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트로플러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4번째 줄: 34번째 줄:


== 역사 ==
== 역사 ==
회사 발촉은 1999년, 니트로플러스의 처녀작은 2000년 2월 25일에 발매된 [[Windows]]용 성인용 [[어드벤처 게임]] 《[[Phantom -PHANTOM OF INFERNO-]]》지만, 법인으로서는 2000년 6월에 설립되었다.
회사 발촉은 1999년, 니트로플러스의 처녀작은 2000년 2월 25일에 발매된 [[Windows]]용 성인용 [[어드벤처 게임]] 《[[Phantom -PHANTOM OF INFERNO-]]》지만, 법인으로서는 2000년 6월에 설립되었다.  


《[[Phantom -PHANTOM OF INFERNO-]]》는 홍보부의 삽질과 당시 미소녀 에로게 트렌드와 맞지 않아 많이 팔리지 않았고 그나마 팔린 것도 반송을 당해 부도위기에 몰렸으나 재평가를 받으면서 재주문이 폭주해 기사화생. 열혈과 액션, 어두운 스토리라인을 회사의 특징으로 삼으면서 여러 에로게들을 내놓다가 《[[참마대성 데몬베인]]》이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에로게 업계에서 입지를 얻는다. 덤으로 2005년에는 BL 게임 브랜드 [[니트로플러스 키랄]]을 설립, 키랄의 데뷔작 《[[토가이누의 피]]》가 대히트를 치면서 여성층에게도 인지도가 높아졌다.
《[[Phantom -PHANTOM OF INFERNO-]]》는 홍보부의 삽질과 당시 미소녀 에로게 트렌드와 맞지 않아 많이 팔리지 않았고 그나마 팔린 것도 반송을 당해 부도위기에 몰렸으나 재평가를 받으면서 재주문이 폭주해 기사화생. 열혈과 액션, 어두운 스토리라인을 회사의 특징으로 삼으면서 여러 에로게들을 내놓다가 《[[참마대성 데몬베인]]》이 대성공을 거둠으로써 에로게 업계에서 입지를 얻는다. 덤으로 2005년에는 BL 게임 브랜드 [[니트로플러스 키랄]]을 설립, 키랄의 데뷔작 《[[토가이누의 피]]》가 대히트를 치면서 여성층에게도 인지도가 높아졌다.
54번째 줄: 54번째 줄:
== 특징 ==
== 특징 ==
=== 작품 성향 ===
=== 작품 성향 ===
[[Key]], [[Leaf]], [[TYPE-MOON]]처럼 남성향 에로게에 매우 드문 스토리텔링 중심 에로게 개발사로 니트로플러스는 '''하드코어하고 어두운 스토리라인, 멘탈을 갈아버리는 처절한 플롯'''이 주 테마로 장르 또한 [[하드보일드]], [[포스트 아포칼립스]]나 마피아, [[사이버펑크]] 같이 연애 게임 및 에로게 쪽에서는 비주류인 장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겉으로 밝아보이는 작품들도 암울한 요소가 깔려있거나 반전식으로 어두운 전개로 나가기도 한다.
[[Key]], [[Leaf]], [[TYPE-MOON]]처럼 남성향 에로게에 매우 드문 스토리텔링 중심 에로게 개발사로 니트로플러스는 '''하드코어하고 어두운 스토리라인, 멘탈을 갈아버리는 처절한 플롯'''이 주 테마로 장르 또한 [[하드보일드]], [[포스트 아포칼립스]]나 마피아, [[사이버펑크]] 같이 연애 게임 및 에로게 쪽에서는 비주류인 장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겉으로 밝아보이는 작품들도 암울한 요소가 깔려있거나 반전식으로 어두운 전개로 나가기도 한다.  


작풍이 이렇다보니 주인공과 히로인은 시작부터 끝까지 처절하게 구르거나 배드 엔딩 루트에서는 사망, 죽는 것이 나을 정도로 험한 꼴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초창기부터 활동하면서 니트로플러스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기여를 한 우로부치 겐의 지명도가 높아서 그렇지 다른 소속 시나리오 라이터들도 우로부치 못지 않게 암울한 스토리와 처절한 플롯들을 곧잘 사용한다. 특히 《[[하나치라스]]》와 《[[장갑악귀 무라마사]]》의 시나리오 라이터인 [[나라하라 잇테츠]]는 우로부치보다 더하다는 평가를 들었으며, 키랄의 간판 작가이자 여성 시나리오 라이터인 [[후치이 카부라]]도 남성향에서도 논란이 있는데 여성향에서는 아예 비주류로 취급되는 유혈과 하드코어한 전개를 즐겨 사용한다. 회사의 대표작인 《[[사야의 노래]]》와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작품 《[[토가이누의 피]]》의 [[케이스케 (토가이누의 피)|특정 엔딩]]으로 인해 유혈, 고어물 전문 회사라는 오해가 있기도 하나 순수 고어물 비중은 낮은 편이다.
작풍이 이렇다보니 주인공과 히로인은 시작부터 끝까지 처절하게 구르거나 배드 엔딩 루트에서는 사망, 죽는 것이 나을 정도로 험한 꼴을 당하는 경우가 많다. 초창기부터 활동하면서 니트로플러스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기여를 한 우로부치 겐의 지명도가 높아서 그렇지 다른 소속 시나리오 라이터들도 우로부치 못지 않게 암울한 스토리와 처절한 플롯들을 곧잘 사용한다. 특히 《[[하나치라스]]》와 《[[장갑악귀 무라마사]]》의 시나리오 라이터인 [[나라하라 잇테츠]]는 우로부치보다 더하다는 평가를 들었으며, 키랄의 간판 작가이자 여성 시나리오 라이터인 [[후치이 카부라]]도 남성향에서도 논란이 있는데 여성향에서는 아예 비주류로 취급되는 유혈과 하드코어한 전개를 즐겨 사용한다. 회사의 대표작인 《[[사야의 노래]]》와 니트로플러스 키랄의 작품 《[[토가이누의 피]]》의 [[케이스케 (토가이누의 피)|특정 엔딩]]으로 인해 유혈, 고어물 전문 회사라는 오해가 있기도 하나 순수 고어물 비중은 낮은 편이다.
83번째 줄: 83번째 줄:
*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PS2판 《[[기신포후 데몬베인]]》의 애니메이션판은 심각한 작화 붕괴와 후반부 갑작스런 급전개로 허겁지겁 결말을 내고 종영했다. DVD 판매량도 저조했는데 마지막 권만 니트로플러스 스태프가 만든 3D CG 영상이 들어가 그나마 높게 나왔다.
*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PS2판 《[[기신포후 데몬베인]]》의 애니메이션판은 심각한 작화 붕괴와 후반부 갑작스런 급전개로 허겁지겁 결말을 내고 종영했다. DVD 판매량도 저조했는데 마지막 권만 니트로플러스 스태프가 만든 3D CG 영상이 들어가 그나마 높게 나왔다.
* [[곤조]]와 합작으로 만든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 《[[BLASSREITER]]》는 잘 나가나 싶더니 곤조의 징크스가 발동해 후반부 급전개, 끝내 [[용두사미]] 결말을 내놓았다.
* [[곤조]]와 합작으로 만든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인 《[[BLASSREITER]]》는 잘 나가나 싶더니 곤조의 징크스가 발동해 후반부 급전개, 끝내 [[용두사미]] 결말을 내놓았다.
* 팬텀 오브 인페르노를 리메이크한 [[레퀴엠 포 더 팬텀]]은 그나마 준수하게 나간다 싶더니 마지막화에서 원작 팬덤에게 충격적인 반전을 선사했다. 그러나 팬텀 팬덤을 제외하면 그닥 화제는 되지 못해 광매체 판매량은 그저 그렇게 나왔다.
* 팬텀 오브 인페르노를 리메이크한 [[레퀴엠 포 더 팬텀]]은 그나마 준수하게 나간다 싶더니 마지막화에서 원작 팬덤에게 충격적인 반전을 선사했다. 그러나 팬텀 팬덤을 제외하면 그닥 화제는 되지 못해 광매체 판매량은 그저 그렇게 나왔다.  


이 때문에 니트로플러스 소속 스태프도 후기에 항상 자학을 하고 다니며 팬디스크에서 돌려까기도 한다. 그리고 이 애니화 징크스는 [[니트로플러스 키랄]]도 똑같이 계승한 나머지 [[토가이누의 피]]와 [[DRAMAtical Murder]]의 애니메이션판도 저퀄리티로 망해버렸다.
이 때문에 니트로플러스 소속 스태프도 후기에 항상 자학을 하고 다니며 팬디스크에서 돌려까기도 한다. 그리고 이 애니화 징크스는 [[니트로플러스 키랄]]도 똑같이 계승한 나머지 [[토가이누의 피]]와 [[DRAMAtical Murder]]의 애니메이션판도 저퀄리티로 망해버렸다.
92번째 줄: 92번째 줄:
에로게 개발사들중 저작권 관리에 대해 매우 엄격해서 [[2차 창작]]은 물론이고 동인 상품 규제를 자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외에 자사 게임의 외국어 패치도 막는 편인데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비공식 유저 한국어 패치는 니트로플러스가 직접 제재해 중단되었다. 그러나 2차 창작 가이드라인은 도를 넘은 나머지 비판을 받고 동인지는 해당이 안 된다며 해명 및 수정을 했다.
에로게 개발사들중 저작권 관리에 대해 매우 엄격해서 [[2차 창작]]은 물론이고 동인 상품 규제를 자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외에 자사 게임의 외국어 패치도 막는 편인데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비공식 유저 한국어 패치는 니트로플러스가 직접 제재해 중단되었다. 그러나 2차 창작 가이드라인은 도를 넘은 나머지 비판을 받고 동인지는 해당이 안 된다며 해명 및 수정을 했다.


그러나 소속 일러스트레이터인 [[나마니쿠 ATK]]는 아마추어가 아닌 프로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필명으로 《진격의 거인》 등 유명한 작품의 2차 창작 에로 동인지를 내고 있으며 니트로플러스도 [[도검난무]] 무단 트레이싱 표절 사태때 직접 외주를 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참고랍시고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합의도 안보고 준 전적이 있어서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게이머들에겐 [[이중잣대]]로 비판을 받고 있다.
그러나 소속 일러스트레이터인 [[나마니쿠 ATK]]는 아마추어가 아닌 프로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필명으로 《진격의 거인》 등 유명한 작품의 2차 창작 에로 동인지를 내고 있으며 니트로플러스도 [[도검난무]] 무단 트레이싱 표절 사태때 직접 외주를 준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참고랍시고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합의도 안보고 준 전적이 있어서 이 사실을 알고 있는 게이머들에겐 [[이중잣대]]로 비판을 받고 있다.  


사실 니트로플러스도 행보를 보면 감이 오겠지만 저작권 관리는 도덕적 정의가 아닌 돈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해외 정발 가능성이 없거나 제재를 해봤자 딱히 이익이 안오는 작품들은 불법 공유를 하던, 외국어 패치를 하던 공식과 흡사한 동인 상품이 나오던 내비두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니트로플러스가 데몬베인과 슈타인즈 게이트의 한국어 패치를 막은건 데몬베인 소설판 시리즈와 슈타인즈 게이트가 한국에 정발되었거나 정발 예정이 있었기때문이고 정발 가능성은 커녕 이익조차 없는 자사 제작 게임 일부와 키랄제 BL 게임들은 제재를 전혀 안하고 있다. 아예 손을 놓았다기보다는 대부분 게임들이 발매된 지 오래되었고 성인 게임이다보니 제재하기가 힘들어서 방치하는 것에 가깝다.
사실 니트로플러스도 행보를 보면 감이 오겠지만 저작권 관리는 도덕적 정의가 아닌 돈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해외 정발 가능성이 없거나 제재를 해봤자 딱히 이익이 안오는 작품들은 불법 공유를 하던, 외국어 패치를 하던 공식과 흡사한 동인 상품이 나오던 내비두고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니트로플러스가 데몬베인과 슈타인즈 게이트의 한국어 패치를 막은건 데몬베인 소설판 시리즈와 슈타인즈 게이트가 한국에 정발되었거나 정발 예정이 있었기때문이고 정발 가능성은 커녕 이익조차 없는 자사 제작 게임 일부와 키랄제 BL 게임들은 제재를 전혀 안하고 있다. 아예 손을 놓았다기보다는 대부분 게임들이 발매된 지 오래되었고 성인 게임이다보니 제재하기가 힘들어서 방치하는 것에 가깝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