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네이버 (기업)|포털 사이트|이 사이트을 운영하는 회사}}
{{다른 뜻|네이버 (기업)|포털 사이트|이 사이트을 운영하는 회사}}
{{웹사이트 정보
{{웹사이트 정보
|이름     = 네이버
| 이름         = 네이버
|원어이름 =
| 패비콘     =naver_favicon.png
|패비콘   = naver_favicon.png
| 로고         =Naver Logotype.svg
|로고     = [[파일:Naver Logotype.svg|150px]]
| 로고 설명 =네이버의 로고
|그림     = [[파일:Naver spot.jpg|150px]]
| 그림         =Naver spot.jpg
|그림설명 =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 그림 설명 =서울 나들목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br/>[[질풍기획|어떤 웹툰]]에선 녹색거탑이라 카더라
|URL      = [https://www.naver.com/ NAVER]
| 그림 크기 =
|종류     = [[포털 사이트]]
| 표어          =
|운영    =
| 종류         = [[포털 사이트]]
|제작    =  
| 회원 가입 = 선택적
|언어     = [[한국어]]
| 언어 = [[한국어]]
|시작일   = 1998년 6월 1일
| 영리 여부 = 영리
|종료일   =  
| 시작일     =  
|회원가입 = 선택적
| 종료일     =
|라이선스 =  
| 소유자      = [[네이버 (기업)|주식회사 네이버]]
|영리여부 = 영리
| 제작자      =
|작성언어 =  
| 현재 상태 = 운영중
|비고    =  
| 주소          =  
}}
[http://www.naver.com/ NAVER]<br/>
[http://m.naver.com/ 모바일 네이버]<br/>
[http://demo.ad.naver.com/viewsample?sampleId=PMXryb8Rd5k$2$/ 2006년 당시 네이버 (작동 중)]<br/>
[http://demo.ad.naver.com/viewsample?sampleId=qbTRAtQBEI4%3D/ 2008년 당시 네이버 (작동하지 않음)]}}
'''네이버'''(NAVER)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다.
'''네이버'''(NAVER)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다.


== 개요 ==
== 개요 ==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383126 관련기사]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88%라는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약 34%)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InternetTrend™]
{{ㅊ|나베르}}
<s> 더 이상은 Naver... </s>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 홈페이지는 검색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다른 서비스는 바로 안 보이게 해둔 데 반해,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참 다양하지만,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3&docId=59852384&qb=64KY67Kg66W0&enc=utf8&section=kin&rank=1&sort=0&spq=0&pid=fGvJCsoi5T8ssaMv5uwsss--199625&sid=S4DTgRPMgEsAAHObL2Y (...)]


== 역사 ==
[[네이버 (기업)|주식회사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 {{날짜/출력|1998-12-12}}날 시작되었다. [[2015년]] 현재 대한민국의 명실상부한 최대 규모의 포털사이트이다. 국내 점유율은 [[2012년]] 75.87%로 거의 넘사벽급으로 앞서고 있다.(참고로 [[다음|다음(Daum)]]의 점유율은 [[2012년]] 15.34%, [[구글|구글(Google)]]의 점유율은 [[2012년]] 5.43%이다.) 그리고 지금 현재에도 다른 포털사이트의 점유율을 뺏어먹으며 꾸준히 상승 중이다.{{ㅊ|이쯤되면 [[독과점]]을 우려해야 할 정도다}} {{ㅊ|아니 독과점 맞다}}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 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215668 관련기사]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06359 관련기사]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001249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14144 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은 검색 기능에 몰빵을 한 반면에,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네이버 하나로 거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의 서비스 종류가 참 다양한데, 네이버가 발전하면서 없어진 {{ㅊ|흑역사}}서비스들도 많다.


== 서비스 ==
최초에는 [[삼성]] 내의 계열사로 시작했다가 독립했다고 한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점유율을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참고|네이버/서비스}}


== 기능 및 팁 ==
== 역사 ==
[[추가바람]]


=== 검색옵션과 상세검색 ===
== 서비스 ==
검색옵션은 검색결과 창에서 …를 누르면 보이며, 검색결과 정렬 방식과 기간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정렬은 관련도순과 최신순으로 나뉜다. 기간 옵션은 기본적으로 전체, 1시간, 1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을 지원하고, 직접입력으로 들어가서 1990년 1월 1일부터 당일 날짜 사이 중 기간을 정할 수 있다.
{|
|
*[[네이버 메일]]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웹소설]]
*[[네이버 웹툰]]
*[[네이버 지도]]
|
*[[네이버 지식인]]
*[[네이버 지식쇼핑]]
*[[네이버 카페]]
*[[네이버 포스트]]
*[[네이버 N드라이브]]
|
*[[네이버 N스토어]]
*[[네이버 소프트웨어]]
*[[네이버 TV 캐스트]]
*[[네이버 앱스토어]]
|}


상세검색은 검색 연산자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4가지 연산자를 지원한다.
===사라진 서비스===
*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큰따옴표("")
* 마이홈 : [[2000년]]대 초반 홈페이지 만들기 붐이 일던 당시 있었던 서비스. 약 10MB정도의 홈페이지 용량을 제공하였었다. 당시 html코드를 어떻게든 익혀본 사람이 있는 사람들이 사용한 종착점. 해당 서비스는 블로그를 서비스하면서 문을 닫게 되었다.
*:예시 <code>"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일치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큰따옴표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 플러스(+)
*:예시 <code>+포함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포함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플러스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제외하는 단어: 마이너스(-)
*:예시 <code>기본검색어 -제외검색어</code> 참고로 다른 단어 없이 <code>-검색어</code> 이런 식으로 쓰면 <code>검색어</code>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아예 결과를 내지 않는 구글과는 다른 점.
* 입력한 단어를 하나 이상 포함: 수직선 (|)
*:예시 <code>기본검색어 | 포함검색어1 | 포함검색어2</code> 포함할 단어 앞에 수직선 기호를 넣는데, 수직선 기호 앞뒤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 다이렉트 검색 ===
* 네이버 백신 모바일 : 서비스 존속기간은 [[2012년#7월|2012년 7월]] ~ [[2014년#4월|2014년 4월]]이다. [[라인]]이 모바일 백신 사업을 물려받았다.<ref>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421&aid=0001247811</ref>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기능을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ref>[[구글]]이나 [[덕덕고]] 등 다른 포털사이트에도 비슷한 기능이 존재한다.</ref> 네이버는 기존에도 편의성 증진을 위해 생활검색 기능을 두고 있었으며, 2005년 4월 14일에 기능을 추가, 개명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974540 관련기사] 네이버에서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엄밀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도구 모음[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F%84%EA%B5%AC+%EB%AA%A8%EC%9D%8C 모바일]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 {{ㅊ|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도구 모음뿐 아니라 다른 도구들에서도 PC와 모바일 웹 및 공식 모바일 앱에서 UI가 약간씩 다르거나, 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한 도구가 존재한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


;계산기 목록
:계산기, 퍼센트 계산기, 이자 계산기, 학점 계산기, 각자내기 계산기, 관부가세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칼로리 계산기
;달력/날짜계산 목록
:달력, 양음력 변환기, 날짜 계산기, 전역일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배란일 계산기
;단위변환/측정 목록
:단위 변환기(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 각도기
;생활정보 목록
:로또6/45, 연금복권720+
:우편번호, 지역번호, 영문주소 검색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택배 배송 조회
:네이버 시계
:기차 승차권 예매, 고속버스 시간표
;간단게임
:가위바위보 게임, 당첨자 추첨, 사다리게임, 원판돌리기,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화살표돌리기, 포춘쿠키, 난센스 퀴즈
;세계정보 목록
:세계시간, 국가번호, Papago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 색상 팔레트
* 증권정보
==여담==
* 2016년 2월 21일 기준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ref>2016년 3월 기준,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ref>[http://v.sports.media.daum.net/v/20171020103349359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 제휴 종료로 인해 해당 링크로 기사를 볼 수 없다.</ref>
* 2023년 5월 17일 PC와 모바일의 UI를 통합하였다. [https://campaign.naver.com/naverdetails/newpc/?pcode=naver_pcanniversary PC답게, 때론 모바일처럼]. 모바일 위주로 통합하였기 때문에 PC를 기준으로 예전에 [[口]] 모양이었던 양쪽 공간이 중앙의 [[凸]] 자처럼 몰려 시선의 가독성이 나빠졌다. PC 사용자의 위와 좌우부터 먼저 본 다음 중앙과 아래를 향하는 습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점이 있다.<ref>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중앙으로 모이기 쉬워 시청 시 눈의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여 안압이 평상시보다 다소 강해져 무리가 간다. {{뉴스 인용|제목=잠자기 전 불 끄고 폰 본다?…"실명할 수 있다" 의사 경고 왜|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3377#home|뉴스=중앙일보|저자=권선미|인용문=|언어=|확인날짜=2023-05-17|날짜=2022-03-07}}</ref>
* 2023년 5월 30일 기준 이미지 검색의 제공 수의 편차가 생겼다. 이전에는 편차 없이 6페이지 정도, 당시 기준 1페이지부터 6페이지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제공 수가 줄어드는 검색 알고리즘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
{{각주}}
{{각주}}
[[분류:검색 엔진]]
[[분류:검색 엔진]]
[[분류:포털 사이트]]
[[분류:포털 사이트]]
[[분류:네이버| ]]
[[분류:네이버| ]]
{{한국의 포털 사이트}}
{{검색 엔진}}
{{네이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