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가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Tokyo-gas Negishi LNG Tarminal.JPG|thumb|LNG 인수기지]]
[[File:Tokyo-gas Negishi LNG Tarminal.JPG|thumb|LNG 인수기지]]
'''도시가스'''(都市-)는 도시가스사업자가 설치한 설비를 통해 공급되는 [[천연가스]]·[[석유가스]]를 뜻한다.
'''도시가스'''(都市ガス)는 도시가스사업자가 설치한 설비를 통해 공급되는 [[천연가스]]·[[석유가스]]를 뜻한다.
== 개요 ==
== 개요 ==
일상생활에서는 대개 [[LPG]]에 반하는 의미로 쓰인다. LPG는 용기에 들어있고, 도시가스는 배관을 통해 중앙에서 공급된다는 차이를 쉽게 느낄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최초의 도시가스는 LPG를 기화한 형태였고, 1985년 LNG가 도입된 이후에도 열량 부족을 문제로 LPG를 혼합하거나 공급 인프라의 문제로 석유가스를 계속 공급받는 지역이 존재한다.
일상생활에서는 대개 [[LPG]]에 반하는 의미로 쓰인다. LPG는 용기에 들어있고, 도시가스는 배관을 통해 중앙에서 공급된다는 차이를 쉽게 느낄 수 있기 때문. 하지만 최초의 도시가스는 LPG를 기화한 형태였고, 1985년 LNG가 도입된 이후에도 열량 부족을 문제로 LPG를 혼합하거나 공급 인프라의 문제로 석유가스를 계속 공급받는 지역이 존재한다.
11번째 줄: 11번째 줄:
*: 신축, 신규 인입 등 원래 도시가스가 없던 건물인 경우 별도 시공업체를 통해 토지경계 내부공사를 선행한다. 이후 도시가스사업자에 신청하고 시설분담금을 납부하면, 사업자측 공급관에서 분기를 내어 건물에 연결해준다.
*: 신축, 신규 인입 등 원래 도시가스가 없던 건물인 경우 별도 시공업체를 통해 토지경계 내부공사를 선행한다. 이후 도시가스사업자에 신청하고 시설분담금을 납부하면, 사업자측 공급관에서 분기를 내어 건물에 연결해준다.
*: 기존 인입건물에 전입한 경우, 사업자에 공급개시 신청을 하여 공급계약서 작성, 가스설비 연결 등의 조치를 받는다.
*: 기존 인입건물에 전입한 경우, 사업자에 공급개시 신청을 하여 공급계약서 작성, 가스설비 연결 등의 조치를 받는다.
* 사용
* 사용
*: 사용자는 도시가스사업자가 설치한 설비를 임의로 손댈 수 없으며, 가스기기 교체 등 수정사항이 발생할 경우 사업자에 연락해서 연결작업을 받아야 한다. 도시가스사업자는 수용가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의무를 가지며(1년에 2회), 정확한 계량을 위해 5년에 한번씩 계량기를 교체한다(가정 기준).
*: 사용자는 도시가스사업자가 설치한 설비를 임의로 손댈 수 없으며, 가스기기 교체 등 수정사항이 발생할 경우 사업자에 연락해서 연결작업을 받아야 한다. 도시가스사업자는 수용가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 의무를 가지며(대개 1년에 2회), 정확한 계량을 위해 5년에 한번씩 계량기를 교체한다(가정 기준).
*: 일반적으로 계량기를 세대 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검침은 자가검침 위주로 이뤄지며, 검침일에 사용자가 문전 기록지에 수기로 기재하거나, 전기통신 등으로 통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계량기가 밖에 있어서 검침원이 읽을 수 있다면 자가검침을 하지 않으며, 자가검침을 누락한 경우 평균 사용량을 임의 적용(인정검침)하여 청구한다. 스마트 계량기가 도입되면 원격검침으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이런 번거로운 일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 일반적으로 계량기를 세대 내에 설치하기 때문에 검침은 자가검침 위주로 이뤄지며, 검침일에 사용자가 문전 기록지에 수기로 기재하거나, 전기통신 등으로 통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계량기가 밖에 있어서 검침원이 읽을 수 있다면 자가검침을 하지 않으며, 자가검침을 누락한 경우 평균 사용량을 임의 적용(인정검침)하여 청구한다. 스마트 계량기가 도입되면 원격검침으로 대신할 수 있으므로 이런 번거로운 일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
*: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인공향료에 따라 썩은 내가 난다. 가스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썩은 내, 경보기 작동 등) 계량기 밸브를 잠그고, 모든 창문을 열고, 전기 관련된 모든 것은 일체 만지지 말고 도시가스사업자에게 긴급출동을 의뢰하면 된다. 출동요원이 무상으로 점검해주며, 누출부위 수리는 고객 부담으로 진행한다.
*: 가스가 누출되는 경우 인공향료에 따라 썩은 내가 난다. 가스 누출이 의심되는 경우(썩은 내, 경보기 작동 등) 계량기 밸브를 잠그고, 모든 창문을 열고, 전기 관련된 모든 것은 일체 만지지 말고 도시가스사업자에게 긴급출동을 의뢰하면 된다. 출동요원이 무상으로 점검해주며, 누출부위 수리는 고객 부담으로 진행한다.
*: 종종 신고없이 공사하다가 가스관을 내리찍거나, 잘못된 시공으로 인해 부식되는 경우 길거리에 가스냄새가 진동할 수 있다. 의심되는 경우 관할 도시가스사업자에게 신고하면 된다.
*: 종종 신고없이 공사하다가 가스관을 내리찍거나, 잘못된 시공으로 인해 부식되는 경우 길거리에 가스냄새가 진동할 수 있다. 의심되는 경우 관할 도시가스사업자에게 신고하면 된다.
* 사용중단
* 사용중단
*: 전출, 폐업 등으로 가스기기 철거나 공급중단이 필요할 땐 도시가스사업자의 막음조치를 받아야 한다. 임의철거 하는 경우 가스누출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아예 건물을 뜯어버리는 경우 차후 재이용 의사가 있냐, 없냐에 따라 토지경계 안에서 막음처리 하거나(향후 재이용 가능), 사업자측 배관 분기를 없애버린다.
*: 전출, 폐업 등으로 가스기기 철거나 공급중단이 필요할 땐 도시가스사업자의 막음조치를 받아야 한다. 임의철거 하는 경우 가스누출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 아예 건물을 뜯어버리는 경우 차후 재이용 의사가 있냐, 없냐에 따라 토지경계 안에서 막음처리 하거나(향후 재이용 가능), 사업자측 배관 분기를 없애버린다.
* 번외: 굴착공사
* 번외: 굴착공사
*: 땅 밑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파묻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스관은 잡아뜯기는 순간 초대형 참사로 이어지므로, 관계법령<ref>고압가스안전관리법 제23조의2~제23조의6</ref>에 따라 굴착공사 전에 도시가스사업자에 도시가스 배관 위치를 알려달라고 해야하고, 공사 시행시 도시가스측 참관인이 반드시 입회해야 한다. 도시가스사업자를 대신하여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며, "굴착공사 정보지원센터({{URL|http://eocs.or.kr}})"에서 신청하면 된다.
*: 땅 밑에는 다양한 종류의 배관이 파묻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스관은 잡아뜯기는 순간 초대형 참사로 이어지므로, 관계법령에 따라 굴착공사 전에 도시가스사업자에 도시가스 배관 위치를 알려달라고 해야하고, 공사 시행시 도시가스측 참관인이 반드시 입회해야 한다. 도시가스사업자를 대신하여 한국가스안전공사에서 신청을 받고 있으며, "굴착공사 정보지원센터({{URL|http://eocs.or.kr}})"에서 신청하면 된다.


== 지역별 사업자 ==
== 지역별 사업자 ==
41번째 줄: 37번째 줄:
! 서울도시가스
! 서울도시가스
{{!}} 1972년
{{!}} 1972년
{{!}} style=text-align:left; {{!}} 서울 은평, 마포, 강서, 영등포, 관악, 동작, 종로, 용산, 서대문, 양천, 서초<br />경기 고양, 파주, 김포 일부
{{!}} style=text-align:left; {{!}} 서울 은평, 마포, 강서, 영등포, 관악, 동작, 종로, 용산, 서대문, 양천, 서초<br/>경기 고양, 파주, 김포 일부
{{!}} [http://www.seoulgas.co.kr/ WEB]
{{!}} [http://www.seoulgas.co.kr/ WEB]
{{!}}-
{{!}}-
! 코원에너지서비스
! 코원에너지서비스
{{!}} 1980년
{{!}} 1980년
{{!}} style=text-align:left; {{!}} 서울 강남, 강동, 송파, 서초 <br />경기 과천, 성남, 하남, 광주, 이천, 여주, 양평
{{!}} style=text-align:left; {{!}} 서울 강남, 강동, 송파, 서초 <br/>경기 과천, 성남, 하남, 광주, 이천, 여주, 양평
{{!}} [https://www.skens.com/koone/main/index.do WEB]
{{!}} [https://www.skens.com/koone/main/index.do WEB]
{{!}}-
{{!}}-
! 예스코
! 예스코
{{!}} 1983년
{{!}} 1983년
{{!}} style=text-align:left; {{!}} 서울 중구, 광진, 성동, 동대문, 중랑, 종로, 용산, 성북, 서대문<br /> 경기 구리, 남양주, 가평, 포천, 양평 일부
{{!}} style=text-align:left; {{!}} 서울 중구, 광진, 성동, 동대문, 중랑, 종로, 용산, 성북, 서대문<br/> 경기 구리, 남양주, 가평, 포천, 양평 일부
{{!}} [https://www.lsyesco.com/ WEB]
{{!}} [https://www.lsyesco.com/ WEB]
{{!}}-
{{!}}-
! 삼천리
! 삼천리
{{!}} 1983년
{{!}} 1983년
{{!}} style=text-align:left; {{!}} 인천 미추홀, 연수, 중구, 동구, 남동<br />경기 부천, 시흥, 안산, 안양, 광명, 의왕, 군포, 수원, 화성, 용인, 안성, 평택, 오산
{{!}} style=text-align:left; {{!}} 인천 미추홀, 연수, 중구, 동구, 남동<br/>경기 부천, 시흥, 안산, 안양, 광명, 의왕, 군포, 수원, 화성, 용인, 안성, 평택, 오산
{{!}} [http://www.samchully.co.kr/main.do WEB]
{{!}} [http://www.samchully.co.kr/main.do WEB]
{{!}}-
{{!}}-
! 인천도시가스
! 인천도시가스
{{!}} 1984년
{{!}} 1984년
{{!}} style=text-align:left; {{!}} 인천 부평, 계양, 서구, 강화, 중구, 동구, 남동<br /> 경기 김포
{{!}} style=text-align:left; {{!}} 인천 부평, 계양, 서구, 강화, 중구, 동구, 남동<br/> 경기 김포
{{!}} [http://www.icgas.co.kr/2016/start.asp WEB]
{{!}} [http://www.icgas.co.kr/2016/start.asp WEB]
{{!}}-
{{!}}-
71번째 줄: 67번째 줄:
! 대륜E&S
! 대륜E&S
{{!}} 1986년
{{!}} 1986년
{{!}} style=text-align:left; {{!}} 서울 노원, 도봉, 강북, 성북<br /> 경기 의정부, 양주, 동두천, 연천, 포천
{{!}} style=text-align:left; {{!}} 서울 노원, 도봉, 강북, 성북<br/> 경기 의정부, 양주, 동두천, 연천, 포천
{{!}} [https://www.daeryunens.com/index.asp WEB]
{{!}} [https://www.daeryunens.com/index.asp WEB]
{{!}}}
{{!}}}
127번째 줄: 123번째 줄:
! JB
! JB
{{!}} 1992년
{{!}} 1992년
{{!}} style=text-align:left; {{!}} 충남 천안, 아산, 공주, 보령, 논산, 연기, 서천, 금산, 부여, 청양<br /> 세종시 전역
{{!}} style=text-align:left; {{!}} 충남 천안, 아산, 공주, 보령, 논산, 연기, 서천, 금산, 부여, 청양<br/> 세종시 전역
{{!}} [https://www.jbcorporation.com/ WEB]
{{!}} [https://www.jbcorporation.com/ WEB]
{{!}}-
{{!}}-
150번째 줄: 146번째 줄:
! 해양에너지
! 해양에너지
{{!}} 1982년
{{!}} 1982년
{{!}} style=text-align:left; {{!}} 광주 전역<br /> 전남 나주, 화순, 장성, 담양, 영광, 해남, 함평, 장흥
{{!}} style=text-align:left; {{!}} 광주 전역<br/> 전남 나주, 화순, 장성, 담양, 영광, 해남, 함평, 장흥
{{!}} [https://www.hygas.co.kr/main/main.asp WEB]
{{!}} [https://www.hygas.co.kr/main/main.asp WEB]
{{!}}-
{{!}}-
218번째 줄: 214번째 줄:
! 영남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1988년
{{!}} 1988년
{{!}} style=text-align:left; {{!}} 경북 구미, 김천, 상주, 문경, 청도, 성주, 칠곡 (구미지사)<br />경북 포항, 영덕, 울진 (포항지사)
{{!}} style=text-align:left; {{!}} 경북 구미, 김천, 상주, 문경, 청도, 성주, 칠곡 (구미지사)<br/>경북 포항, 영덕, 울진 (포항지사)
{{!}} [https://www.skens.com/gumi/main/index.do 구미]<br />[https://www.skens.com/gumi/main/index.do 포항]
{{!}} [https://www.skens.com/gumi/main/index.do 구미]<br/>[https://www.skens.com/gumi/main/index.do 포항]
{{!}}-
{{!}}-
! 대성청정에너지
! 대성청정에너지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