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서열화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대학 서열화'''는 대학 입학점수 따위의 수단을 이용하여 [[대학]]의 순서를 매기는 것을 뜻한다.
'''대학 서열화'''는 대학 입학점수 따위의 수단을 이용하여 [[대학]]의 순서를 매기는 것을 뜻한다.


8번째 줄: 9번째 줄:
또한, 학교의 경쟁력이 좋다고 해서 자신이 입학한 학과의 전망이 밝은 것은 아니며, 최근에는 제도적으로 지방에 소재한 대학교나 [[마이스터고]] 졸업생을 우대하도록 하고 있어 서열 높은 학교에 들어간다고 해서 딱히 좋은 건 아니다.<del>[[서울대학교]]라면 모르겠지만</del>
또한, 학교의 경쟁력이 좋다고 해서 자신이 입학한 학과의 전망이 밝은 것은 아니며, 최근에는 제도적으로 지방에 소재한 대학교나 [[마이스터고]] 졸업생을 우대하도록 하고 있어 서열 높은 학교에 들어간다고 해서 딱히 좋은 건 아니다.<del>[[서울대학교]]라면 모르겠지만</del>


진짜 문제는 이렇게 '''근거없는''' 서열화가 고착화되면서 사회적 인식까지 굳어져 버린 상황인데 이 덕분에 [[대학입시]]의 성패로 인한 결과물이 지나치게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교육시스템 자체가 [[입시위주 교육|입시위주]]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결국 교육계에서의 각종 폐단의 원인 중 하나로 크게 자리잡게 되어버린 점이다.
진짜 문제는 이렇게 '''근거없는''' 서열화가 고착화되면서 사회적 인식까지 굳어져 버린 상황인데 이 덕분에 [[대학입시]]의 성패로 인한 결과물이 지나치게 비정상적으로 커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교육시스템 자체가 [[입시위주 교육|입시위주]]로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 결국 교육계에서의 각종 폐단의 원인 중 하나로 크게 자리잡게 되어버린 점이다.


==각국의 대학 서열화 사례==
==각국의 대학 서열화 사례==
===대한민국===
===대한민국===
흔히 알고 있는 수도권 대학 서열은 인터넷 시대 이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용적으로 믿다가, [[2009년]]쯤에 [[디시인사이드]] [[수능  갤러리]]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중 대학 서열의 최상위에 속하는 [[SKY]]라 칭하는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는 인터넷 시대 이전에도 관용적으로 믿었던 대학서열이며, [[나무위키]]에서도 SKY 문서에 한해 대학 간 비교를 금지하는 조항을 삽입하여 겨우 복구되었다. 다만, 수능 갤러리에서 정리한 대학서열은 SKY를 제외한 나머지 인서울의 대학서열을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흔히 알고 있는 수도권 대학 서열은 인터넷 시대 이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관용적으로 믿다가, [[2009년]]쯤에 [[디시인사이드]] [[수능  갤러리]]에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중 대학 서열의 최상위에 속하는 [[SKY]]라 칭하는 [[서울대학교]]>[[연세대학교]]≒[[고려대학교]]는 인터넷 시대 이전에도 관용적으로 믿었던 대학서열이며, [[나무위키]]에서도 SKY 문서에 한해 대학 간 비교를 금지하는 조항을 삽입하여 겨우 복구되었다. 다만, 수능 갤러리에서 정리한 대학서열은 SKY를 제외한 나머지 인서울의 대학서열을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수도권, 그 중에서도 [[서울특별시]]에 있는 대학교가 무조권 상위에 올라간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서울 집중화 현상 때문에 그런 것인데, 예외로는 [[과학기술원]][[거점국립대학교]]가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수도권, 그 중에서도 [[서울특별시]]에 있는 대학교가 무조권 상위에 올라간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고질적인 서울 집중화 현상 때문에 그런 것인데, 예외라면 지방 거점 [[국립대학교]]([[지거국]]) 중 일부나 [[광역시]]권에 위치한 몇몇 사립대학교뿐이다. 그리고 그 사립대학교도 인수도권과 대등한 서열을 인정받는 수준에 불과하다. 그래서 보통 [[지잡대]]라 하면 지방 소도시나 군 혹은 읍·면 지역에 위치한 입학생이 부족하고 경쟁력이 없으며, 재정도 파탄 직전까지 간 대학교를 이르는 말이 일반적이지만, [[디시인사이드]] 등지에서는 지방의 대학교들은 싸그리 다 지잡대라고 폄하하는 게시물이 올라와서 그 학교에 다니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정부나 [[대교협]]과 같은 대학 협의체에서는 공식적으로 대학서열화 자체는 부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각종 정부지원 사업 선정이나 위원회 등이 구성되는 것을 보면 암묵적으로 이 대학 서열화와 관련한 내용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정부나 [[대교협]]과 같은 대학 협의체에서는 공식적으로 대학서열화 자체는 부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각종 정부지원 사업 선정이나 위원회 등이 구성되는 것을 보면 암묵적으로 이 대학 서열화와 관련한 내용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3번째 줄: 24번째 줄:
한국보다는 덜 하다고 하지만, 미국 역시 대학 서열화의 마수를 피하지 못했다(...). {{ㅊ|사실상 미국이 원조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한국보다는 덜 하다고 하지만, 미국 역시 대학 서열화의 마수를 피하지 못했다(...). {{ㅊ|사실상 미국이 원조라고 봐도 무리는 없다.}}


미국에서는 매년 [http://college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colleges US News] 에서 전국의 대학의 순위를 발표한다. 또 그 발표된 순위를 대학 홍보에도 곧장 이용하는 것을 봤을 때, 대학 서열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보다는 그냥 따라가는 경향이 많은듯. {{ㅊ|하지만 하버드 프린스턴 이런데서는 별로 신경 안쓰는듯}} {{ㅊ|오오 승리자의 위엄}} 다만 Liberal Arts College{{ㅈ|학부 위주로 넓은 분야의 교양 함양을 중점적으로 두는 학교.}} 와 Regional Universities{{ㅈ|쉽게 말하면 전국구는 아니고 지역구(...) 보통 박사학위보다는 학부+석사 교육을 중점적으로 둔다.}} 의 평가기준을 분리, 분야별로 다른 랭킹을 두기에 한국이나 일본과 같은 획일화된 서열화는 피하는 편.
미국에서는 매년 [http://colleges.usnews.rankingsandreviews.com/best-colleges US News] 에서 전국의 대학의 순위를 발표한다. 또 그 발표된 순위를 대학 홍보에도 곧장 이용하는것을 봤을 때, 대학 서열화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보다는 그냥 따라가는 경향이 많은듯. {{ㅊ|하지만 하버드 프린스턴 이런데서는 별로 신경 안쓰는듯}} {{ㅊ|오오 승리자의 위엄}} 다만 Liberal Arts College{{ㅈ|학부 위주로 넓은 분야의 교양 함양을 중점적으로 두는 학교.}} 와 Regional Universities{{ㅈ|쉽게 말하면 전국구는 아니고 지역구(...) 보통 박사학위보다는 학부+석사 교육을 중점적으로 둔다.}} 의 평가기준을 분리, 분야별로 다른 랭킹을 두기에 한국이나 일본과 같은 획일화된 서열화는 피하는 편.  


물론 수 많은 고등학교 카운슬러들과 교사들은 "대학 랭킹 그런건 전혀 의미가 없어요."라고 말은 한다만, 미국 사회에서도 역시 학부는 타이틀이 많이 중요하다. 다만 한국에 비해 무지막지하게 많은 대학의 숫자와 높은 교육 수준을 봤을 때, 한국보다는 대학 서열화로 인한 스트레스나 사회적 압박은 확실히 덜한 편. {{ㅊ|하지만 한인 부모들은 무조건 아이비리그 가라고 종용하지}} {{ㅊ|왜냐하면 다른 좋은 학교들도 많지만 이름을 모르거든.... 너무 많아...}}
물론 수 많은 고등학교 카운슬러들과 교사들은 "대학 랭킹 그런건 전혀 의미가 없어요."라고 말은 한다만, 미국 사회에서도 역시 학부는 타이틀이 많이 중요하다. 다만 한국에 비해 무지막지하게 많은 대학의 숫자와 높은 교육 수준을 봤을 때, 한국보다는 대학 서열화로 인한 스트레스나 사회적 압박은 확실히 덜한 편. {{ㅊ|하지만 한인 부모들은 무조건 아이비리그 가라고 종용하지}} {{ㅊ|왜냐하면 다른 좋은 학교들도 많지만 이름을 모르거든.... 너무 많아...}}
37번째 줄: 38번째 줄:


그래도 일본은 [[프리터]]라고 하여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려 나가도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는 데다가 [[서브컬처]] 시장도 탄탄해서 학벌이 나빠서 취직을 못 한다면 [[성우]]나 [[록]] 밴드 등 자신의 끼를 보일 수 있는 쪽으로 진로를 바꾸면서 삶을 개척할 수 있다.
그래도 일본은 [[프리터]]라고 하여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꾸려 나가도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는 데다가 [[서브컬처]] 시장도 탄탄해서 학벌이 나빠서 취직을 못 한다면 [[성우]]나 [[록]] 밴드 등 자신의 끼를 보일 수 있는 쪽으로 진로를 바꾸면서 삶을 개척할 수 있다.
=== 프랑스 ===
많은 사람들이 바깔로레아를 보고 프랑스는 역시 다르다, 프랑스는 학생의 됨됨이를 보고 대학에 입학시킨다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슬프게도 프랑스에도 대학 서열화가 존재한다. 바깔로레아 위의 '그랑제꼴'이 바로 그것. 높은 합격 난이도와 비싼 학비로 인해 대학에 합격하고 졸업하는데까지도 집안의 재력이 뒷받침되어야한다.


{{각주}}
{{각주}}


[[분류:대학입시]]
[[분류:대학입시]]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