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그림    = [[파일:Naver spot.jpg|150px]]
|그림    = [[파일:Naver spot.jpg|150px]]
|그림설명 =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그림설명 =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URL      = [https://www.naver.com/ NAVER]
|URL      = [http://www.naver.com/ NAVER]
|종류    = [[포털 사이트]]
|종류    = [[포털 사이트]]
|운영    =  
|운영    =  
|제작    =  
|제작    =  
|언어    = [[한국어]]
|언어    = [[한국어]]
|시작일  = 1998년 6월 1일
|시작일  =  
|종료일  =  
|종료일  =  
|회원가입 = 선택적
|회원가입 = 선택적
23번째 줄: 2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383126 관련기사]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88%라는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약 34%)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InternetTrend™]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3&docId=59852384&qb=64KY67Kg66W0&enc=utf8&section=kin&rank=1&sort=0&spq=0&pid=fGvJCsoi5T8ssaMv5uwsss--199625&sid=S4DTgRPMgEsAAHObL2Y]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 홈페이지는 검색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다른 서비스는 바로 안 보이게 해둔 데 반해,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다양하지만,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네이버 (기업)|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83126]에 시작되었다.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 (88%)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 (약 34%) 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ref>[http://www.internettrend.co.kr/trendForward.tsp InternetTrend™]</ref>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검색 기능에 몰빵을 한 반면에,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네이버 하나로 거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의 서비스 종류가 다양한데, 네이버가 발전하면서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 역사 ==
== 역사 ==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 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215668 관련기사]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506359 관련기사]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215668]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383126]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1&aid=0004506359]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8/0000001249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0214144 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데는 성공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01249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0214144]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 서비스 ==
== 서비스 ==
{{참고|네이버/서비스}}
{{참고|네이버/서비스}}


== 기능 및 팁 ==
=== 네이버 도구 ===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다.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바로 제공한다는 것이 다른 서비스와 다른 점이다.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도구들은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세세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
=== 검색옵션과 상세검색 ===
검색옵션은 검색결과 창에서 …를 누르면 보이며, 검색결과 정렬 방식과 기간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정렬은 관련도순과 최신순으로 나뉜다. 기간 옵션은 기본적으로 전체, 1시간, 1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을 지원하고, 직접입력으로 들어가서 1990년 1월 1일부터 당일 날짜 사이 중 기간을 정할 수 있다.
 
상세검색은 검색 연산자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4가지 연산자를 지원한다.
*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큰따옴표("")
*:예시 <code>"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일치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큰따옴표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 플러스(+)
*:예시 <code>+포함검색어</code>, <code>기본검색어 +포함검색어</code>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플러스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제외하는 단어: 마이너스(-)
*:예시 <code>기본검색어 -제외검색어</code> 참고로 다른 단어 없이 <code>-검색어</code> 이런 식으로 쓰면 <code>검색어</code>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아예 결과를 내지 않는 구글과는 다른 점.
* 입력한 단어를 하나 이상 포함: 수직선 (|)
*:예시 <code>기본검색어 | 포함검색어1 | 포함검색어2</code> 포함할 단어 앞에 수직선 기호를 넣는데, 수직선 기호 앞뒤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 다이렉트 검색 ===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기능을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ref>[[구글]]이나 [[덕덕고]] 등 다른 포털사이트에도 비슷한 기능이 존재한다.</ref> 네이버는 기존에도 편의성 증진을 위해 생활검색 기능을 두고 있었으며, 2005년 4월 14일에 기능을 추가, 개명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0974540 관련기사] 네이버에서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엄밀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도구 모음[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F%84%EA%B5%AC+%EB%AA%A8%EC%9D%8C 모바일]
;도구 모음[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F%84%EA%B5%AC+%EB%AA%A8%EC%9D%8C 모바일]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 {{ㅊ|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 여담으로, 도구 모음뿐 아니라 다른 도구들에서도 PC와 모바일 웹 및 공식 모바일 앱에서 UI가 약간씩 다르거나, 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한 도구가 존재한다.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ㅊ|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이다. 링크를 달 만한 특징이 있는 것들에는 링크를 걸었다.


;계산기 목록
계산기 목록
:계산기, 퍼센트 계산기, 이자 계산기, 학점 계산기, 각자내기 계산기, 관부가세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칼로리 계산기
* 계산기
;달력/날짜계산 목록
*:일반 계산기. PC 버전이나 모바일 버전이나 오프라인으로도 쓸 수 있는 내장 계산기에 밀린다. 다만 다른 기업의 내장 계산기와 기능이 완전히 같지는 않다.
:달력, 양음력 변환기, 날짜 계산기, 전역일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배란일 계산기
* 퍼센트계산[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D%8D%BC%EC%84%BC%ED%8A%B8%EA%B3%84%EC%82%B0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D%8D%BC%EC%84%BC%ED%8A%B8%EA%B3%84%EC%82%B0 모바일]
;단위변환/측정 목록
*:PC와 모바일 버전은 UI 및 사용법에서 조금 차이가 난다.
:단위 변환기(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 각도기
* 이자 계산기
;생활정보 목록
*:적금, 예금, 대출, 그리고 중도상환수수료에 대해 계산할 수 있다.
:로또6/45, 연금복권720+
* 학점계산
:우편번호, 지역번호, 영문주소 검색
*:학점을 계산할 때 쓸 수 있지만, 이거 쓰느니 본인이 속한 대학에서 직접 확인하고 문의하는 것이 낫다.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 각자내기 계산기[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A%B0%81%EC%9E%90%EB%82%B4%EA%B8%B0+%EA%B3%84%EC%82%B0%EA%B8%B0 모바일]
:택배 배송 조회
*:더치페이 할 때 유용한 계산기. 금액을 입력하고 인원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인당 금액과 잔돈이 뜨게 된다.<ref>금액은 10원 단위로 끊어진다. 금액을 1000원, 인원수를 8명으로 설정할 경우, 인당 금액 125원에 잔돈 0원이 되는 것이 아니라 인당 금액 130원, 잔돈 40원으로 계산된다.</ref> 누군가가 다른 금액을 냈으면, + 버튼을 눌러서 고정 금액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 전체 금액에서 고정 금액을 제하고 다시 계산된다. 인원수를 숫자로 입력 못하고 +- 버튼으로 설정해줘야 한다는 것과 PC 버전에서는 뜨지 않는다는 것이 단점.<ref>대신 인원수는 300명도 넘길 수 있다.{{ㅊ|+ 버튼 300번 연타해서 확인해봄.}}</ref>
:네이버 시계
* 관부가세 계산기
:기차 승차권 예매, 고속버스 시간표
*:구매대행이나 해외직구 할 때 관세와 부가세를 확인할 수 있는 계산기. 계산 가능 국가는 미국 포함 9개국이다. 다만 네이버는 어디까지나 이 계산기는 일반적인 상황에서 참고용으로 쓸 수 있을 뿐, 자세하고 정확한 사항은 관세청을 통해 확인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간단게임
* 비만도계산
:가위바위보 게임, 당첨자 추첨, 사다리게임, 원판돌리기,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화살표돌리기, 포춘쿠키, 난센스 퀴즈
*:BMI 계산기. 성별, 키, 몸무게랑 나이만 입력하면 바로 뜬다. 물론 비만을 따지려면 체지방률을 확인하는 것이 낫다.
;세계정보 목록
* 칼로리 계산기[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C%B9%BC%EB%A1%9C%EB%A6%AC+%EA%B3%84%EC%82%B0%EA%B8%B0 모바일]
:세계시간, 국가번호, Papago
*:운동했을 때 소모되는 칼로리를 계산해 준다. 운동 종류와 몸무게, 운동 시간에 따라 값이 달라진다. PC랑 모바일 버전은 큰 차이는 없지만, PC 버전은 운동 종류를 바꾸면 몸무게와 시간 값이 리셋되는 반면 모바일 버전은 유지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여담으로 70kg의 사람이 30분 동안 운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제일 칼로리를 많이 소모하는 운동은 스쿼시로 나온다. 441 kcal.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달력/날짜계산 목록
* 달력[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B%AC%EB%A0%A5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B%AC%EB%A0%A5 모바일]
*:PC 버전은 기념일을 체크 해제할 수 있으며, 모바일 버전은 연간 달력도 한 눈에 볼 수 있다.{{ㅊ|결국 모바일이 더 좋은 거 아닌가.}} PC 버전은 다른 달력 도구와의 전환이 상대적으로 편하다.
* 양음력변환
*:PC 버전에는 옆에 달력이 같이 뜬다.
* 날짜계산
*:기준일을 정하면, 그로부터 입력한 일수만큼 지난 날, 입력한 일수만큼 남은 날(D-day), 기준일과 특정 날짜 사이의 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D-day 계산 빼고 모두 기준일을 1일로 포함해서 계산한다는 것.
* 전역일계산[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C%A0%84%EC%97%AD%EC%9D%BC%EA%B3%84%EC%82%B0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C%A0%84%EC%97%AD%EC%9D%BC%EA%B3%84%EC%82%B0 모바일]
*:입대일자와 복무유형만 입력하면 뜬다. PC 버전은 입대일자를 숫자로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모바일 버전은 계급까지 표현해준다는 장점이 있다.{{ㅊ|당연히 진급누락 크리 맞는 건 반영 안함}}
* 만나이계산
*:만 나이 통일법이 2023년 6월 28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더 많은 사람들이 찾을 계산기다.
* 배란일계산기[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B0%B0%EB%9E%80%EC%9D%BC%EA%B3%84%EC%82%B0%EA%B8%B0 PC]
*:PC 버전의 경우 최근 6개월 간 가장 짧은 주기와 가장 긴 주기도 입력할 수 있다.
단위변환/측정 목록
* 단위변환[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B%A8%EC%9C%84%EB%B3%80%ED%99%98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B%A8%EC%9C%84%EB%B3%80%ED%99%98 모바일]
*:변환 가능 항목은 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이다. 여담으로 모바일 버전은 디자인에 공을 좀 들였다.{{ㅊ|대신 숫자 입력 칸이 잘 안 보인다.}}
* 각도기[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A%B0%81%EB%8F%84%EA%B8%B0 모바일]
*:0도부터 180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 각도기. 집에 실물 자를 두는 경우는 많아도 각도기를 두는 경우는 별로 없기 때문에, 어쩌다 각도 측정이 필요할 때 유용하다.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 {{ㅊ|반지 사이즈}}
*:도구 모음에 포함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wikiHow 내용을 엉성하게 복붙한{{ㅊ|그나마 원문 링크는 걸어줬다.}} 설명문일 뿐이다.
생활정보 목록
* 로또6/45
*:로또 당첨번호와 당첨금액, 당첨판매점을 알려준다.근데 판매점 알려주는 건 홍보 여지가 있지 않나
* 연금복권720+
*:설명은 로또와 같다.
* 우편번호
*:주소에 따른 우편번호를 알려준다. 지번 주소와 도로명 주소에 모두 대응한다.
* 지역번호
*:지역명에 따른 지역번호, 지역번호에 따른 지역명을 알려준다.
* 영문주소 검색
*:지번 주소나 도로명 주소를 입력하면 한글과 영문 도로명주소를 알려준다.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2023년 1월 2일 기준으로 베타판이다. 최대 500자까지 입력 가능하다. PC 버전에는 교정 결과 오류를 제보할 수 있는 링크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 택배배송 조회
*:택배사와 운송장 번호를 입력하면 조회 가능하다. 단, 스마트택배로부터 넘겨받는 정보기 때문에 실제 배송상황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
* 네이버 시계[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4%A4%EC%9D%B4%EB%B2%84+%EC%8B%9C%EA%B3%84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4%A4%EC%9D%B4%EB%B2%84+%EC%8B%9C%EA%B3%84 모바일]
*:네이버 서버 시간을 알려주는 시계. 초 단위까지 표시되며, 각 분당 50초부터 59초까지는 초 숫자 색깔이 빨갛게 변한다. PC 버전은 12시간 형식이며, 모바일 버전은 24시간 형식을 취하고 오늘 날짜를 동시에 표시한다.
*:초단위로 상황이 변하는 네이버 이벤트에 참여할 게 아니면 굳이 여길 들어갈 필요는 없다. 다만 모바일 버전에서는 네이버뿐만 아니라 인터파크, 멜론, 예스24, 티켓링크, 옥션의 서버 시간도 제공하므로, 경우에 따라 유용하게 쓸 수도 있다.
* 기차승차권예매
*:네이버에서 기차 시간을 조회하고 표를 예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정말 중요한 상황에서 예매를 하려 한다면 코레일이나 SRT에서 직접 하는 것이 낫다.
* 고속버스시간표
*:고속버스 시간을 조회할 수 있다. 기차와 달리 예매는 불가능하다. 그냥 고속버스 사이트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낫다.
* 간단게임[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A%B0%84%EB%8B%A8%EA%B2%8C%EC%9E%84 모바일]
*:네이버 도구 중에서도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의외로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 도구. 9종류의 간단한 게임을 제공하는데, 게임 모음은 모바일 버전에서만 볼 수 있다. 물론 개별 게임은 PC 버전에서도 할 수 있다.{{ㅊ|모두 그런 건 아니라는 게 함정}}
** 가위바위보 게임
**:버튼을 누르면 랜덤하게 가위바위보 중 하나가 뜬다. 간단게임 중에서는 제일 활용도가 낮은 편.
** 당첨자 추첨[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B%8B%B9%EC%B2%A8%EC%9E%90+%EC%B6%94%EC%B2%A8 모바일]
**:2~10명까지 목록을 만들고 당첨자를 뽑는 게임. 설정한 인원수-1명까지 당첨자를 뽑을 수 있다. 후술할 다른 게임들에 비해, 이 게임은 설정을 끝내자마자 당첨자를 바로 발표하기 때문에 두근거리는 맛이 덜하다. 대신 결과를 빨리 보고 싶다면 유용할지도.
**:다만 치명적인 문제가 한 가지 있는데, 이 게임은 PC 버전을 제공하지 않고, 모바일 버전에서도 이름을 입력할 수 없는 오류가 있다! 오류 없이 이용하려면 모바일에서는 네이버 공식 앱에서, PC에서는 웨일의 모바일 창 기능을 이용하는 것밖에 답이 없다.
** 사다리게임[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C%82%AC%EB%8B%A4%EB%A6%AC%EA%B2%8C%EC%9E%84 PC][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ie=UTF-8&query=%EC%82%AC%EB%8B%A4%EB%A6%AC%EA%B2%8C%EC%9E%84 모바일]
**:당첨자 추첨과 다르게 사다리게임은 PC 버전도 있지만, PC, 모바일, 공앱 및 웨일 모바일창에서의 설정이 모두 다르다. PC 버전은 최대 24명까지 가능하고 플레이어 이름을 지정할 수 있으며, 추천내기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모바일 버전에서는 12명까지 가능하고 플레이어는 동물로 표시되며<ref>따라서 플레이어가 자신이 무슨 동물인지 기억해야 한다.</ref> 당첨항목을 지정할 수 없고 추천내기 기능만 사용 가능하다. 공앱 및 웨일 모바일창 버전은 모바일 버전과 비슷하지만 당첨항목을 따로 지정할 수 있다.
** 원판돌리기
**:2개~8개까지 설정 가능하다. 항목을 지정할 수 있는 내기 게임 중에서 이건 따로 버전에 따른 제한이 없다는 게 장점.
** 주사위 굴리기
**:육면체 주사위를 1개~4개까지 설정해서 굴릴 수 있다.
** 제비뽑기
**:2개~10개까지 인원수를 설정하고, 꽝 개수는 1개~인원수-1개까지 설정할 수 있다. 비슷한 당첨자 추첨과는 달리 버전 제한이 없다. 모바일에서는 흔들어서 제비를 섞을 수 있다.
** 화살표돌리기
**:버튼을 한 번 누르면 화살표가 돌아가고, 돌아간 상태에서 누르면 멈춘다. 어지간한 상황에선 원판돌리기의 하위호환.
** 포춘쿠키
**:포춘쿠키를 누르면 조언이나 위로성 문구가 나온다. 마음이 답답할 때 한 번쯤 까보면 좋을지도?
** 난센스 퀴즈
**:난센스 퀴즈가 출제된다. 주관식이며, 정답 글자 수는 미리 알려준다. 힌트도 볼 수 있다.
세계정보 목록
* 세계시간
:세계 주요 국가 및 도시들의 시간을 알려준다.
* 국가번호
:세계 주요 국가들의 국가번호를 알려준다.
* Papago
:파파고 번역기. 파파고 웹 페이지나 앱에 따로 들어가도 되지만, 파파고나 번역기라고 네이버 검색창에 치는 것만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더 있으면 [[추가바람]]
* 색상 팔레트
* 색상 팔레트
*:색상에 대한 값을 알려주는 도구. 헥스 코드를 입력하여 RGB, HSB, CMYK 값을 알아내거나 역으로 그 값들을 입력해 헥스 코드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 증권정보
* 증권정보
*:주요 증시의 주가지수를 비롯하나 여러 증권정보들을 알려주는 도구. 물론 이것만 믿고 투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며, 네이버에서도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고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면책조항을 달아놓았다.


==여담==
==여담==
* 2016년 2월 21일 기준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ref>2016년 3월 기준,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2016년 2월 21일 현재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ref>2016년 3월 현재,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f>,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ref>[http://v.sports.media.daum.net/v/20171020103349359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 제휴 종료로 인해 해당 링크로 기사를 볼 수 없다.</ref>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ref>[http://v.sports.media.daum.net/v/20171020103349359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ref>
* 2023년 5월 17일 PC와 모바일의 UI를 통합하였다. [https://campaign.naver.com/naverdetails/newpc/?pcode=naver_pcanniversary PC답게, 때론 모바일처럼]. 모바일 위주로 통합하였기 때문에 PC를 기준으로 예전에 [[口]] 모양이었던 양쪽 공간이 중앙의 [[凸]] 자처럼 몰려 시선의 가독성이 나빠졌다. PC 사용자의 위와 좌우부터 먼저 본 다음 중앙과 아래를 향하는 습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점이 있다.<ref>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중앙으로 모이기 쉬워 시청 시 눈의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여 안압이 평상시보다 다소 강해져 무리가 간다. {{뉴스 인용|제목=잠자기 전 불 끄고 폰 본다?…"실명할 수 있다" 의사 경고 왜|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53377#home|뉴스=중앙일보|저자=권선미|인용문=|언어=|확인날짜=2023-05-17|날짜=2022-03-07}}</ref>
* 2023년 5월 30일 기준 이미지 검색의 제공 수의 편차가 생겼다. 이전에는 편차 없이 6페이지 정도, 당시 기준 1페이지부터 6페이지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제공 수가 줄어드는 검색 알고리즘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
{{각주}}
{{각주}}
[[분류:검색 엔진]]
[[분류:검색 엔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