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규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43번째 줄: 43번째 줄:


=== 죽음 ===
=== 죽음 ===
1979년 12월 18일 계엄보통군법회의(군사재판)에서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로 사형을 언도받았고 남한산성 육군교도소에 수감되었다. 1980년 1월 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고 1980년 1월 28일 계엄고등군법회의를 거쳐 같은 해 5월 20일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되었다.<ref>[https://m.search.naver.com/p/crd/rd?m=1&px=276&py=269&sx=276&sy=129&p=T5ppNspySAKssaxEcqRssssssYR-074178&q=1977%B3%E2+9%BF%F9+12%C0%CF+%C4%A3%B1%B9&ssc=tab.m.all&f=m&w=m&s=63MwM6VsLUtt4yBbWBkOsA==&time=1486514549308&a=nws_1st.incard&r=1&i=8800055D_000000000000000000019880&u=http%3A//m.news.naver.com/read.nhn%3Fmode%3DLSD%26mid%3Dsec%26sid1%3D100%26oid%3D308%26aid%3D0000019880&cr=1김재규의 변호사, 최태민과 박근혜를 말하다], 시사IN, 2016. 11. 25.</ref> 재판 과정에서 헌병 2명이 김재규를 비롯한 가담자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함께 착석하였고, 공판장 양끝에도 헌병과 보안사 병력이 배치되었다. 같은해 5월 24일, 결국 [[서울구치소]](1987년 의왕으로 이전되어 지금의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자리) 내 사형장에서 교수되었다.
1979년 12월 18일 계엄보통군법회의(군사재판)에서 내란목적살인 및 내란미수로 사형을 언도받았고 남한산성 육군교도소에 수감되었다. 1980년 1월 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고 1980년 1월 28일 계엄고등군법회의에서 사형이 확정되었다. 재판 과정에서 헌병 2명이 김재규를 비롯한 가담자들의 양측에 배치되어 함께 착석하였고, 공판장 양끝에도 헌병과 보안사 병력이 배치되었다. 같은해 5월 24일, 결국 [[서울구치소]](1987년 의왕으로 이전되어 지금의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자리) 내 사형장에서 교수되었다.


=== 사후 ===
=== 사후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