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蘆原區 / {{ㅊ|No One}}Nowon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개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


==역사==
==역사==
[http://www.nowon.kr/child/child.jsp?mid=632201 역사 관련 출처]
[http://www.nowon.kr/child/child.jsp?mid=632201 역사 관련 출처]
노원(蘆原)은 넓은 평야지대에 갈대밭이 많았다. 이를 감안하여 갈대노(蘆), 벌판원(原)을 써서 '노원'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역사문헌 등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부터 '노원'이라고 불리게 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노원'이라고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이 지역이 교통의 연결 역할을 하는 역의 기능이 컸던 관계로 주로 '노원역'으로 표기되었다.
노원(蘆原)은 넓은 평야지대에 갈대밭이 많았다. 이를 감안하여 갈대노(蘆),벌판원(原)을 써서 '노원'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역사문헌 등 기록에 의하면 고려시대부터 '노원'이라고 불리게 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노원'이라고 단독으로 쓰이기보다는 이 지역이 교통의 연결 역할을 하는 역의 기능이 컸던 관계로 주로 '노원역'으로 표기되었다.


'노원'이라는 명칭은 고려 초기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양주군 노원면)되었다가, 일제시대인 [[1914년]] [[4월 1일]]에 행정구역 변경으로 노원면과 해등촌면을 통합한 '노해면(蘆海面)'이 되면서 사라졌다. 노해면 역시 1963년 서울특별시 [[성북구]]로 편입되면서 그 명칭이 사라졌다.
'노원'이라는 명칭은 고려 초기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 사용되었다가, 일제시대인 1914년 4월 1일에 행정구역 변경으로 노원면과 해등촌면을 통합한 '노해면(蘆海面)'이 되면서 사라졌다. 노해면 역시 훗날 도봉구로 편입되면서 그 명칭이 사라졌다.


노원지역은 [[1988년]] [[1월]] 1일 행정구역 재조정으로 [[도봉구]]에서 분구하여 현재의 노원구로 탄생하였는데 자치구가 되면서 구 이름을 노원구 일대의 옛 지명인 양주군 노원면에서 따와 '노원'으로 정하였다.
노원지역은 [[1988년]] 1월 1 일 행정구역 재조정으로 [[도봉구]]에서 분구하여 현재의 노원구로 탄생하였는데 자치구가 되면서 구 이름을 옛날부터 불러왔던 이 지역 특성을 잘 표현한 '노원'으로 정하였다.


==행정구역==
==행정구역==
[[파일:01-11-nowon-ko.svg|400px|thumb|행정구역도]]
노원구는 5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동]]은 19개로 구성되어있다. 대도시지역의 특성상 법정동보다 행정동 숫자가 더 많은 것. 여기서는 법정동과 법정동을 실제로 관리하는 행정동의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노원구는 5개의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행정동]]은 19개로 구성되어 있다. 대도시지역의 특성상 법정동보다 행정동 숫자가 더 많은 것. 여기서는 법정동과 법정동을 실제로 관리하는 행정동의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월계동 : 월계 1, 2, 3동
*[[월계동]] : 월계 1, 2, 3동
*공릉동 : 공릉 1, 2동
*[[공릉동]] : 공릉 1, 2동
*하계동  :하계 1, 2동
*[[하계동]] :하계 1, 2동
*중계동 : 중계본동, 중계1, 2, 3, 4동
*[[중계동]] : 중계본동, 중계1, 2, 3, 4동
*상계동 : 상계 1, 2, 3, 4, 5 6, 7, 8, 9, 10동(원래 상계동이 좀 넓긴 하다)
*[[상계동]] : 상계 1, 2, 3, 4, 5 6, 7, 8, 9, 10동(원래 상계동이 좀 넓긴 하다)


==자연환경==
==자연환경==
*구의 서편으로 [[중랑천]]이 거의 대부분의 경계를 이룬다. 다만 월계동지역은 [[중랑천]] 서편에 위치한 일종의 월경지이다.
*구의 서편으로 [[중랑천]]이 거의 대부분의 경계를 이룬다. 다만 월계동지역은 [[중랑천]] 서편에 위치한 일종의 월경지이다.
*구의 북동편으로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의 바위산들이 경기도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3개 산은 산 전체가 화강암 덩어리이며, 높이 자체는 그렇게 높은 산은 아니지만 등산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산들에 해당한다. 특히 산행하다 사고나면 옆동네의 북한산 다음으로 산악사고가 많이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구의 북동편으로 [[도봉산]], [[수락산]], [[불암산]]의 바위산들이 경기도 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이 3개 산은 산 전체가 화강암 덩어리이며, 높이 자체는 그렇게 높은 산은 아니지만 등산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산들에 해당한다. 특히 산행하다 사고나면 옆동네의 북한산 다음으로 산악사고가 많이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불암산쪽 산자락 동네들을 제외하면 구 전체가 거의 평지에 가까운 지형을 가지고 있다. 노원구는 과거 마들평야라고 불리기도 하던 지역이며, 이런 평지 지형 덕분에 도시계획이 꽤 수월한 편에 속했었다. 물론 너무 수월해서 [[노원역]]의 환승이 [[막장환승]]이 되어버린 것이 [[함정]].
*불암산쪽 산자락 동네들을 제외하면 구 전체가 거의 평지에 가까운 지형을 가지고 있다. 노원구는 과거 마들평야라고 불리기도 하던 지역이며, 이런 평지 지형 덕분에 과거 [[중랑천]]이 범람할 경우 홍수피해를 입던 지역이기도 했다.


==교육==
==교육==
노원구는 강북지역에서 교육특화도시를 내세우고 있는 곳이다. 이 곳의 은행사거리는 강북에서 가장 유명한 사교육 특구라고 해도 될 정도이다. 다만, 강남과의 수준차이는 있는데, 강남쪽은 그냥 옵션으로 뭔가를 더 붙이는 느낌이라면 노원구는 교육 빼고는 답이 없다는 느낌으로 거의 올인하다시피 하는 수준의 차이는 있다.
===초등교육기관===
===초등교육기관===
===중등교육기관===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공릉중학교]], [[광운중학교]], [[노원중학교]], [[노일중학교]], [[녹천중학교]], [[불암중학교]], [[상경중학교]], [[상계중학교]], [[상계제일중학교]], [[상명중학교]], [[상원중학교]], [[수락중학교]], [[신상중학교]], [[신창중학교]], [[염광중학교]], [[온곡중학교]], [[월계중학교]], [[을지중학교]], [[재현중학교]], [[중계중학교]], [[중원중학교]], [[중평중학교]], [[청원중학교]], [[태랑중학교]], [[하계중학교]], [[한국삼육증학교]], [[한천중학교]]
*고등학교 :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광운전자공업고등학교]], [[노원고등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대진고등학교]], [[대진여자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불암고등학교]], [[상계고등학교]], [[상명고등학교]], [[서라벌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수락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영신여자고등학교]], [[염광고등학교]], [[염광여자메디텍고등학교]], [[용화여자고등학교]], [[월계고등학교]], [[인덕공업고등학교]], [[재현고등학교]], [[청암고등학교]], [[청원고등학교]], [[청원여자고등학교]], [[한국삼육고등학교]], [[혜성여자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국립대학교]]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특별법 설립대학]]인 [[육군사관학교]]가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하고 있다.
[[국립대학교]]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특별법 설립대학]]인 [[육군사관학교]]가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하고 있다.
41번째 줄: 36번째 줄:
===철도===
===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이 노원구를 지나간다. 문제는 이 두 노선이 만나는 [[노원역]]이 [[막장환승]]의 본좌급에 해당하는 역이라는 것. 이외에 [[태릉입구역]]에서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환승가능하며,  [[중랑천]]건너편의 사실상 월경지인 석관동쪽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만나 [[석계역]]에서 환승을 할 수 있다. 여담으로 [[석계역]]쪽은 일반도로와 거기에 딸린 고가도로, [[북부간선도로]], 우이천, [[동부간선도로]] 1호선, 6호선등이 한꺼번에 만나는 교통의 상막장 지역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이 노원구를 지나간다. 문제는 이 두 노선이 만나는 [[노원역]]이 [[막장환승]]의 본좌급에 해당하는 역이라는 것. 이외에 [[태릉입구역]]에서 [[서울 지하철 6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이 환승가능하며,  [[중랑천]]건너편의 사실상 월경지인 석관동쪽으로는 [[서울 지하철 1호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이 만나 [[석계역]]에서 환승을 할 수 있다. 여담으로 [[석계역]]쪽은 일반도로와 거기에 딸린 고가도로, [[북부간선도로]], 우이천, [[동부간선도로]] 1호선, 6호선등이 한꺼번에 만나는 교통의 상막장 지역이다.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월계역]], [[광운대역]], [[석계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당고개역]], [[상계역]], [[노원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태릉입구역]], [[화랑대역]]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수락산역]], [[마들역]],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도로===
===도로===
[[3번 국도]]에 해당하는 [[동일로]]가 남북으로 노원구를 관통하여 남쪽으로는 [[중랑구]], 북쪽으로는 [[의정부시]]와 연결된다. 구 바깥쪽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나지만 노원구에서 직접 연결되는 곳은 [[의정부 IC]]가 유일한 상태. 나머지 지역은 죄다 타 지역으로 나가야 한다. {{ㅊ|이게 모두 [[불암산]] 때문}}
[[국도 3호선]]에 해당하는 동일로가 남북으로 노원구를 관통하여 남쪽으로는 [[중랑구]], 북쪽으로는 [[의정부시]]와 연결된다. 구 바깥쪽으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나지만 노원구에서 직접 연결되는 곳은 [[의정부 IC]]가 유일한 상태. 나머지 지역은 죄다 타 지역으로 나가야 한다. {{ㅊ|이게 모두 [[불암산]] 때문}}


위의 문단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석계역 인근은 도로 구조 자체가 [[헬게이트]] 그 자체이다. 일정한 계획을 가지고 도로와 철도가 놓여진 것이 아니라 도시의 확장에 따라 그때그때 구조물을 설치하다 보니 나온 처참한 결과. 거기다가 자연하천인 우이천까지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바람에 이러한 혼잡도가 더 가중된다. 문제는 이 석계역으로 들어오는 화랑로는 [[남양주시]]와 서울을 연결해 주는 몇 안 되는 교통로라는 것. 좀 웃긴 것은 화랑로는 러시아워 때 출퇴근 방향이 일반적인 인식과는 반대로 간다는 것. 이러한 현상은 퇴근시간에 득히 두드러지는데 이는 강남이나 성남, 수원지역에서 퇴근한 차량들이 노원으로 오는 주요 통로 중 하나가 바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리 IC]]-[[북부간선도로]]-화랑로 코스이기 때문. 거기다가 공릉터널쪽 방향으로의 도로는 아예 병목현상이 일어나도록 설계가 잘못되어 있어서 여기와 연결된 묵동IC의 교통체증을 더더욱 가장시키는 효과가 발생한다.
위의 문단에서도 잠시 언급했지만, 석계역 인근은 도로 구조 자체가 [[헬게이트]] 그 자체이다. 일정한 계획을 가지고 도로와 철도가 놓여진 것이 아니라 도시의 확장에 따라 그때그때 구조물을 설치하다 보니 나온 처참한 결과. 거기다가 자연하천인 우이천까지 바로 옆으로 지나가는 바람에 이러한 혼잡도가 더 가중된다. 문제는 이 석계역으로 들어오는 화랑로는 [[남양주시]]와 서울을 연결해 주는 몇 안되는 교통로라는 것.
====버스====
====버스====
=====간선버스=====
*[[서울 버스 100]]
*[[서울 버스 102]]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지선버스=====
*[[서울 버스 1224]]
*[[서울 버스 1227]]
=====마을버스=====
*[[서울 버스 노원01]]
*[[서울 버스 노원02]]
*[[서울 버스 노원03]]
*[[서울 버스 노원04]]
*[[서울 버스 노원05]]
*[[서울 버스 노원08]]
*[[서울 버스 노원09]]
*[[서울 버스 노원11]]
*[[서울 버스 노원13]]




{{각주}}
----
[[분류:서울특별시의 행정구역]]
{{주석}}
[[분류:노원구| ]]
{{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