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4번째 줄: 14번째 줄:
=== 프로 야구 지도자 ===
=== 프로 야구 지도자 ===
[[1982년]]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의 창단 투수 코치였던 김성근은 [[1984년]] ∼ [[1988년]] OB 베어스 감독을 시작으로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삼성 라이온즈|삼성]],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LG 트윈스|LG]] 등 무려 5개 팀 감독을 맡았다. 만년 하위권이었던 태평양 돌핀스([[1989년]], 3위)과 쌍방울 레이더스 ('96-'97, 2위-3위)을 포스트 시즌에 진출시켰으며, [[2002년]] 침체에 빠져 있었던 LG의 사령탑을 맡아 팀을 [[2002년 한국시리즈]]에 올려 놓고 LG 트윈스를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나 구단 고위층과의 갈등을 빚으면서 석연치 않게 퇴진했다. <del>LG 트윈스 비밀번호의 시작</del> <del>[[김진욱|이 사람]]이 생각난다.</del> <del>그것도 하필 [[잠실 야구장|같은 구장]]을 쓰는 [[LG 트윈스|두]] [[두산 베어스|팀]]이</del> 당시 LG 트윈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이른바 '신바람 야구'를 슬로건으로 내건 자율 야구를 지향하는 팀이었으나, 이른바 '[[데이터 야구]]'가 팀 컬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del>과연?</del> [[2006년]] 당시 한국 프로 야구 감독으로 활동한 15년간 통산 866승(803패 43무, 승률 0.519)을 거둬 [[김응룡]] 전 [[한화 이글스]] 감독의 1,463승(22년간, 1125패 65무)<!--2013시즌기록 시즌 후 합산바람-->에 이은 역대 2위를 기록 중이다. 태평양, 쌍방울, LG 등에서 하위 팀을 상위로 끌어 올리는 데 탁월한 능력을 검증받았으나, 한국시리즈 우승은 [[2007년]]에서야 처음으로 이루었다. 현재 지도자로 활동하는 코치나 감독들 중 [[김경문 (1958년)|김경문]]과 [[조범현]], [[박종훈 (1959년)|박종훈]], [[김기태 (1969년)|김기태]] 등 여러 지도자들이 현역 선수 시절에 그의 손을 거쳐 갔다. 특히 박종훈의 아들인 [[박윤]]은 [[SK 와이번스]] 소속이어서 아버지를 이어  2대째 손을 거쳤다.<ref>[http://www.sportsseoul.com/news2/baseball/pro/2009/1129/20091129101010100000000_7698422023.html 김성근 감독과 LG 박종훈 감독의 '3대째 인연'] - 스포츠서울</ref> 또한 그가 맡은 팀의 선수들은 시즌 중에는 물론 비 시즌 기간에도 이른바 '지옥 훈련'이라 불릴 정도로, 막대한 훈련 량을 소화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9&oid=038&aid=0002040614 SK의 힘은 '지옥 가을 훈련'] 《한국일보》성환희, 2009년 11월 27일.</ref><del>성근 다이어트!</del> 이를 바탕으로 많은 백업 요원들을 주전과 맞먹게 양성하였으며, [[박정환 (1977년)|박정환]] 등의 몇몇 타 팀 방출 선수들도 김성근 감독 아래에서 부활하기도 했으며<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0911240033 김성근 감독, ‘제2의 재활 공장장’이 될까] - OSEN</ref> <del>이제 [[송은범]]만 살리면 된다.</del> 이러한 특징은 [[고양 원더스]], 한화 이글스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1982년]] [[두산 베어스|OB 베어스]]의 창단 투수 코치였던 김성근은 [[1984년]] ∼ [[1988년]] OB 베어스 감독을 시작으로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삼성 라이온즈|삼성]],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LG 트윈스|LG]] 등 무려 5개 팀 감독을 맡았다. 만년 하위권이었던 태평양 돌핀스([[1989년]], 3위)과 쌍방울 레이더스 ('96-'97, 2위-3위)을 포스트 시즌에 진출시켰으며, [[2002년]] 침체에 빠져 있었던 LG의 사령탑을 맡아 팀을 [[2002년 한국시리즈]]에 올려 놓고 LG 트윈스를 준우승으로 이끌었으나 구단 고위층과의 갈등을 빚으면서 석연치 않게 퇴진했다. <del>LG 트윈스 비밀번호의 시작</del> <del>[[김진욱|이 사람]]이 생각난다.</del> <del>그것도 하필 [[잠실 야구장|같은 구장]]을 쓰는 [[LG 트윈스|두]] [[두산 베어스|팀]]이</del> 당시 LG 트윈스는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이른바 '신바람 야구'를 슬로건으로 내건 자율 야구를 지향하는 팀이었으나, 이른바 '[[데이터 야구]]'가 팀 컬러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del>과연?</del> [[2006년]] 당시 한국 프로 야구 감독으로 활동한 15년간 통산 866승(803패 43무, 승률 0.519)을 거둬 [[김응룡]] 전 [[한화 이글스]] 감독의 1,463승(22년간, 1125패 65무)<!--2013시즌기록 시즌 후 합산바람-->에 이은 역대 2위를 기록 중이다. 태평양, 쌍방울, LG 등에서 하위 팀을 상위로 끌어 올리는 데 탁월한 능력을 검증받았으나, 한국시리즈 우승은 [[2007년]]에서야 처음으로 이루었다. 현재 지도자로 활동하는 코치나 감독들 중 [[김경문 (1958년)|김경문]]과 [[조범현]], [[박종훈 (1959년)|박종훈]], [[김기태 (1969년)|김기태]] 등 여러 지도자들이 현역 선수 시절에 그의 손을 거쳐 갔다. 특히 박종훈의 아들인 [[박윤]]은 [[SK 와이번스]] 소속이어서 아버지를 이어  2대째 손을 거쳤다.<ref>[http://www.sportsseoul.com/news2/baseball/pro/2009/1129/20091129101010100000000_7698422023.html 김성근 감독과 LG 박종훈 감독의 '3대째 인연'] - 스포츠서울</ref> 또한 그가 맡은 팀의 선수들은 시즌 중에는 물론 비 시즌 기간에도 이른바 '지옥 훈련'이라 불릴 정도로, 막대한 훈련 량을 소화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39&oid=038&aid=0002040614 SK의 힘은 '지옥 가을 훈련'] 《한국일보》성환희, 2009년 11월 27일.</ref><del>성근 다이어트!</del> 이를 바탕으로 많은 백업 요원들을 주전과 맞먹게 양성하였으며, [[박정환 (1977년)|박정환]] 등의 몇몇 타 팀 방출 선수들도 김성근 감독 아래에서 부활하기도 했으며<ref>[http://osen.mt.co.kr/news/view.html?gid=G0911240033 김성근 감독, ‘제2의 재활 공장장’이 될까] - OSEN</ref> <del>이제 [[송은범]]만 살리면 된다.</del> 이러한 특징은 [[고양 원더스]], 한화 이글스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1982년~1988년) ====
==== [[두산 베어스|OB 베어스]] (1982년~1988년) ====
35번째 줄: 36번째 줄:
2008년 9월 3일, [[문학 야구장|문학]]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감독 생활 통산 1,000승'''을 달성하였다.
2008년 9월 3일, [[문학 야구장|문학]]에서 열린 [[넥센 히어로즈|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감독 생활 통산 1,000승'''을 달성하였다.


2008년 9월 21일, SK 와이번스가 문학 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2년 연속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확정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고, 2008년 10월 31일에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2007 시즌에 이어 [[2008년 한국시리]]에 다시 올라온 두산 베어스를 맞았다. <del>호구 왔능가?</del> 1차전에 2:1로 패배한 이후, 4연승을 함으로써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일궈 냈다.
2008년 9월 21일, SK 와이번스가 문학 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와의 경기에서 승리함으로써 2년 연속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확정하여 한국시리즈에 직행하였고, 2008년 10월 31일에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2007 시즌에 이어 [[2008년 한국시리]]에 다시 올라온 두산 베어스를 맞았다. <del>호구 왔능가?</del> 1차전에 2:1로 패배한 이후, 4연승을 함으로써 2년 연속 한국시리즈 우승을 일궈 냈다.  


2008년 11월 4일에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9 WBC]] 대표팀 감독 제의를 받았으나,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이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표팀 감독 제의를 고사한 이유는 따로 있는데, 김성근의 회고에 의하면 '그 때는 지금처럼 한국시리즈 우승 감독이 국가대표팀 사령탑을 맡는다는 합의가 없었다. 감독들끼리 구두로만 이야기를 했지, WBC 감독을 누가 해야 하는지 KBO 측에서 문서로 밝히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2008년 11월 4일에 [[2009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2009 WBC]] 대표팀 감독 제의를 받았으나, '건강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 이를 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표팀 감독 제의를 고사한 이유는 따로 있는데, 김성근의 회고에 의하면 '그 때는 지금처럼 한국시리즈 우승 감독이 국가대표팀 사령탑을 맡는다는 합의가 없었다. 감독들끼리 구두로만 이야기를 했지, WBC 감독을 누가 해야 하는지 KBO 측에서 문서로 밝히지도 않았다'고 해명했다.
50번째 줄: 51번째 줄:


==== [[고양 원더스]] (2012년~2014년) ====
==== [[고양 원더스]] (2012년~2014년) ====
시즌 후 대한민국 최초의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2012년]] 2군 번외 경기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인정받아 시즌 중 원더스 구단과 재계약에 합의하였다. 그 해 원더스 출신 선수 5명이 프로로 진출했으며, 그 중 일부 선수는 방출로 인해 원더스에서 기량을 갈고 닦다가 재진입에 성공하였다. LG 트윈스에서 함께하였던 [[이상훈 (1971년)|이상훈]]을 코치로 맞이하였다.
시즌 후 대한민국 최초의 독립 야구단 고양 원더스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었고, [[2012년]] 2군 번외 경기에서도 좋은 경기력을 인정받아 시즌 중 원더스 구단과 재계약에 합의하였다. 그 해 원더스 출신 선수 5명이 프로로 진출했으며, 그 중 일부 선수는 방출로 인해 원더스에서 기량을 갈고 닦다가 재진입에 성공하였다. LG 트윈스에서 함께하였던 [[이상훈 (1971년)|이상훈]]을 코치로 맞이하였다.
 
고양 원더스 감독 재직 동안 총 22명 선수를 프로로 진출시켰으며, 고양 원더스의 갑작스런 해체로 야인의 몸이 되었다.  
고양 원더스 감독 재직 동안 총 22명 선수를 프로로 진출시켰으며, 고양 원더스의 갑작스런 해체로 야인의 몸이 되었다.


==== [[한화 이글스]] (2015년~2017년 5월 23일) ====
==== [[한화 이글스]] (2015년~2017년 5월 23일)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2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