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선거구/대구광역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제20대 총선 선거구}}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구광역시]] 선거구를 정리한 문서이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대구광역시]] 선거구를 정리한 문서이다.


9번째 줄: 8번째 줄:
* 중구: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 대봉2동
* 중구: 동인동, 삼덕동,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대신동, 남산1동, 남산2동, 남산3동, 남산4동, 대봉1동, 대봉2동
* 남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 남구: 이천동, 봉덕1동, 봉덕2동, 봉덕3동, 대명1동, 대명2동, 대명3동, 대명4동, 대명5동, 대명6동, 대명9동, 대명10동, 대명11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곽상도]]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동열]] || || ||
|-
| 5 || [[노동당 (대한민국)]] || [[최창진]] || || ||
|-
| 6 || 무소속 || [[김구 (정치인)]] || || ||
|-
| 7 || 무소속 || [[박창달]] || || ||
|}


===동구갑===
===동구갑===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
*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정종섭]] || || ||
|-
| 5 || [[민중연합당]] || [[황순규]] || || ||
|-
| 6 || [[한국국민당]] || [[성용모]] || || ||
|-
| 7 || 무소속 || [[류성걸]] || || ||
|}


===동구을===
===동구을===
*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4동, 공산동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class="wikitable sortable"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승천]] || || ||
| || 무소속 || [[유승민 (정치인)]] || || ||
|-
| 5 || 무소속 || [[유승민 (정치인)]] || || ||
|}
|}
 
-->
{{^|개요}}


대구 동구을은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지역구이다.
대구 동구을은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전 [[새누리당]] 원내대표의 지역구이다.
57번째 줄: 29번째 줄:
한편 [[새누리당]]에서 아예 이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대구 동구을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 후보만 있는 선거구가 된다.<ref>[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199067&pDate=20160323 새누리당 공천 '유승민 변수'…태풍일까, 미풍일까?], JTBC, 2016.03.23.</ref> 하지만 [[새누리당]]은 유 의원이 탈당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이재만]] 후보를 단수공천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84714&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 새누리 공천위, '유승민 지역구' 이재만 단수 추천], SBS, 2016.03.24.</ref>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대구 동구을 공천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의원을 강하게 비판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84720&plink=SHARE&cooper=SBSNEWSMOBEND 이한구, 유승민 작심비판…"꽃길만 걷다 침뱉고 떠나"], SBS, 2016.03.24.</ref>
한편 [[새누리당]]에서 아예 이 지역구에 후보를 내지 않는 것을 검토하기도 했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대구 동구을은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 후보만 있는 선거구가 된다.<ref>[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199067&pDate=20160323 새누리당 공천 '유승민 변수'…태풍일까, 미풍일까?], JTBC, 2016.03.23.</ref> 하지만 [[새누리당]]은 유 의원이 탈당하자마자 기다렸다는 듯 [[이재만]] 후보를 단수공천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84714&plink=SEARCH&cooper=SBSNEWSSEARCH 새누리 공천위, '유승민 지역구' 이재만 단수 추천], SBS, 2016.03.24.</ref> [[새누리당]]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대구 동구을 공천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에서 [[유승민 (정치인)|유승민]] 의원을 강하게 비판했다.<ref>[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84720&plink=SHARE&cooper=SBSNEWSMOBEND 이한구, 유승민 작심비판…"꽃길만 걷다 침뱉고 떠나"], SBS, 2016.03.24.</ref>


그러나 [[새누리당]] 공천 발표 몇 시간 뒤인 오후 2시 30분경,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최고위원회 의결이 보류된 5곳에 대한 공천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의결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하고 자신의 선거사무소가 있는 [[부산]]으로 내려가버렸다. 이대로라면 [[새누리당]]은 대구 동구을을 비롯한 5곳을 무공천 지역으로 남겨놓게 된다. 그리고 무소속 출마 신청기한이 지났기 때문에 공천을 받기로 한 후보들은 이대로 기한이 지나버리면 이번 총선에 나오지도 못하게 된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241436421&code=910100 <nowiki>[속보]</nowiki>김무성 “유승민·이재오 지역 등 5곳 무공천으로 남기겠다”], 경향신문, 2016.03.24.</ref> 이는 일각에서 "[[김무성]] 대표가 공천장에 대표직인 찍는 것을 거부하는게 아니냐"는 이른바 '옥새 투쟁'으로 불리던 시나리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4/0200000000AKR20160324078900001.HTML 김무성 '옥새 투쟁' 하나…상처난 리더십 막판 기로], 연합뉴스, 2016.03.24.</ref>가 현실이 된 것이다. 언론들은 이를 두고 아예 '옥새 반란'이라고 칭하기도.<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4/2016032401954.html?related_all 김무성 '옥새 반란',,, "이재오 유승민 지역구 등 5곳 무공천"], 조선일보, 2016.03.24.</ref><ref>[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200028&pDate=20160324 김무성, 막판 '옥새 반란'…'진박 후보' 4명 출마 봉쇄], JTBC, 2016.03.24.</ref> 그러나 [[김무성]] 대표가 다시 [[새누리당]] 당사로 돌아와 긴급 최고위를 소집하면서 다시 '30시간의 법칙'이 재현되었다.<ref>[https://twitter.com/JTBC_news/status/713259128785768449 <nowiki>[속보]</nowiki> "추경호 정종섭 이인선 공천안 3곳은 의결 일단 합의"], JTBC 뉴스 트위터 계정, 2016.03.25.</ref> 그러나 대구 동구을을 비롯한 2곳은 무공천 방침을 확정지으면서 [[새누리당]]에서는 후보를 내지 않기로 결정됐다.
그러나 [[새누리당]] 공천 발표 몇 시간 뒤인 오후 2시 30분경,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기자회견에서 "최고위원회 의결이 보류된 5곳에 대한 공천관리위원회의 결정에 대해 의결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에따라 [[새누리당]]은 대구 동구을을 무공천 지역으로 남겨놓게 되면서 후보를 내지 않는다.<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241436421&code=910100 <nowiki>[속보]</nowiki>김무성 “유승민·이재오 지역 등 5곳 무공천으로 남기겠다”], 경향신문, 2016.03.24.</ref> 이는 일각에서 "[[김무성]] 대표가 공천장에 대표직인 찍는 것을 거부하는게 아니냐"는 이른바 '옥새 투쟁'으로 불리던 시나리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4/0200000000AKR20160324078900001.HTML 김무성 '옥새 투쟁' 하나…상처난 리더십 막판 기로], 연합뉴스, 2016.03.24.</ref>가 현실이 된 것이다. <s>[[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s> [[조선일보]]는 이를 두고 아예 '옥새 반란'이라고 칭하기도.<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4/2016032401954.html?related_all 김무성 '옥새 반란',,, "이재오 유승민 지역구 등 5곳 무공천"], 조선일보, 2016.03.24.</ref>
 
한때 [[유승민]] 의원만 후보 등록을 하여 ''무투표 당선''이 가시권에 들어왔으나<ref>[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251605391&code=910100 <nowiki>[속보]</nowiki>유승민 의원, 무투표 당선 확실시], 경향신문, 2016.03.25.</ref> 후보등록 마감 30분 전 [[더불어민주당]] [[이승천]] 후보가 등록하면서 불발됐다. 유 의원 측은 오히려 진정한 선택을 받을 수 있게되어 반갑게 생각한다며 이 후보의 출마를 환영했다.<ref>[http://news.donga.com/ISSUE/Vote2016/News?m=view&gid=77219423&date=20160325 유승민 ‘무투표 당선’ 불발…마감 30분전 등록한 후보는 누구?], 동아일보, 2016.03.25.</ref>


===서구===
===서구===
*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상중이동, 원대동
*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 비산1동, 비산2·3동, 비산4동, 비산5동, 비산6동, 비산7동, 평리1동, 평리2동, 평리3동, 평리4동, 평리5동, 평리6동, 상중이동, 원대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김상훈]] || || ||
|-
| 5 || 무소속 || [[서중현]] || || ||
|-
| 6 || 손창민 || [[손창민]] || || ||
|}


===북구갑===
===북구갑===
*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 고성동, 칠성동, 침산1동, 침산2동, 침산3동, 노원동, 산격1동, 산격2동, 산격3동, 산격4동, 복현1동, 복현2동, 대현동, 검단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정태옥]]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이현주]] || || ||
|-
| 3 || [[국민의당]] || [[최석민]] || || ||
|-
| 5 || 무소속 || [[권은희 (1959년)]] || || ||
|}


===북구을===
===북구을===
*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 무태조야동, 관문동, 태전1동, 태전2동, 구암동, 관음동, 읍내동, 동천동, 국우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양명모]] || || ||
|-
| 4 || [[정의당]] || [[조명래]] || || ||
|-
| 5 || [[친반평화통일당]] || [[박하락]] || || ||
|-
| 6 || 무소속 || [[홍의락]] || || ||
|}


===수성구갑===
===수성구갑===
*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김문수 (정치인)|김문수]] || 51,375 || {{퍼센트|숫자=예|37.69<!--퍼센트-->|#c8161d}}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부겸]] || 84,911 || {{퍼센트|숫자=예|62.30<!--퍼센트-->|#004ea2}} || 당선
|}
[[도지삽니다|{{--|도지사의 아이콘}}]] [[김문수 (정치인)|김문수]] 후보와 3수에 도전하는 [[김부겸]] 후보가 맞붙는다. 김문수가 적극적 수도권 규제 완화론자였던 탓에 지방으로 오면서 인식이 [[영 좋지 않다|영 좋지 못하게]] 되었고, 이 지역은 [[2014년 지방선거]] 때에도  [[김부겸]]을 적극 지지해줬던 등 김부겸이 당선될 가능성이 높게 점쳐졌다. 결과는 예상대로 김부겸 후보가 당선되었다.
투표함 개봉 과정에서 범어1동과 2동의 투표용지가 섞이는 사건이 발생하여 4시간 이상 개표가 지연되었다.


===수성구을===
===수성구을===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1동, 지산2동, 범물1동, 범물2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이인선]]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정기철]] || || ||
|-
| 5 || 무소속 || [[주호영]] || || ||
|}


===달서구갑===
===달서구갑===
*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
* 죽전동,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 이곡1동, 이곡2동, 신당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곽대훈]] || || ||
|-
| 5 || [[녹색당]] || [[변홍철]] || || ||
|}


===달서구을===
===달서구을===
*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도원동
* 월성1동, 월성2동, 진천동, 상인1동, 상인2동, 상인3동, 도원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윤재옥]] || || ||
|-
| 2 || [[더불어민주당]] || [[김태용]] || || ||
|}


===달서구병===
===달서구병===
*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본리동, 감삼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 성당동, 두류1·2동, 두류3동, 본리동, 감삼동, 송현1동, 송현2동, 본동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조원진]] || || ||
|-
| 5 || [[친반통일당]] || [[김부기]] || || ||
|-
| 6 || 무소속 || [[조석원]] || || ||
|}


===달성군===
===달성군===
*화원읍, 논공읍, 다사읍, 가창면, 하빈면, 옥포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화원읍, 논공읍, 다사읍, 가창면, 하빈면, 옥포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font-size: 90%;"
! 기호 !! 정당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당락
|-
| 1 || [[새누리당]] || [[추경호]] || || ||
|-
| 2 || [[더불어민주당]] || [[조기석]] || || ||
|-
| 5 || 무소속 || [[조정훈]] || || ||
|-
| 6 || 무소속 || [[구성재]] || || ||
|}


{{주석}}
{{주석}}
[[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분류: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