계]</ref>. 시설 보수를 위해 24시간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시설이 낡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대대적 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노선을 폐쇄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워털루 & 시티 선은 주말 영업이 없다.
시설 보수를 위해 24시간 운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시설이 낡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대대적 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노선을 폐쇄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또, 워털루 & 시티 선은 주말 영업이 없다.


운임은 런던 교통국이 정한 구역제 운임을 사용하며, 흔히 [[트래블카드]] 존이라는 명칭을 쓴다.
운임은 런던 교통국이 정한 구역제 운임을 사용하며, 흔히 [[트래블카드]] 존이라는 명칭을 쓴다.
234번째 줄: 127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영국의 철도]]
[[분류:영국의 철도]]
[[분류:유럽의 도시철도]]
[[분류:도시철도]]
[[분류:런던 지하철| ]]
[[분류:런던 지하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