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대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파일:Ishikari_lighthouse.JPG|thumb|200px|[[홋카이도]] 이시카리에 있는 등대.]]
[[파일:Ishikari lighthouse.JPG|thumb|200px|[[홋카이도]] 이시카리에 있는 등대.]]
*燈臺, lighthouse
'''등대''' (燈臺, lighthouse)는 [[항로표지]]를 위한 시설 중 하나다. 항해용으로 사용되는 등대와 항공기용의 등대가 존재한다. 빛을 이용한다는 원리는 동일하나, 통상 등대라고 하면 [[바다]]에서의 항해를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항공기의 경우 전파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신호기, 혹은 비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차피 그게 그거지만. 거기다 중요한 곳의 등대 역시 비컨과 마찬가지로 전파표지와 음파표지를 병설하여 두고 있다). 통상적으로 등대가 비추는 빛의 주기는 등대마다 다르게 정해져 있어서 일정 구역 내의 등대들은 빛이 도는 주기를 이용해서 어느 위치의 등대인지 파악이 가능하다.
==개요==
[[항로표지]]를 위한 시설 중 하나로, 항해용으로 사용되는 등대와 항공기용의 등대가 존재한다. 빛을 이용한다는 원리는 동일하나, 통상 등대라고 하면 [[바다]]에서의 항해를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항공기의 경우 전파까지 사용하기 떄문에 신호기, 혹은 비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어차피 그게 그거지만. 거기다 중요한 곳의 등대 역시 비컨과 마찬가지로 전파표지와 음파표지를 병설하여 두고 있다). 통상적으로 등대가 비추는 빛의 주기는 등대마다 다르게 정해져 있어서 일정 구역 내의 등대들은 빛이 도는 주기를 이용해서 어느 위치의 등대인지 파악이 가능하다.


== 설치되는 위치 ==
==설치되는 위치==
*[[항만]]의 [[방파제]] 끝자락  
*[[항만]]의 [[방파제]] 끝자락. : 보통 바다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보면 왼쪽 방파제는 흰색의 등대, 오른쪽 방파제는 빨간색의 등대를 사용한다. 불빛은 빨간색의 등대는 적색, 흰색의 등대는 녹색을 사용한다. 이는 입항하는 선박에게 항만 출입로의 위치와 폭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란색의 등대가 있는 경우가 있기도 한데 이런 경우는 이쪽은 오면 안되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 보통 바다에서 항구로 들어오는 방향을 기준으로 보면 왼쪽 방파제는 흰색의 등대, 오른쪽 방파제는 빨간색의 등대를 사용한다. 불빛은 빨간색의 등대는 적색, 흰색의 등대는 녹색을 사용한다. 이는 입항하는 선박에게 항만 출입로의 위치와 폭을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노란색의 등대가 있는 경우가 있기도 한데 이런 경우는 이쪽은 오면 안 되는 곳이라는 의미이다.
*[[섬]]이나 해안가의 높은 곳 : 이런 곳은 보통 출입항이 잦은 [[항구]]에 접해있는 고지대이거나 아니면 외딴 섬과 같은 곳에 해당한다. 어느쪽이 되었건 사고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육지가 가까이 있음을 주변 선박에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항구 부근의 등대는 선박에게 항구가 있는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의 역할도 한다.
*[[섬]]이나 해안가의 높은 곳  
*[[암초]]나 이외 선박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것이 있는 해상 : 이런 경우는 해저에다 [[닻]]과 같은 것을 연결해서 고정시킨 뒤 해상에 띄우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러한 것을 부표(bouy)라고 한다. 과거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그냥 눈에 잘 띄는 색을 칠해놓는 것이 전부였지만 기술의 발달로 부표에 등을 달게 되면서 부표가 등대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암초 위에다가 등탑을 설치하기도 한다.
*: 이런 곳은 보통 출입항이 잦은 [[항구]]에 접해있는 고지대이거나 아니면 외딴 섬과 같은 곳에 해당한다. 어느쪽이 되었건 사고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육지가 가까이 있음을 주변 선박에게 주지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항구 부근의 등대는 선박에게 항구가 있는 방향을 알려주는 표지의 역할도 한다.
*[[암초]]나 이외 선박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것{{ㅈ|보통 침몰한 선박인 경우가 많다. 공식 용어로는 침선을 사용}}이 있는 해상  
*: 이런 경우는 해저에다 [[닻]]과 같은 것을 연결해서 고정시킨 뒤 해상에 띄우는 방식을 사용하며, 이러한 것을 부표(bouy)라고 한다. 과거 기술이 발달하기 전에는 그냥 눈에 잘 띄는 색을 칠해놓는 것이 전부였지만 기술의 발달로 부표에 등을 달게 되면서 부표가 등대의 역할을 겸하게 되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아예 암초 위에다가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위에 등탑을 설치하기도 한다.


== 종류 ==
==종류==
*유인등대  
*유인등대 : 말 그대로 사람이 상주하는 등대이다. 사람이 상주한다는 이야기는 그만큼 해당 등대의 중요도가 높다는 이야기이며, 해당 등대에서 무인등대를 비롯한 각종 항로표지들을 관리한다. [[:분류:등대|리브레 위키에 기재된 등대로 분류된 문서]]들은 유인등대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유인등대를 항로표지관리소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ㅈ|단,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유인등대가 항로표지관리소인건 맞지만, 항로표지관리소가 무조건 유인등대를 끼고 있지는 않다}} 무인등대가 등장하기 전까진 모든 등대가 유인등대였으며, 외딴 섬에 위치한 등대는 내부에 숙식시설까지 갖추고 있었다.
*: 말 그대로 사람이 상주하는 등대이다. 사람이 상주한다는 이야기는 그만큼 해당 등대의 중요도가 높다는 이야기이며, 해당 등대에서 무인등대를 비롯한 각종 항로표지들을 관리한다. [[:분류:등대|리브레 위키에 기재된 등대로 분류된 문서]]들은 유인등대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이 유인등대를 [[항로표지관리소]]로 따로 구분하기도 한다.{{ㅈ|단,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유인등대가 항로표지관리소인건 맞지만, 항로표지관리소가 무조건 유인등대를 끼고 있지는 않다}} 무인등대가 등장하기 전까진 모든 등대가 유인등대였으며, 외딴 섬에 위치한 등대는 내부에 숙식시설까지 갖추고 있었다.
*무인등대 : 상주하지 않는 등대로 외딴 바위섬이나 산꼭대기, 항구 방파제 위에 있는 등대들은 거의 전부가 여기에 해당한다. 인근의 유인등대에서 관리를 한다. [[:분류:무인등대|리브레 위키에서는 무인등대]]를 따로 분류하여 기재하고 있다. 단, 방파제등대는 등대의 형태 이외에도 등주와 같이 간략화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항목을 만들어 기재하지는 않고 해당 항구의 설명문서에 같이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다.
*무인등대  
*등주 : 등대와 같은 굵은 구조물이 아닌 그냥 가로등 정도 굵기의 기둥 꼭대기에 등화장치와 형상장치만 달아놓은 것이다.
*: 상주하지 않는 등대로 외딴 바위섬이나 산꼭대기, 항구 방파제 위에 있는 등대들은 거의 전부가 여기에 해당한다. 인근의 유인등대에서 관리를 한다. [[:분류:무인등대|리브레 위키에서는 무인등대]]를 따로 분류하여 기재하고 있다. 단, 방파제등대는 등대의 형태 이외에도 등주와 같이 간략화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따로 항목을 만들어 기재하지는 않고 해당 항구의 설명문서에 같이 포함하여 기재하고 있다.
*등표 :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하여 주변을 지나는 선박들에게 장애물이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간혹 등이 달려있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입표라고 부른다.
*등주  
*(등)부표 : 바다 위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의 항로표지로 항구 인근이나 위험해상에 주로 설치를 한다. 등화가 있는 것은 등부표라고 하고 없는 경우는 그냥 부표라고 한다.
*: 등대와 같은 굵은 구조물이 아닌 그냥 가로등 정도 굵기의 기둥 꼭대기에 등화장치와 형상장치만 달아놓은 것이다.
*도등 : 협수로, 항구, 만의 입구 등에서 선박에게 안전한 항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항로 연장선상의 육지에 고저차가 있도록 설치한 2기의 탑 모양의 구조물이다. 전도등과 후도등으로 구성되며, 전도등의 높이보다 후도등의 높이가 더 높아서 두 등대의 불빛의 위치를 보고 자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등표  
*: 암초나 수심이 얕은 곳 등에 설치하여 주변을 지나는 선박들에게 장애물이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간혹 등이 달려있지 않은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는 입표라고 부른다.
*(등)부표  
*: 바다 위에 설치되어 있는 소형의 항로표지로 항구 인근이나 위험해상에 주로 설치를 한다. 등화가 있는 것은 등부표라고 하고 없는 경우는 그냥 부표라고 한다.
*도등  
*: 협수로, 항구, 만의 입구 등에서 선박에게 안전한 항로를 알려주기 위하여 항로 연장선상의 육지에 고저차가 있도록 설치한 2기의 탑 모양의 구조물이다. 전도등과 후도등으로 구성되며, 전도등의 높이보다 후도등의 높이가 더 높아서 두 등대의 불빛의 위치를 보고 자신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등대를 포함한 항로표지시설에 대해서 알기 원한다면 [[항로표지]] 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
등대를 포함한 항로표지시설에 대해서 알기 원한다면 [[항로표지]] 문서를 참조하도록 하자.


== 등대의 색 ==
==등대의 색==
등대의 색은 아무렇게나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국제항로표지 기준에 의해서 정해지게 된다.
등대의 색은 아무렇게나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국제항로표지 가준에 의해서 정해지게 된다.
*하얀색 : 일반적으로 유인등대에는 백색을 칠한다. 또한 육상에 위치하는 등대들도 일반적으로는 하얀색을 칠한다.
*하얀색 : 일반적으로 유인등대에는 백색을 칠한다. 또한 육상에 위치하는 등대들도 일반적으로는 하얀색을 칠한다.
*빨간색 : 우현표지로 항구 방향으로 들어오는 배의 우측에 자리한다. 항로의 오른편에 설치되며,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이 적색빛의 왼쪽으로 항해하여야 항구로 들어올 수 있다.
*빨간색 : 우현표지로 항구 방향으로 들어오는 배의 우측에 자리한다. 항로의 오른편에 설치되며,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이 적색빛의 왼쪽으로 항해하여야 항구로 들어올 수 있다.
*초록색 : 좌현표지로 항구 방향으로 들어오는 배의 좌측에 자리한다. 항로의 왼편에 설치되며,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이 녹색 빛의 오른쪽으로 항해해야 항구로 들어올 수 있다. 단, 이 좌현표지를 육상([[방파제]])에 설치할 경우에는 시설물을 흰색으로 칠한다.
*초록색 : 좌현표지로 항구 방향으로 들어오는 배의 좌측에 자리한다. 항로의 왼편에 설치되며, 항구로 들어오는 배는 이 녹색 빛의 오른쪽으로 항해해야 항구로 들어올 수 있다. 단, 이 좌현표지를 육상([[방파제]]에 설치할 경우에는 시설물을 흰색으로 칠한다.
*노란색 : 주변에 암초나 항해에 장애를 줄 수 있는 요소가 있으니 이쪽으로는 접근하지 말라는 의미이며, 주의를 요한다는 뜻이다.
*노란색 : 주변에 암초나 항해에 장애를 줄 수 있는 요소가 있으니 이쪽으로는 접근하지 말라는 의미이며, 주의를 요한다는 뜻이다.
*검은색과 빨간색 다시 검은색 : 고립장해표지로 여기 방향에는 침몰선이나 암초, 기타 항해에 장애를 주는 요소가 있다는 의미.
*검은색과 빨간색 다시 검은색 : 고립장해표지로 여기 방향에는 침몰선이나 암초, 기타 항해에 장애를 주는 요소가 있다는 의미.


=== 등대의 불빛 ===
===등대의 불빛===
일반적으로 등대의 불빛 색은 등대의 색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등대의 색과 섬광의 빛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따로 서술한다.
일반적으로 등대의 불빛 색은 등대의 색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등대의 색과 섬광의 빛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따로 서술한다.
*하얀색 : 이쪽으로 계속오면 X됨. 여기를 피해갈 것. 쭉 오면 육지나 암초와 만남. 단 이를 항해 기준점으로 삼기도 한다.
*하얀색 : 이쪽으로 계속오면 X됨. 여기를 피해갈 것. 쭉 오면 육지나 암초와 만남. 단 이를 항해 기준점으로 삼기도 한다.
44번째 줄: 36번째 줄:
*노란색 : 특수표지, 이쪽으로 오면 인공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꼬라박할 수 있으니 오지 말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공사중인 해역이나 부두의 정박지점 등에 사용된다. 이외에 항해에 방해되는 '''인공적인''' 요소들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다.
*노란색 : 특수표지, 이쪽으로 오면 인공적으로 설치된 시설물에 꼬라박할 수 있으니 오지 말 것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공사중인 해역이나 부두의 정박지점 등에 사용된다. 이외에 항해에 방해되는 '''인공적인''' 요소들이 있으니 주의하라는 의미도 함께 담고 있다.


==== 등대의 불빛 표지 ====
====등대의 불빛 표지====
전문용어로는 등대의 불빛 표지를 광파표지라고 칭한다. 이러한 등대의 표지를 해도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방위표지와 같은 경우는 제외)
전문용어로는 등대의 불빛 표지를 광파표지라고 칭한다. 이러한 등대의 표지를 해도상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방위표지와 같은 경우는 제외)
*예시 : Fl W 6s 58m 19M
*예시 : Fl W 6s 58m 19M
**설명
**설명
54번째 줄: 45번째 줄:
***19M : 등대 불빛이 닿는 거리. 단위는 해상마일(NM)으로, 등대 관련 문서에서 그냥 마일이라고 적혀있으면 해당 단위는  해상마일로 알아먹으면 된다. 미터법으로 환산하고 싶다면 대충 1.8km정도를 곱하면 얼추 맞아떨어진다.
***19M : 등대 불빛이 닿는 거리. 단위는 해상마일(NM)으로, 등대 관련 문서에서 그냥 마일이라고 적혀있으면 해당 단위는  해상마일로 알아먹으면 된다. 미터법으로 환산하고 싶다면 대충 1.8km정도를 곱하면 얼추 맞아떨어진다.


==== 등화의 등질 설명 ====
====등화의 등질 설명====
*등화와 관련된 약어
*등화와 관련된 약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97번째 줄: 88번째 줄:
| FFl || 연성부동섬광 || 기본적으로 부동광을 계속 비추면서 등화 주기동안 일정한 추가 등화를 더 깜빡임
| FFl || 연성부동섬광 || 기본적으로 부동광을 계속 비추면서 등화 주기동안 일정한 추가 등화를 더 깜빡임
|-
|-
| Al.WR || 호광등(부동백홍호광) || 백색과 홍색 섬광(장섬광)을 번갈아가며 발신함 만일 주기가 n초라면 백색 n/2초 + 홍색 n/2초의 주기가 된다. 호광등은 인근에 천소구역(암초 또는 매우 얕은 해역)이 있음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Al.WR || 호광등 || 백색과 홍색 섬광을 번갈아가며 발신함 만일 주기가 n초라면 백색 n/2초 + 홍색 n/2초의 주기가 된다.
|-
| Al.Fl || 호광등(군섬적백호광) || 백색과 홍색 섬광(단섬광)을 번갈아가며 발신함 만일 주기가 n초라면 백색 n/2초 + 홍색 n/2초의 주기가 된다.
|}
|}
*색깔과 관련된 약어{{ㅈ|불빛으로 불가능한 색도 있는데 등대의 불빛 이외에도 등대나 등부표의 색도 여기에 해당한다}}
*색깔과 관련된 약어{{ㅈ|불빛으로 불가능한 색도 있는데 등대의 불빛 이외에도 등대나 등부표의 색도 여기에 해당한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128번째 줄: 116번째 줄:
|}
|}


=== 명호와 암호 ===
===명호와 암호===
등대의 불빛이 해면쪽을 비춰주는 부분을 명호라고 한다. 사실 바다가 아닌 육지쪽을 굳이 비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당수 연안항로표지들은 일부러 육지쪽을 가려놓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해상의 섬과 같은 지형지물때문에 등광이 비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명호에서 제외가 된다. 이렇게 등대의 불빛이 닿지 않는 각도의 부분을 암호라고 한다.
등대의 불빛이 해면쪽을 비춰주는 부분을 명호라고 한다. 사실 바다가 아닌 육지쪽을 굳이 비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당수 연안항로표지들은 일부러 육지쪽을 가려놓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해상의 섬과 같은 지형지물때문에 등광이 비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는 명호에서 제외가 된다. 이렇게 등대의 불빛이 닿지 않는 각도의 부분을 암호라고 한다.


135번째 줄: 123번째 줄:
이 명호의 범위 중에서 위험물이 있는 쪽을 별도의 색으로(주로 홍광과 녹광)표시하여야 할 경우가 있을 때 이렇게 별도의 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분호라고 한다.
이 명호의 범위 중에서 위험물이 있는 쪽을 별도의 색으로(주로 홍광과 녹광)표시하여야 할 경우가 있을 때 이렇게 별도의 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분호라고 한다.


참고로 명호의 각도 표시는 선박에서 등대를 바라볼 때 표시되는 방위각을 기준으로 한다.
==대한민국의 등대==
 
===역사===
== 대한민국의 등대 ==
=== 역사 ===
근대적인 등대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항포구 주변의 뒷산이나 절벽 등에 대형의 기를 걸어놓고 야간에는 봉화를 피우고 꽹과리를 치는 식으로 항로의 지표로 삼았었다. 이런 이유로 바닷가 마을인데 등기산, 등대산, 봉화산이라는 이름이 붙은 경우가 있는데 이 자리에 그대로 등대가 들어서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근대적인 등대의 역사가 시작되기 이전에는 항포구 주변의 뒷산이나 절벽 등에 대형의 기를 걸어놓고 야간에는 봉화를 피우고 꽹과리를 치는 식으로 항로의 지표로 삼았었다. 이런 이유로 바닷가 마을인데 등기산, 등대산, 봉화산이라는 이름이 붙은 경우가 있는데 이 자리에 그대로 등대가 들어서는 경우도 종종 있다.


149번째 줄: 135번째 줄:
1960년대부터 등대장비가 점차 전자기기로 교체되어가기 시작하였으며, 70년대에는 거의 모든 등대가 전기식 등명기로 광원을 교체하였가 1988년에는 무선항법시스템인 로란-C가 도입되면서 전파를 이용한 항로표지기능이 추가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대의 장비도 큰 변화를 겪는데 컴퓨터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면서 낙도 오지에 있는 상당수의 유인등대들이 이때부터 무인등대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1999년에는 위성항법장치인 DGPS가 [[팔미도등대]]를 시작으로 전국의 주요 등대들에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IT기술을 접목한 [[항로표지]]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연안에 위치한 등대에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발신기와 수신기를 설치하여 [[해상교통관제]] 발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1960년대부터 등대장비가 점차 전자기기로 교체되어가기 시작하였으며, 70년대에는 거의 모든 등대가 전기식 등명기로 광원을 교체하였가 1988년에는 무선항법시스템인 로란-C가 도입되면서 전파를 이용한 항로표지기능이 추가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등대의 장비도 큰 변화를 겪는데 컴퓨터를 통한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면서 낙도 오지에 있는 상당수의 유인등대들이 이때부터 무인등대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1999년에는 위성항법장치인 DGPS가 [[팔미도등대]]를 시작으로 전국의 주요 등대들에 설치되기 시작하였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IT기술을 접목한 [[항로표지]]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연안에 위치한 등대에는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발신기와 수신기를 설치하여 [[해상교통관제]] 발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제주도]]의 등대 문화 ===
===[[제주도]]의 등대 문화===
{{참고|도대불}}
 
대한민국의 해안 문화 중 제주도는 [[도대불]]이라는 독특한 근현대의 등대 문화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의 해안 문화 중 제주도는 [[도대불]]이라는 독특한 근현대의 등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참조|도대불}}


=== 목록 ===
===목록===
2013년 7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등대원이 상주하는 유인 등대(항로표지관리소)가 39기,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무인 등대 4438기 등 모두 4476기의 등대{{ㅈ|등주, 등표, 등부표 포함}}가 설치돼 있다. 이 중 [[리브레 위키]]에는 유인등대(항로표지관리소)와 항로표지가 되는 육상의 무인등대{{ㅈ|방파제등대와 도등, 등표 등을 모두 제외하였다. 기준은 해양조사원의 등대표 문서에 고유명칭이 있는 등대로 기록된 등대로 함. 거의 대부분이 항향표지, 육지초인표지, 연안표지}}를 따로 항목으로 만들어 기재한다.
2013년 7월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등대원이 상주하는 유인 등대가 39기, 사람이 상주하지 않는 무인 등대 4438기 등 모두 4476기의 등대{{ㅈ|등주, 등표, 등부표 포함}}가 설치돼 있다. 이 중 [[리브레 위키]]에는 유인등대(항로표지관리소)와 항로표지가 되는 육상의 무인등대{{ㅈ|방파제등대와 도등, 등표 등을 모두 제외하였다. 기준은 해양조사원의 등대표 문서에 고유명칭이 있는 등대로 기록된 등대로 함}}를 따로 항목으로 만들어 기재한다.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대한민국의 유인등대}}
{{대한민국의 무인등대|분류제외=예}}
{{대한민국의 무인등대|분류제외=예}}


이외에 [[국립해양조사원]]에서는 전파에 의한 항로표지와 음파항로표지, 특수항로표지 등을 따로 구분하여 정리하고 있기도 하다.
==북한의 등대==
*전파에 의한 항로표지
북한지역의 등대는 국내 외의 관련자료를 참조하여 수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제 등대가 있는지도 사실 불명확한 경우도 많다. 등대가 신설되었을 가능성도 있고 {{ㅊ|있는거 안없애면 다행}} 특히 북한의 좋지 않은 경제사정과 전력난으로 해당 등대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조차 불명확한 상태이다. {{ㅊ|혹시 북한에서 접속한 [[위키러]]가 있다면 상세한 정보[[추가바람]]</br>너 요덕 익스프레스}}
**레이더 비콘 : {{참고|등대/레이더 비콘 목록}}
**위성항법정보시스템 : {{참고|등대/DGNSS}}
**항공무선표지국 : {{참고|등대/Aero RC}}
**로란 : {{참고|등대/LORAN-C}}
*음파에 의한 항로표지
**무신호 : {{참고|등대/음파표지}}
*특수항로표지
**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 : {{참고|등대/AIS}}
**조류신호표지 : {{참고|등대/조류신호표지}}
 
*참조 사이트 : [http://m.khoa.go.kr/svc/showSvc.do 국립해양조사원 등대표]
 
== 북한의 등대 ==
북한지역의 등대는 국내 외의 관련자료를 참조하여 수록할 수밖에 없으므로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제 등대가 있는지도 사실 불명확한 경우도 많다. 등대가 신설되었을 가능성도 있고 {{ㅊ|있는거 안없애면 다행}} 특히 북한의 좋지 않은 경제사정과 전력난으로 해당 등대들이 제대로 기능을 하는지조차 불명확한 상태이다. {{ㅊ|혹시 북한에서 접속한 [[위키러]]가 있다면 상세한 정보[[추가바람]]<br />너 요덕 익스프레스}}
{{북한의_등대|분류제외=예}}
{{북한의_등대|분류제외=예}}


== 비유적 표현 ==
==비유적 표현==
* 문학에서는 등대를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추는 존재라는 점에 착안하여 구원자의 이미지나, 지도자의 이미지, 암흑기의 선도자의 이미지를 이 등대에 투영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물론 이런 낭만적인 문학적 표현과는 반대로 등대를 관리하는 항로표지원의 삶은 치열하기 그지없다.
* 문학에서는 등대를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추는 존재라는 점에 착안하여 구원자의 이미지나, 지도자의 이미지, 암흑기의 선도자의 이미지를 이 등대에 투영시키는 경우가 종종 있다.
* 건물이 등대처럼 높으면서 [[야근]] 행진으로 야간에 실내가 환한 회사를 가리켜 등대라고 한다. IT 기업에서 나타나며 '[[넷마블|구로의 등대]]'<ref>[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214_0014703470&cID=13008&pID=13000 넷마블 '구로의 등대' 꺼졌다…야근없는 일터로], 뉴시스, 2017.02.14.</ref>와 '[[위메이드|판교의 등대]]'<ref>[http://news.donga.com/3/all/20170420/83964889/1 위메이드, 노동착취 정책 일파만파..반성없이 '고발자 색출'에 혈안], 동아일보, 2017.04.20.</ref>가 유명하다. 정치권은 '등대는 육지가 아니라 바다에 있어야 한다'며 근로 환경 개선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했다.<ref>[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72209 "게임 개발자, 월 30시간 더 일한다" 게임산업 노동환경 토론회], 인벤, 2017.02.09.</ref>
* 건물이 등대처럼 높으면서 [[야근]] 행진으로 야간에 실내가 환한 회사를 가리켜 등대라고 한다. IT 기업에서 나타나며 '구로의 등대'<ref>[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214_0014703470&cID=13008&pID=13000 넷마블 '구로의 등대' 꺼졌다…야근없는 일터로], 뉴시스, 2017.02.14.</ref>와 '판교의 등대'<ref>[http://news.donga.com/3/all/20170420/83964889/1 위메이드, 노동착취 정책 일파만파..반성없이 '고발자 색출'에 혈안], 동아일보, 2017.04.20.</ref>가 유명하다. 정치권은 '등대는 육지가 아니라 바다에 있어야 한다'며 근로 환경 개선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했다.<ref>[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72209 "게임 개발자, 월 30시간 더 일한다" 게임산업 노동환경 토론회], 인벤, 2017.02.09.</ref>


== 관련 문서 ==
==관련 도서==
* [[항로표지관리원]] (등대지기)
*[[등대 (책)|등대]]
* [[등대 (책)|등대]] (책)
* [[항로표지]]
* [[등대여행]]
* [[등대와 괭이갈매기의 꿈]]


{{각주}}
{{각주}}
[[분류:항로표지]]
[[분류:항로표지]]
[[분류:항구]]
[[분류:항구]][[분류:등대| ]]
[[분류:등대|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