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주의/개신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동방의 듣보잡 교단.jpg|섬네일|근본주의 개신교의 실상을 풍자한 그림<ref>사실 저 현상은 미국식 근본주의 뿐 아니라 보수 성향을 자처하는 교단이라면 어디서나 일어나는 일이다. 그리고 [[네덜란드]]는 저 테크트리를 한국보다 100년 먼저 탔다가 개신교가 아예 증발해 버렸다(...)</ref>]]
이 문서는 [[개신교]]의 [[근본주의]] 종파에 대해 설명한다.


{{편향}}
==개요==
[[파일:동방의 듣보잡 교단.jpg|섬네일|근본주의 개신교의 실상을 풍자한 그림]]
이 문서는 [[개신교]]의 [[근본주의]] 종파 에 대해 설명한다.
== 무엇이 근본주의인가 ==
== 무엇이 근본주의인가 ==
쉽게 말해서 [[성경]]이 절대 진리이고, 모든 사회 문제는 성경대로만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른 종교와 사상은 모두 거짓된 것들이라고 주장하면 근본주의자라 볼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성경이 절대 진리이고, 모든 사회 문제는 성경대로만 풀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른 종교와 사상은 모두 거짓된 것들이라고 주장하면 근본주의자라 볼 수 있다.


엄밀히 말하면 '근본주의'란 단어가 미국에서 정식으로 등장한 것은 빨리 잡아도 1878년 나이아가라 성경대회부터이고,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20년 미국 북침례교 대회부터이므로 보수적 복음주의나 극단적인 정통주의를 무조건 근본주의라 부르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 1910년부터 1915년까지 벤저민 워필드(B. B. Warfield)를 주축으로 미국과 유럽의 보수적인 신학자들이 공동 집필한 '''《근본적인 것들(The Fundamentals)》'''이란 책자가 나오면서 근본주의란 단어가 소개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이미 1920년대부터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이 너무 과격한 주장을 하는 바람에 침례교도인 커티스 로스는 '''"근본 교리를 지키려고 피터지게 싸울 각오까지 되어있는 자들!"'''{{ㅈ|원문은 "to do battle royal for the fundamentals" 다른 단어도 아니고 '배틀로얄'(...)에 비유했다.}}이라고 평했다.
엄밀히 말하면 '근본주의'란 단어가 미국에서 정식으로 등장한 것은 빨리 잡아도 1878년 나이아가라 성경대회부터이고,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것은 1920년 미국 북침례교 대회부터이므로 보수적 복음주의나 극단적인 정통주의를 무조건 근본주의라 부르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또 1910년부터 1915년까지 벤저민 워필드(B. B. Warfield)를 주축으로 미국과 유럽의 보수적인 신학자들이 공동 집필한 '''《근본적인 것들(The Fundamentals)》'''이란 책자가 나오면서 근본주의란 단어가 소개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이미 1920년대부터 개신교 근본주의자들이 너무 과격한 주장을 하는 바람에 침례교도인 커티스 로스는 '''"근본 교리를 지키려고 피터지게 싸울 각오까지 되어있는 자들!"'''{{ㅈ|원문은 "to do battle royal for the fundamentals" 다른 단어도 아니고 '배틀로얄'(...)에 비유했다.}}이라고 평했다.
9번째 줄: 11번째 줄:
현대 미국에서는 근본주의, 혹은 그에 준하는 교리를 따르는 교단들이 여럿 존재하나, 일반적으로는 성서침례교나 독립침례교회처럼 침례교 계열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현대 미국에서는 근본주의, 혹은 그에 준하는 교리를 따르는 교단들이 여럿 존재하나, 일반적으로는 성서침례교나 독립침례교회처럼 침례교 계열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다.


정확한 근본주의에 대한 정의는 없지만 통상 다음의 다섯 가지 강령을 모두 믿고 따르는 경우를 일반적인 근본주의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실제로 교회에서는 사상검증하듯이 이걸 믿느냐고 묻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정확한 근본주의에 대한 정의는 없지만 통상 다음의 5가지 강령을 모두 믿고 따르는 경우를 일반적인 근본주의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성서무오설|성경무오]]
*[[성서무오설|성경무오]]
*동정녀 탄생
*동정녀 탄생
16번째 줄: 18번째 줄:
*재림
*재림


{{ㅊ|자세히 보면 [[예수]]의 삶과 가르침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br />
{{ㅊ|자세히 보면 [[예수]]의 삶과 가르침 따위는 안중에도 없다}}
{{ㅊ|저걸 한줄로 요약하면 [[예수천당 불신지옥]]이라는 기적의 논리가 된다}}


사실 근본주의와 유사한 경향은 성공회를 제외한 대다수 개신교 교파들에서 볼 수 있다. 루터교조차 북유럽 극지방을 중심으로 '레스타디우스파'라고 하는 유사 근본주의자들이 존재할 정도.{{ㅈ|《해리 홀레 시리즈》로 유명한 요 네스뵈의 《미드나잇 선》, 그리고 미카엘 니에미의《로큰롤 보이즈》에도 이런 루터교 근본주의자들이 언급되는데, 딱 봐도 이들이 북유럽 주류 사회와 꽤 이질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복음주의와의 관계 ==
== 복음주의와의 관계 ==
미국의 기독교 근본주의를 [[복음주의]]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ref>통상 미국에서 근본주의자들을 칭할 때는 그냥 "복음주의"(굳이 따지자면 보수적 복음주의), 영국쪽의 복음주의에 가까워지거나 교류가 많은 쪽을 "신복음주의"라고 나눠 부른다.</ref> 복음주의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곳은 영국과 미국인데, 미국의 복음주의는 근본주의의 영향을 받고 사실상 근본주의자가 상당한 비중이지만, 정작 복음주의의 본고장이라고 할 영국의 복음주의는 이러한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양자간의 구분을 시도한다. 진화론과의 대화와 경제 정의의 부분에서 보면 한국 입장에서는 좌파적인 모습 등이 보이며, 사회변혁에 관심도가 높다. 자세한 내용은 [[복음주의]]항목을 참조하자.
미국의 기독교 근본주의를 [[복음주의]]라고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ref>통상 미국에서 근본주의자들을 칭할 때는 그냥 "복음주의"(굳이 따지자면 보수적 복음주의), 영국쪽의 복음주의에 가까워지거나 교류가 많은 쪽을 "신복음주의"라고 나눠 부른다.</ref> 복음주의의 양대 산맥이라고 할 곳은 영국과 미국인데, 미국의 복음주의는 근본주의의 영향을 받고 사실상 근본주의자가 상당한 비중이지만, 정작 복음주의의 본고장이라고 할 영국의 복음주의는 이러한 모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양자간의 구분을 시도한다. 진화론과의 대화와 경제 정의의 부분에서 보면 한국 입장에서는 좌파적인 모습 등이 보이며, 사회변혁에 관심도가 높다. 자세한 내용은 [[복음주의]]항목을 참조하자.
25번째 줄: 25번째 줄:
유럽식 [[복음주의]] 업계(?)에서 유명한 사람 중에 '헨리 나우웬'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은 사실 가톨릭의 [[예수회]] 사제이다. 같은 면에서 유명한 저술가인 '존 스토트'도 영국 [[성공회]]의 사제이다. 복음주의가 개신교에만 해당되지 않는다는 반증. 물론 한국의 {{ㅊ|일부}}근본주의자들은 두 사람들의 책은 {{ㅊ|뻔질나게}} 상당히 많이 읽고 추천하면서, 그들이 소속된 교단은 그저 이단이라고 깐다. {{ㅊ|제발 공부좀 하세요}}
유럽식 [[복음주의]] 업계(?)에서 유명한 사람 중에 '헨리 나우웬'이라는 사람이 있는데 이 사람은 사실 가톨릭의 [[예수회]] 사제이다. 같은 면에서 유명한 저술가인 '존 스토트'도 영국 [[성공회]]의 사제이다. 복음주의가 개신교에만 해당되지 않는다는 반증. 물론 한국의 {{ㅊ|일부}}근본주의자들은 두 사람들의 책은 {{ㅊ|뻔질나게}} 상당히 많이 읽고 추천하면서, 그들이 소속된 교단은 그저 이단이라고 깐다. {{ㅊ|제발 공부좀 하세요}}


다만 복음주의와 근본주의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둘 다 인습, 전통, 신학보다 성경을 중시하고, 성경만이 진리라 주장하며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외치는 점은 비슷하나, 외형적으로 복음주의가 근본주의보다 더 유연한 자세를 취한다. 예를 들어 복음주의는 드럼이나 기타 등을 이용해 CCM을 부르는 것을 용인하지만, (진짜) 근본주의는 그러한 현대풍 찬양을 거부한다. 심한 경우 미국의 [[아미쉬]]정도 수준이 나오기도 할 정도. 물론 한국의 경우는 대형교회가 외형상 화려함으로 성장한 것이 상당히 크게 보이기 때문에 그런것과는 거리가 멀다. 가장 보수적이라는 장로회 총공회 정도가 되어야 비슷하게 맞춰질 정도지만 이쪽 교단 자체가 상당히 비주류에 속하는데다 정작 근본주의를 자처하는 주류 교단들은 그런거 없는 수준
다만 복음주의와 근본주의가 꼭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둘 다 인습, 전통, 신학보다 성경을 중시하고, 성경만이 진리라 주장하며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외치는 점은 비슷하나, 외형적으로 복음주의가 근본주의보다 더 유연한 자세를 취한다. 예를 들어 복음주의는 드럼이나 기타 등을 이용해 CCM을 부르는 것을 용인하지만, 근본주의는 그러한 현대풍 찬양을 거부한다.


== 개혁주의와의 관계 ==
== 개혁주의와의 관계 ==
37번째 줄: 37번째 줄:


막상 CCM이나 통성기도까지 '비성경적'이라 하여 거부하는 극단적 근본주의 교파들은 한국에서도 그렇게 세력이 크지 않다.
막상 CCM이나 통성기도까지 '비성경적'이라 하여 거부하는 극단적 근본주의 교파들은 한국에서도 그렇게 세력이 크지 않다.
=== 한국의 개신교 근본주의가 생긴 원인 ===
19세기가 되면서 개신교가 한국에서 들어오면서 신도 수를 늘였는데 제국주의 선교와 연관이 있었다.<ref>https://holywaveplus.com/111/?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481554&t=board</ref>
역사학자 배덕만 교수는 해방 직후, 황해도와 평안도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장로교인들이 김일성과 정면충돌하면서 월남했고, 이들이 반공주의의 선봉에 서면서 미군이 지배하던 우파적 정권과 유착관계를 유지하게 됐다"고 했다.
또 이승만 대통령이 되는 1차 공화국에 들어가면서 이들은 더욱 입지가 강해졌다.
한국교회는 감리교 장로였던 이승만 정권을 적극 지지해서 4.19혁명에도 주체적으로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박정희 정권이 3선 개헌을 시도할 때 역시 대다수의 보수적 교회는 이를 지지했고, 정권은 군 선교인 '전군 신자화'운동과 1974년부터 광장에서 이뤄지는 대규모 선교대회를 지원하면서 한국교회는 급성장 하게 됐다.<ref>[http://m.nocutnews.co.kr/news/4566009 "정교분리?..한국교회는 정치와 분리된 적 없어"], 노컷뉴스, 2016. 03. 21.</ref>


===비판과 논란===
===비판과 논란===
50번째 줄: 42번째 줄:


====사건사고====
====사건사고====
{{참고|개신교#사건사고}}
{{참조|개신교#사건사고}}


===관련 문서===
===관련 문서===
66번째 줄: 58번째 줄:
*[[창조과학회]]
*[[창조과학회]]
*[[뉴라이트]]
*[[뉴라이트]]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근본주의}}
{{문서 가져옴|근본주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