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0번째 줄: 30번째 줄:


=== 육수(스프)에 따른 구분 ===
=== 육수(스프)에 따른 구분 ===
* '''규코츠 (牛骨)'''
* 규코츠 (牛骨)
*: 소뼈 육수. 라멘의 기원인 츄카소바는 본래 맑게 우려낸 소고기/소뼈국물로 만든다. (중국식 라미엔도 소고기가 기본인 것을 볼 때, 나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아무래도 가격 문제 때문인지 비주류 취급이지만, 노포 혹은 노포의 맛을 추구하는 업장에서는 여전히 애용하는 육수이다. 또한 극히 일부 토착라멘이 기본형으로서 규코츠를 쓰고 있다.
*: 소뼈 육수. 라멘의 기원인 츄카소바는 본래 맑게 우려낸 소고기/소뼈국물로 만든다. (중국식 라미엔도 소고기가 기본인 것을 볼 때, 나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아무래도 가격문제 때문에 보기 드물게 되어버렸지만, 노포나 노포의 맛을 추구하는 곳에서는 여전히 애용하는 육수이다. 일부 토착라멘은 기본으로서 규코츠를 쓴다.
* '''돈코츠 (豚骨)'''
* 돈코츠 (豚骨)
*: 돼지뼈 육수. 대체로 남쪽 지방, 특히 큐슈 지역(하카타, 나가하마, 쿠루메, 구마모토)에서 애용한다. 혼슈 내에서도 돈코츠(돼지뼈)를 쓰는 곳이 적지는 않은데, 일부 예외가 있기는 하나, 대체로 북쪽으로 갈수록 맑게 우려내는 특징이 있다. 돈코츠가 디폴트 형태인 큐슈에서는 돼지머리나 돼지족, 등뼈 같은 부속물도 즐겨 쓰기에 밀양식 [[돼지국밥]]처럼 흰 빛깔인 국물에서 뭔가 묘한 끈적임이 남는 듯한 느낌이 난다. 한국은 몰론이고, 일본 바깥의 '일본식 라멘집' 대다수가 돈코츠 육수를 먼저 도입한 경우가 많은데, 정작 일본 현지에서는 닭뼈에 밀려 콩라인이다.
*: 돼지뼈 육수를 가리키며 주로 하카타, 나가하마, 쿠루메, 구마모토 등의 규슈 라멘 및 요코하마 라멘이 이 육수를 사용한다. 돼지머리나 돼지족, 등뼈 같은 부속물을 즐겨 쓰기에 국물에서 뭔가 묘한 끈적임이 남는듯한 느낌이 특징이다.
** '''콧테리 (コッテリ)'''
** 콧테리 (コッテリ)
**: 돈코츠의 하위 분류. 국물이 찐득해질 정도로 오래 고은 진한 육수를 말한다. 이미지와는 달리, '''[[교토]]'''가 발상지로 알려져있다. 대개 돈코츠 육수는 매일 새로 만들기보다는 족발육수마냥 베이스가 되는 냄비만 바꿔가며 (혹은 다 우려낸 재료만 건져내가며) 지속적으로 끓여내는 쪽이 많은데<ref>일본어로 요비모도시(呼び戻し)라고 한다. 불러서 되돌아온다는 뜻.</ref>, 콧테리는 그 과정에서 모체가 되는 육수, 물로 풀기 전의 것을 말한다. 반댓말은 앗사리(あっさり).
**: 주로 돈코츠의 하위계열로, 국물이 찐득해질 정도로 오래 고은 진한 육수를 말한다. 대개 돈코츠 육수는 매일 새로 만들기보다는 족발육수마냥 베이스가 되는 냄비만 바꿔가며 (혹은 다 우려낸 재료만 건져내가며) 지속적으로 끓여내는 쪽이 많은데<ref>일본어로 요비모도시(呼び戻し)라고 한다. 불러서 되돌아온다는 뜻.</ref>, 콧테리는 그 과정에서 모체가 되는 육수, 물로 풀기 전의 것을 말한다. 반댓말은 앗사리(あっさり).
* '''토리가라 (鶏ガラ)'''
* 토리 ()
*: 닭뼈 육수.<ref>'토리가라'는 직역하면 '닭서더리'라는 뜻이다.</ref> 큐슈를 제외한 나머지 일본 대부분 지역<ref>요코하마, 교토, 키타가타 같은 예외도 있긴 하다.</ref>에서 즐겨 사용하는 육수 타입이며, 특히 도쿄를 포함한 관동지방은 토리가라가 기본형이다. 보통은 뼈만을 가볍게 우려낸 맑은 육수로 쓰지만, 닭껍질 등을 같이 넣어서 노란 기름이 떠다니는 유백색 국물로 만들기도 한다. 가정에서 만들어 먹을 때에도 대체로 토리가라 타입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중국스타일 닭육수가루<ref>=중식 치킨스톡. 일본에서 유명한 상품으로는 웨이파(ウェイパー/味覇)와 소미샹탕(創味シャンタン)이 있다.</ref>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 닭뼈 육수를 가리키며 주로 도쿄 라멘 계열이 이 육수를 즐겨쓴다. 보통은 가볍게 우려 맑은 육수로 쓰지만, 뼈를 잘 부수어 뭉근히 오랫동안 끓여내면 돈코츠 못지않은 뽀얀 육수도 얻을 수 있다.<ref>여담이지만 중국식 닭육수가 이런 타입</ref> 반대로 염가형 라멘은 대충 콘소메<ref>한국으로 치면 '다시다(...)'</ref>를 풀어서 쓰기도 하니 유의할 것.
** '''토리파이탕 (鳥白湯)'''
** 토리가라 (鶏ガラ)
**: 토리가라의 하위분류로, 뼈를 잘 부수어 뭉근히 오랫동안 끓여내면 나오는 돈코츠 못지않게 뽀얀 육수이다. 사실상 중국식 닭육수 중 샹탕(上汤)을 가리키는데, 그 색깔이 하얗다고 '白'을 붙인 뒤 중국어식으로 읽은 것이다.<ref>하지만 중국어로 '바이탕(白汤)'이라고 하면 맹탕(혹은 그냥 끓인 맹물)을 말한다(...)</ref>후가공으로 휘핑 작업을 넣어 카푸치노 거품처럼 만들어 내는 바리에이션도 있으며, 특유의 부드러운 바디감 덕택에, 맛이 너무 옅은 토리가라와 냄새가 심한 돈코츠의 절충안으로서 인기를 얻었다.
**: 닭고기의 부산물인 닭뼈와 껍질만으로 푹 끓여서 녹여낸 듯 우린 유백색 국물로 눈에 띄게 떠다니는 노란 기름이 특징이다.
* '''교카이 (魚介) '''
* 교카이 (魚介)  
*: 어패류 국물. 일반적으로는 가쓰오부시나 [[멸치]] 등의 말린 생선류 및 [[다시마]], [[조개]], 말린 [[새우]] 등을 넣고 일식 국물(와후다시) 기법을 사용하되 진한 맛이 나도록 푹 우려낸 것을 말한다. 간혹 구워낸 생선<ref>날치(あご) 같은 큰 등푸른 생선류.</ref>을 넣어서 생선 향을 극대화한 국물을 내기도 하는데, 가열한 탓에 생선기름이 쉽게 녹아나와 육수에 짙게 배기 때문에 이런 종류를 처음 접한다면 한 입에 피어오르는 생선향에 기겁할 수 있다. 단독으로는 특출난 맛이 없기 때문에 잘 쓰지는 않으며<ref>그렇지만 아주 옛날(쇼와)식 '일본 라멘(日本ラーメン)'은 진짜로 이런식으로도 만들었었다. 거의 우동국물에 라멘 빠트린 맛에 가깝다.</ref>, 대개 다른 동물성 육수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주로 해안가 지방의 토착 라멘에서 즐겨쓴다.
*: 일반적으로는 가쓰오부시나 [[멸치]] 등의 말린 생선류 및 [[다시마]], [[조개]], 말린 [[새우]] 등을 넣고 끓인 일식 국물(와후다시)를 사용한 것을 말한다. 드물게 구운 생선의 풍미를 살린 국물을 내기도 하는데, 조리 과정에서 생선기름이 배기 때문에 이런 종류를 처음 접한다면 한 입에 피어오르는 생선향에 기겁할 수 있다. 향이 은은한 은어같은 생선을 쓴 종류라면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나, 이건 일본 요리에서도 고급기술에 속하기에 그다지 보기 어렵다.
*: 위 '국물' 타입과는 별개로, 말린 어패류를 곱게 갈아서 소스(타레)에 직접 섞어낸 타입 또한 '교카이'라 부른다.
*: 와후다시만을 교카이로서 단독으로 쓰면 지극히 말끔한 맛이라 소바나 우동과 차이가 없어지는 탓에 별로 선호되지 않고<ref>그렇지만 옛날(쇼와)식 일본라멘은 진짜로 이런식으로 만든다.</ref>, 주로 감칠맛을 내기위해 섞는 경우가 많다. 흔히 돈코츠나 토리스프와 섞으며, 간장맛 혹은 소금맛으로 완성한다.
* '''와후다시 (和風だし)'''
* 야채 (野菜)
*: 다시지루(だし汁)라고도 한다. 일본 정진요리(精進料理) 등에 사용하는 기법을 가져와 [[표고버섯]] 국물이나 무, 배추, 파, 당근, 양파, 우엉 등으로 끓인 복합 야채국물을 가리킨다.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주로 채식 라멘 및 건강계 라멘이나 다이어트식 라멘, 화풍(和風, 와후)라멘 등이고, 그 외에는 맛을 깔끔하게 하고자 섞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토리스프와 혼합하며, 앗사리로 만들기 위해 스프와리(スープ割)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공들인 것에 비해 개성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선호되지 않는 육수이며, 사용하게 되면 야채국물을 썼다고 확실하게 어필하곤 한다.
*: 말 그대로 야채국물. 주로 사용되는 건 [[표고버섯]] 국물이나 무, 배추, 파, 당근, 양파, 우엉 등으로 끓인 복합 야채국물이다.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주로 건강계 라멘이나 다이어트식 라멘, 화풍(和風)라멘 등이고, 그 외에는 맛을 깔끔하게 하고자 섞는 것이 일반적이다. 주로 토리스프와 혼합하며, 앗사리로 만들기 위해 스프와리(スープ割)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토마토 (トマト)'''
* 토마토 (トマト)
*: 비교적 근래인 201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한 종류이다. 약간 심심하게 마무리된 라멘 육수에 으깬 토마토를 졸인 것을 넣어서 만든다. 혹은 육수와 토마토를 별도로 준비하여 주문이 들어가면 그때 혼합해 끓여내기도 한다.
*: 비교적 근래(201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한 계열이다. 약간 심심하게 마무리된 라멘 육수에 으깬 토마토를 졸인것을 넣어서 만든다. 혹은 육수와 토마토를 별도로 준비하여 주문이 들어가면 그때 혼합해 끓여내기도 한다.


=== 소스(타레)에 따른 구분 ===
=== 소스(타레)에 따른 구분 ===
62번째 줄: 62번째 줄:
* 모야시 (숙주): 살짝 데치거나 볶아준 후 얹어서 낸다. 대개 식감을 살리고 양을 부풀리는 효능. 흙비린맛이 비교적 센 콩나물은 잘 쓰지 않는다.
* 모야시 (숙주): 살짝 데치거나 볶아준 후 얹어서 낸다. 대개 식감을 살리고 양을 부풀리는 효능. 흙비린맛이 비교적 센 콩나물은 잘 쓰지 않는다.
* 노리 (김): 왠지 없으면 허전한 그것. <s>라멘을 김에 싸드셔보세요.</s> 김을 왜 얹게 되었는지 정확히 아는 분 있다면 수정바람.
* 노리 (김): 왠지 없으면 허전한 그것. <s>라멘을 김에 싸드셔보세요.</s> 김을 왜 얹게 되었는지 정확히 아는 분 있다면 수정바람.
* 나루토마키 (회오리어묵): 단독으로 먹으면 별로 맛은 없다고 한다. 라멘을 묘사한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이유가 따로 있다. [[후지코 후지오]]라는 [[도라에몽]]의 작가가 그의 만화에 나루토마키가 얹어진 라멘을 자주 등장시켜 고향의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런데 정말로 만화가 성공하고 [[바이럴 마케팅]]도 성공하여 나루토마키의 판매량이 상승했다고 한다. 그 후 라멘을 묘사하는 그림에도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육개장]] 사발면에서도 볼 수 있는 어묵 <del>꼭 아껴먹는다.</del> [[나루토]]라는 제목의 만화는 원래 작가([[키시모토 마사시]])가 요리 만화로 만들려고 했다고 한다. 원래 라멘 가게를 소재로 하려고 했는데 닌자 만화로 소재로 바꿨고 그 흔적이 라멘을 좋아하는 주인공 '나루토'이다. 이름의 어원은 다름 아닌 '나루토마키'이다.
* 나루토마키 (회오리어묵): 단독으로 먹으면 별로 맛은 없다고 한다. 라멘을 묘사한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이유가 따로 있다. [[후지코 후지오]]라는 [[도라에몽]]의 작가가 그의 만화에 나루토마키가 얹어진 라멘을 자주 등장시켜 고향의 지역 경제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런데 정말로 만화가 성공하고 [[바이럴 마케팅]]도 성공하여 나루토마키의 판매량이 상승했다고 한다. 그 후 라멘을 묘사하는 그림에도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육개장]] 사발면에서도 볼 수 있는 어묵 <del>꼭 아껴먹는다.</del>
* 그 외에 청경채, 타카나(高菜), [[내장|호르몬]](ホルモン), 김치(キムチ) 등등을 얹기도 한다.
* 그 외에 청경채, 타카나(高菜), [[내장|호르몬]](ホルモン), 김치(キムチ) 등등을 얹기도 한다.


72번째 줄: 72번째 줄:


==== 면 ====
==== 면 ====
* 굵기
* 굵기 : 호소멘(細麺)▶스트레이트멘(ストレート麺)▶치지레멘(ちぢれ麺)▶후토멘(太麺)
** 호소멘(細麺) : 주로 남쪽에서 즐겨 쓰는, 대략 바늘 굵기 정도의 가느다란 면. 후술하는 '삶은 정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ref>나머지는 '카타/후츠/야와' 3단계가 한계이다.</ref> 유일한 면이며, 삶는 시간 자체도 다른 면들에 비해 매우 짧다.<ref>극단적으로 코나오토시가 3~5초, 일반적으로는 1분 미만이다. 반면 굵은쪽의 면류는 10분까지 걸리기도 한다.</ref> 큐슈 라멘계 특유의 '카에다마'가 가능한 것도 이러한 장점에서 유래한다.
** 스트레이트멘(ストレート麺) : 소면~중면보다 약간 더 굵으면서 별도의 웨이브 작업을 넣지 않은 면. 거의 모든 육수와 어울리기 때문에 업소용으로서는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된다.
** 치지레멘(ちぢれ麺) : 특유의 웨이브가 들어간, 인스턴트 라면과 유사한 형태의 면. 스트레이트보다는 약간 더 굵은 것이 기본적이다. 대체로 짠맛이 강할수록 잘 어울리기 때문에 도쿄식 라멘의 기본 타입이기도 하지만, 홋카이도에서 유난히 애용하는 타입이다. 다른 타입에 비해 면 풀기 및 삶기가 쉽기 때문에 가정에서 라멘을 만들 때도 자주 이용된다.
** 후토멘(太麺) : 거의 우동에 준하는 두께<ref>좀 더 정확히는 중국의 도삭면과 모양 등이 유사하다.</ref>를 가진 특수한 면 타입으로, 지로계 라멘이 특유의 후토멘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힘세고 강한 맛 때문에 특유의 밀가루맛이 강하게 나는 것이 특징이며, 때문에 후토멘을 쓰는 라멘은 국물이나 소스의 염도도 매우 높게 잡는다. 하지만 그러다보니 힘세고 강한 짭짤한 맛(?)이 오히려 중독성을 불러온다는 모양.
** 전립분면(全粒粉麺) : 흔히 젠류멘({{ruby|全粒麺|ぜんりゅうめん}})이라 줄여부른다. [[츠케멘]]에 주로 사용하는 특수면 타입으로, 모양새는 약간 가느다란 듯한 후토멘에 가깝다.
 
* 가수율
** 저가수면(低加水麺) : 호소멘, 스트레이트멘에서 사용하는 방식. 홍콩면(에그누들)처럼 물을 거의 쓰지 않고 반죽한 면으로, 쫄깃함은 없고 오독오독한 식감이 난다. 일본어로 코시(コシ)라 부르는 라멘 특유의 탄력성은 이쪽의 끊김맛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일본 남부지방(특히 큐슈)에서 주로 애용하는 면 타입이다.
** 중가수면(中加水麺) : 치지레멘과 후토멘 타입은 대체로 중가수면이다. 저가수 기법으로 만들면 압축한 밀가루떡마냥 무척 단단하다. 의외로 가장 흔한 타입이며, 혼슈 대부분과 홋카이도에서 애용하는 타입이다.
** 다가수면(多加水麺) : 칼국수처럼 상대적으로 물을 많이 넣고 반죽한 면 타입으로, 일본에서는 동북지방 내 일부 지역 정도에서만 사용하는 타입이다. 부드럽게 넘어가는 맛 때문에 교카이쇼유등에 주로 조합시키는 편인데, 이쪽 타입은 라멘 특유의 '코시'가 별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라멘을 매우 좋아하는 사람이 이 타입을 처음 접하면 매우 당황스러워 할 수도 있다.
 
* 삶은 정도<ref>카에다마(替え玉)를 포함해, 삶은 정도의 척도를 따로 정하는 것은 큐슈 라멘 계열 한정으로 존재한다. 다른 계통에는 본래 없던 방식.</ref> : 유게토오시(湯気通し)▶코나오토시(粉落し)<ref>유게토오시(수증기 통과)와 코나오토시(덧밀가루 떨구기)는 거의 숨겨진 메뉴에 가깝다.</ref>▶바리카타(バリ硬)▶카타(硬)▶후츠우(普通)▶야와(軟)▶바리야와(バリ軟)
* 삶은 정도<ref>카에다마(替え玉)를 포함해, 삶은 정도의 척도를 따로 정하는 것은 큐슈 라멘 계열 한정으로 존재한다. 다른 계통에는 본래 없던 방식.</ref> : 유게토오시(湯気通し)▶코나오토시(粉落し)<ref>유게토오시(수증기 통과)와 코나오토시(덧밀가루 떨구기)는 거의 숨겨진 메뉴에 가깝다.</ref>▶바리카타(バリ硬)▶카타(硬)▶후츠우(普通)▶야와(軟)▶바리야와(バリ軟)


167번째 줄: 156번째 줄:
{{youtube|xqFo59YveXo}}
{{youtube|xqFo59YveXo}}


== 기타 ==
==기타==
*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SM]]에서는 기도 이후에 라멘(R'Amen!)을 붙이도록 가르치고 있다.
*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SM]]에서는 기도 이후에 라멘(R'Amen!)을 붙이도록 가르치고 있다.
* 라멘을 소재로 한 만화로 《[[라멘 발견전]]》(라면 요리왕),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양]]》 등이 있다. 전자는 라멘 업계에 관한 이야기가 주 소재이고, 후자는 열심히 라면 퍼먹는(...) 여고생이 주 소재.
* 라멘을 소재로 한 만화로 《[[라멘 발견전]]》(라면 요리왕),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양]]》 등이 있다. 전자는 라멘 업계에 관한 이야기가 주 소재이고, 후자는 열심히 라면 퍼먹는(...) 여고생이 주 소재.
=== 라멘 국물 마시나요? ===
"라멘 국물을 마셔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은 일본 현지에서도 간간히 나오는데, '''완전히 상반된 견해'''로 갈린다. 라멘이 전국구로 유행하기 시작한 1990년대부터 있었던 만큼 오랜 논쟁거리이다. [https://oshiete.goo.ne.jp/qa/3772389.html?pg=2 참조예시(일본어)]
다만 한국에서는 어쩌서인지 "일본인은 라멘 국물이 짜서 먹지 않는다"라는 상식썰이 주류로 나돈다. 이에 대해 "국물을 먹지 않으니 먹을 줄 모른다"와 "역시 국물은 먹지 않는 일본!"등의 반응을 보이곤 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일본에서는 "한국인은 (일본식 라멘/인스턴트 라면 모두 포함해서) 국물을 직접 들고 마시려 하지 않는다. '''대부분 [[국밥|밥을 넣어 먹는다.]]'''" 또는 "한국에서는 탕면의 국물(수프)은 마시지 않는다."<ref>한국과 중국이 비슷할 것이라는 지레짐작으로 만든 상식썰.</ref>라는 상식썰이 나돈다.
* '''매우 긍정적''' : 마셔줘야 하는 것이 예의이다.
요리 관점에서 일본식 라멘은 국물을 직접 마셔도 되도록, 아니, 오히려 '''마셔줬으면 하는 방향으로''' 짜여진 음식이다. 원판이 되는 중국식은 면 자체가 메인이라 면에 최대한 차별점을 두고 국물은 그냥 면에 간 묻히기 용도로서 대놓고 자극적이게 만들 뿐이나<ref>그래서 중국 면요리는 물론이고, 진한 국물에 담궈져 나오는 음식들 전반으로 어지간하면 국물을 직접 들고 마시지를 않는다. (한 두 숟갈 정도 먹거나, 가볍게 반 모금씩 머금는 정도는 상관없다.) 그 국물까지 그릇 들고 들이키면 독한것 취급을 받을 수 있는데, 하필이면 '''탕요리가 발달한 동북지방이 예외'''고, 한국의 "본토식 중화요리는 그 동북지방의 영향을 많이 받은 상태라서 혼란이 더 가중되어 있다.</ref>, 일본식은 반대로 '''국물(스프)<ref>スープ, 통상적인 일본식 '국물'을 뜻하는 시루(汁)의 상대적 개념이다.</ref>에 차별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면 자체는 제면소에서 받아올지라도 국물만큼은 공들인 오리지널리티를 추구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인데<ref>2000년대 이후부터 유행한 라멘들 대다수가 차별화 된 국물을 가지고 있다. 숟가락 안 빠지도록 진한 교토식 콧테리(こってり)계, 마파두부가 얹혀진 몽고탄멘 등.</ref>, 라멘 마니아들도 그걸 메인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국물을 마시지 않는다. → 음식을 남긴 것이다. → 그 집 라멘은 맛이 없다."라는 암묵적 지론이 만들어져 있다. 당연히 정보성 TV프로그램 등에서도 나름 정보통이라는 마니아의 의견을 크게 반영하였으니 "스프부터 먹어보자"라는 식으로 국물을 먼저 마시게 하는 장면을 선보이다보니 대중들도 자연스레 '라멘은 국물'이라는 걸 상식으로 입력하였고, SNS시대에 들어서는 트위터, 인스타 등을 통해 그릇을 다 비우는 사진을 올리는 것이 인증의 정도(正道)가 되었다.
* '''긍정적''' : 국물을 마셔야 라멘이 맛있다. (일본식의 밥과 국물론)
일식은 밥과 국(ご飯と汁物)이 가장 기본 구성이며, 라멘 또한 면과 국물(麺とスープ)이 그러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라멘을 먹을 때 국물을 안 마셔줄 수 없다는 원리이다. 이는 라멘이 일본식으로 변화할 때 국물에 유난히 힘을 주게 된 직접적인 원인이기도 하며, 일본의 컵라면<ref>간혹가다 봉지라면 중에서도(!)</ref> 중에는 밥 먹을 때 '''국물(汁物)로 대체하라고 만든 미니사이즈'''도 존재한다. <s>삼김/도시락에 라면은 일본에서도 국룰.</s> 즉, 애당초 '라멘'이라는 음식이 주로 면을 먹기 위해 있다고는 하나, 국물을 들이키는 것까지 감안하여 만들기 때문에 국물 마시는게 결코 이상한 것일 수가 없다는 견해이다.
* '''부정적''' : 인간적으로 너무 짜다.
라멘을 좋아해서 그 예법(?)까지 습득하려는 정도가 아닌 이상, 일본사람이라고 해서 짠 음식을 무턱대고 들이키지는 않는다. 라멘의 염도는 일본의 일상식에서 나타나는 염도를 아득히 뛰어넘는게 대다수인데, 특히 라멘의 기원인 '츄카소바'<ref>中華そば. 일본식 중화요리집에서 주로 만드는 '라멘'을 가리킴.</ref>의 가장 기본 형태가 되는 간장맛 닭국물(醤油鶏がらスープ)은 중국식 탕면제법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기 때문에 시루모노=국(汁物)으로 쳐주기도 어렵도록 짜게 만든다. 먹을 것은 부족하고 노동 강도가 강하던 1950~60년대 때라면 모를까<ref>이 시대에 만들어진 토착라멘들은 모두 고봉밥과 먹기 좋도록 짜겁게 만들어졌다. 타카이다 라멘(오사카), 도쿠시마 라멘, 도야마 블랙 등이 그 예시.</ref>, 저열량/저염식이 간헐적으로 유행하는 21세기에는 라멘 국물을 반드시 먹어야만 하는 당위성이 크게 옅어졌다. 이에 따라 라멘 국물 안 먹는 손님은 저연령층 및 여성을 필두로 하여 점차 불특정 다수로 확대되었다.<ref>또한 라멘 자체가 '아저씨 음식'의 대명사 중 하나였다가 남녀노소 불특정으로 고객층이 바뀐 것도 영향이 있다.</ref>
* '''매우 부정적''' : 라멘 국물은 일본식 정크 푸드이다.
일본의 의사들과 운동 트레이너들이 가장 많이 부여하는 권고사항이 '라멘 금지령'이다. 앞에서 구구절절 언급된 짜디 짠 국물은 하루 권장량을 이미 뛰어넘고도 남을 나트륨량을 자랑하고, 그렇찮아도 맛도리로 이름난 라멘들이 하나같이 고지방+고탄수화물 조합인데 정성스레 기름을 녹여낸 국물<ref>곰탕(사골육수)의 하얀 빛깔의 주요 성분은 입자가 작은 지방이다.</ref>까지 꼭 마셔야만 하겠냐고 성토한다. 라멘 국물을 마시는게 아니다라는 주장의 상당수가 이러한 '건강에 나쁘다'는 문제를 반드시 짚으며, 실제로도 잘 달여놓은 정성을 배신하듯, 라멘 국물이 건강에 좋을 요소는 그다지 없다. 그냥 라멘 자체를 저염으로 만들면 되지 않겠나 싶지만, 일단 일식 자체가 조미료를 대체할 향신료 사용에 적극적이지 않고, 일본에서 라멘 맛 판별할 때 면 맛<sup>이라 쓰고 엄밀히는 면에 묻은 국물맛</sup>이 심심한 것을 가장 큰 문제로 보기 때문에<ref>일본 면 음식의 소스류가 종류 불문하고 대체로 간을 강하게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ref>, 대중성을 위해서라도 쉽게 바꿀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그 결과 손님이 자발적으로 국물을 멀리하게 되었고, 그 인과로 라멘집 위주로 급증하는 오폐수 문제가 일본의 또다른 환경문제로 거론되기도 하였다. 긍정파는 이 점을 역이용해 '역시 국물은 마셔야한다'라고 설파하기도 한다(...)


{{각주}}
{{각주}}
[[분류:일본 요리]]
[[분류:일본 요리]]
[[분류:국수]]
[[분류:국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