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터미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현재 영업중인 버스 터미널|2016년까지 있었던 버스 터미널}}
{{다른 뜻|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현재 영업중인 버스 터미널|2016년까지 있었던 버스 터미널}}
[[파일:동대구 하차장.jpg|thumb|1층 하차장 및 박차장]]
 
==개요==
==개요==
[[동대구터미널]]은 대구의 [[버스 터미널]] 중 하나이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의 건립으로 2016년 12월 12일부터 기존의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동부정류장]], [[남부정류장]] 노선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동대구터미널]]은 대구의 버스 터미널 중 하나이다. [[동대구복합환승센터]]의 건립으로 2016년 12월 12일부터 기존의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 [[동부정류장]], [[남부정류장]] 노선을 통합하여 운영한다.
 
운영사는 [[코리아와이드그룹|코리아와이드]]의 손자회사인 코리아와이드터미널이다.


==구조==
==구조==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신세계동대구복합환승센터]] 건물 중 일부를 터미널로 사용한다. 승하차장이 외부에 위치하는 터미널들과 다르게 실내에서 승하차를 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다.
[[파일:동대구 하차장.jpg|thumb|1층 하차장 및 박차장]]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건물 중 일부를 터미널로 사용한다. 승하차장이 외부에 위치하는 터미널들과 다르게 실내에서 승하차를 하여 날씨에 구애받지 않는다.
{|class=wikitable
*1층: 하차장
|-
*3층: 매표소, 승차장(수도권 및 강원충청권, 전라권)
| rowspan=6 style=width:10px; | ←신세계백화점
*4층: 승차장(경상권)
! 4층
| 경상·강원도 방면 승차장
| → 환승 주차장
|-
! 3층
| 매표소 및 수도권, 충청·전라도 방면 승차장
| → 코레일 동대구역 환승
|-
! 2층
| style="opacity:0.6;" | ''미사용''
| style="opacity:0;" |
|-
! 1층
| 하차장, [[버스 소화물 운송|수화물센터]]<ref>이용객은 터미널 외부의 센터 전용 출입문을 이용해야 함.</ref>
| → 시내버스 환승
|-
!
| ↘ 신세계백화점 연결통로
| → 도시철도 동대구역 환승
|-
! 층
! [[동대구터미널]]
| style="opacity:0;" |
|}
 
매표소는 3층에, 수화물센터는 1층에 있다. 무인 발권기는 3층과 4층 대합실에 있다. 상업 시설은 1층 편의점을 제외하면 3층과 4층에 모여 있으며 주로 식당, 카페, [[편의점]]이다. 편의점은 당연히 모두 [[이마트24]]. 식당과 주전부리는 저가부터 중가까지 골라서 먹을 수 있고 정 안땡기면 신세계 푸드코드로 가면 된다는 점이 큰 위안이다. 4층에는 [[농업협동조합|대구경북능금농협]] 출장소와 판매장이 있다. 다른 은행 자동화코너는 백화점 안과 동대구역 광장에 있다.
 
예약 전산의 경우 [[고속버스]]는 KOBUS, [[시외버스]]는 버스타고를 이용한다. 터미널에 마련된 무인 발급기는 버스타고가 대다수고 고속버스 무인 발급기는 통틀어서 꼴랑 2대 밖에 안 된다. <del>동대구고속터미널 시절엔 터미널마다 한두대씩 있었거늘...?</del>
* 3층 매표소 대합실에 1대: 매표소 창구 맞은 편
* 4층 서측 대합실에 1대: 서편 에스컬레이터 바로 앞 (농협 근처)
 
백화점을 잡아 놓고 남는 자리에 대충 터미널을 박아넣은 모양새라, 터미널 공간도 생각보다 좁고 동선이 매끄럽지 못하다. 도대체 주 동선을 어떻게 잡고 설계한 것인지, 매표소까지 접근하는 경로가 배배 꼬여 있어 초행에는 헤매기 십상. 가장 매표소에 접근하기 용이한 출입구는 {{ㅊ|2층}} 3층 동측의 출입구로, 올라가서 상업시설을 왼쪽으로 지나치면 바로 매표소가 보인다. 가장 매표소를 보기 힘든 출입구는 대부분의 이용객이 사용하는 1층 남측 출입구. 터미널에 대한 불만은 지역 언론에서도 간혹 볼 수 있다.<ref>[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786595.html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백화점 고객 우선 버스 손님은 뒷전”], 한겨레, 2017.03.15.</ref>
 
게다가 개장 초기에는 안내 표지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 더욱 심각했다. 덕분에 터미널 내부 문에는 온통 시트지로 도배가 되어 있고, 대합실에는 길거리에나 세워두는 임시 간판이 줄줄이 서 있는 괴상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나마도 영문 표기는 희귀해서 외국인 이용객은 말이 통하는 한국인을 찾아 해매는 게 일상.
 
천장 달대와 벽체형 디스플레이로 철도·버스 통합 출발 안내를 실시하는 것은 인상적이다. 다만 천장이 그렇게 높은데 달대는 시내버스 BIS에나 쓸 법한 아담한 물건을 매달아 놓아서 시인성이 영 떨어지고, 벽체형 디스플레이도 화려한 상업시설에 가려 크게 눈에 띄지 못하는 점은 아쉽다.


==연계 교통==
==연계 교통==
{{참고|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환승 정보}}
*[[동대구역]] (도시철도 1호선 및 철도) : 3층으로 나가면 코레일 2번 출구와 도시철도 3번 출구가 나온다.
 
*시내버스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정류장
1층에서 지하철 연결통로로, 3층에서 철도 연결통로로 바로 연결되어 있어 이전보다 환승이 한층 편리하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시내버스]]를 이용하는 터미널 이용객에게는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정류장이 터미널 출입구 앞에 있어 가장 편리하다.
*환승주차장 : 동측 별관 주차장 및 동대구역 주차장 2개소


== 기타 ==
== 기타 ==
[[파일:동대구 환승띠.jpg|thumb|3층 환승띠(제거됨)]]
* 예약 전산의 경우 고속버스는 KOBUS, 시외버스는 버스타고를 이용한다. 터미널에 마련된 무인 단말기는 죄다 버스타고 전용이라서 고속버스 탑승자는 모바일 승차권 및 홈 티켓을 끊거나 현장 매표소에서 실물을 받아야 한다.
* 등을 맞대고 있는 [[신세계백화점]]이 열지 않는 시간대에 [[메가박스]]를 들어가려면 터미널 안쪽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면 된다. 해당 엘리베이터로 가는 길은 4층 환승띠에 안내되어 있었다.
[[분류:버스 터미널]]
* 개장 초기에 바닥에 [[환승띠]]를 부착했는데, 3층은 최대 5겹, 4층은 최대 6겹의 환승띠가 있었다. 굉장히 가늘어서 안에 뭐라고 적어 두었는지 보기 힘들었지만. 그것마저도 헤져서 보기 흉하자 제거했다.
* 승차장 바닥 포장을 우레탄으로 해놨는 데, 지면이 젖으면 바닥이 미끄러워 차량 조향이 어렵다는 현장의 불만이 빗발치자 차량이 자주 다니는 진출입로는 아스팔트 포장을 덧씌워놨다.
{{각주}}
{{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분류:대구광역시의 버스 터미널]]
[[분류:대구광역시]]
[[분류:대구광역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