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 태블릿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넘어옴|타블렛|다른 뜻|태블릿}}
{{다른 뜻 넘어옴|타블렛|다른 뜻|태블릿}}
[[파일:OneByWacom-M.jpg|와콤의 원 바이 와콤|섬네일]]
[[File:OneByWacom-M.jpg|와콤의 원 바이 와콤|섬네일]]
[[파일:Wacom Bamboo Capture tablet and pen.jpg|섬네일|[[와콤]]의 뱀부 그래픽 태블릿]]
[[파일:Wacom Bamboo Capture tablet and pen.jpg|섬네일|[[와콤]]의 뱀부 그래픽 태블릿]]
'''그래픽 태블릿'''(Graphic Tablet)은 [[컴퓨터]]에서 마치 펜으로 종이 위에 그리듯이 위치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판(tablet) 형태의 [[포인팅 장치]]다.
'''그래픽 태블릿'''(Graphic Tablet)은 [[컴퓨터]]에서 마치 펜으로 종이 위에 그리듯이 위치정보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판(tablet) 형태의 [[포인팅 장치]]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 액정형(액정타블렛)
* 액정형(액정타블렛)
*: 액정형 제품은 [[모니터]]에 그래픽 태블릿을 결합한 형태이다. 모니터에 펜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작업면과 화면이 일치해 편의성이 높지만 가격은 비싸다. 액정 위에 강화유리가 들어가므로 펜끝과 액정 사이의 오차가 생기며, 액정에서 발열이 있다. 또한 일반 모니터에 비해 주시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눈]]의 피로나 [[시력]] 저하를 호소하는 작가들이 있고, 판형 타블렛보다 건강한 자세를 유지하는 데 애로사항이 있다.  
*: 액정형 제품은 [[모니터]]에 그래픽 태블릿을 결합한 형태이다. 모니터에 펜으로 터치하는 기능을 부가한 것으로, 작업면과 화면이 일치해 편의성이 높지만 가격은 매우 비싸다. 액정 위에 강화유리가 들어가므로 펜끝과 액정 사이의 오차가 생기며, 액정에서 발열이 있다. 또한 일반 모니터에 비해 주시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눈의 피로나 시력 저하를 호소하는 작가들이 있고, 판형 타블렛보다 건강한 자세를 유지하는 데 애로사항이 있다.  
*: 채색 작업 등 선을 긋는 용도 이외로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각보다 유용하지 않다고 하지만 선을 주로 쓰는 만화가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지로 평가된다. 모니터를 바라보며 화면에 직접 선을 긋다보니 일반 판형 타블렛보다 직관적이고 능률도 높다. 고가형 제품으로 가면 컴퓨터를 한 대 맞출 수 있는 가격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슷하거나 저렴하면서 유사한 작업환경이 만들어지는 [[태블릿 컴퓨터]]로 대체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이 경우 태블릿 컴퓨터상에서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방식 외에도 소프트웨어를 통해 태블릿 컴퓨터를 작업용 컴퓨터와 연결하여 컴퓨터 화면을 띄워 액정타블렛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 채색 작업 등 선을 긋는 용도 이외로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각보다 유용하지 않다고 하지만 선을 주로 쓰는 만화가들에게는 어쩔 수 없는 선택지로 평가된다. 모니터를 바라보며 화면에 직접 선을 긋다보니 일반 판형 타블렛보다 직관적이고 능률도 높다. 고가형 제품으로 가면 컴퓨터를 한 대 맞출 수 있는 가격이기 때문에 가격이 비슷하거나 저렴하면서 유사한 작업환경이 만들어지는 [[태블릿 컴퓨터]]로 대체하는 사람들도 있다.  


== 제품 ==
== 제품 ==
22번째 줄: 22번째 줄:


[[한본]]이나 XP-PEN, 휴이온 등 다른 업체들도 비슷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도전장을 내밀지만 과거 [[AS]]와 제품의 퀄리티에서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정확히는 스펙 자체는 와콤에 맞먹지만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영 좋지 않고 [[드라이버]]는 [[도긴개긴|거기서 거기]]라는 의견이 있다. 다만 2010년대 중후반에서는 와콤의 무전원 펜 기술 특허권이 만료되고 타사의 제품도 보다 쓸만한 성능을 갖추는 등 어느 정도 선택권이 확보되었다.  
[[한본]]이나 XP-PEN, 휴이온 등 다른 업체들도 비슷한 성능과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도전장을 내밀지만 과거 [[AS]]와 제품의 퀄리티에서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정확히는 스펙 자체는 와콤에 맞먹지만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영 좋지 않고 [[드라이버]]는 [[도긴개긴|거기서 거기]]라는 의견이 있다. 다만 2010년대 중후반에서는 와콤의 무전원 펜 기술 특허권이 만료되고 타사의 제품도 보다 쓸만한 성능을 갖추는 등 어느 정도 선택권이 확보되었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주요 모바일·PC 제조사에서 디지타이저를 쓸 수 있는 [[태블릿 컴퓨터]]를 출시하였고, 모바일 OS의 경우 소프트웨어 선택폭이 좁다는 단점도 어느 정도 해소되며 경쟁 및 비교 대상으로 올랐다. 모바일 OS 사용 제품도 태블릿 컴퓨터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액정타블렛처럼 사용하는 기능을 통해 단점의 보완이 가능하다.


=== 와콤 ===
=== 와콤 ===
50번째 줄: 48번째 줄:


== 문제점 및 주의사항 ==
== 문제점 및 주의사항 ==
{{시리즈|그림에 입문하려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무건전지 무선 펜을 사용하는 그래픽 태블릿은 자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작동하는 중에는 그 위에 엎드릴 경우 자기장(전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을 저해하는 물체를(ex. 자석) 가까이 할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 무건전지 무선 펜을 사용하는 그래픽 태블릿은 자기장을 형성한다. 따라서 작동하는 중에는 그 위에 엎드릴 경우 자기장(전파)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을 저해하는 물체를(ex. 자석) 가까이 할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 타블렛만 갖고 있다고 그림 실력이 눈에 띄게 좋아질 거라고 기대하기는 힘들다. 타블렛 입문 초기 대부분은 실력 저하를 경험하는 데, 종이와 연필로 그리는 것과 타블렛으로 그리는 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무슨 타블렛을 갖든 플라스틱 위에다 플라스틱으로 문지르는 것이기 때문에 종이에다만 그리다가 타블렛으로 옮겨갈 경우 미끄럽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도 적응만 잘하면 단 하나의 도구로 [[연필]]과 [[물감]]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것이므로, 그만큼 작업량과 시도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다.
* 타블렛만 갖고 있다고 그림 실력이 눈에 띄게 좋아질 거라고 기대하기는 힘들다. 타블렛을 갖는 대부분은 원래 실력 그대로 가거나 더 안 좋아지게 되는데, 종이와 연필로 그리는 것과 타블렛으로 그리는 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무슨 타블렛을 갖든 플라스틱 위에다 플라스틱으로 문지르는 것이기 때문에 종이에다만 그리다가 타블렛으로 옮겨갈 경우 미끄럽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도 적응만 잘하면 단 하나의 도구로 [[연필]]과 [[물감]]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것이므로, 그만큼 작업량과 시도를 늘릴 수 있다는 것은 장점이다.
* 비싼 타블렛이 무조건 자신한테 좋은 타블렛은 아니다. 아무리 비싸고 성능이 좋은 타블렛이라고 해도 단점은 존재하고, 액정 타블렛이 그냥 타블렛보다 무조건 좋다고도 할 수 없다.<ref>액정 타블렛 역시 종이나 캔버스와는 다른 재질간 마찰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 타블렛이 갖고 있던 질감의 문제는 그대로 안고 간다.</ref> 물론 고수들은 돈을 좀더 보태서 더 좋은 장비를 쓰지만, 그런 고수들은 애초에 어떤 타블렛을 써도 [https://www.youtube.com/watch?v=osCKMNJB6Sk 잘 그린다].<ref>링크로 첨부한 영상은 [[호주]]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및 애니메이터이자 유튜버로 활동 중이 Jazza의 영상이다. 비교적 단순하고 만화스러운 그림체를 갖고 있지만, [https://www.youtube.com/watch?v=eWXsuziFUkM 마커]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Kx1SoWJT6nw 색연필]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1bAx9rugXsE 액정 타블렛]으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M37nylLfjIo 3D 펜]으로 그려도 일정한 퀄리티의 그림을 뽑아내는 프로다.</ref>
* 비싼 타블렛이 무조건 자신한테 좋은 타블렛은 아니다. 아무리 비싸고 성능이 좋은 타블렛이라고 해도 단점은 존재하고, 액정 타블렛이 그냥 타블렛보다 무조건 좋다고도 할 수 없다.<ref>액정 타블렛 역시 종이나 캔버스와는 다른 재질간 마찰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 타블렛이 갖고 있던 질감의 문제는 그대로 안고 간다.</ref> 물론 고수들은 돈을 좀더 보태서 더 좋은 장비를 쓰지만, 그런 고수들은 애초에 어떤 타블렛을 써도 [https://www.youtube.com/watch?v=osCKMNJB6Sk 잘 그린다].<ref>링크로 첨부한 영상은 [[호주]] 출신 일러스트레이터 및 애니메이터이자 유튜버로 활동 중이 Jazza의 영상이다. 비교적 단순하고 만화스러운 그림체를 갖고 있지만, [https://www.youtube.com/watch?v=eWXsuziFUkM 마커]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Kx1SoWJT6nw 색연필]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1bAx9rugXsE 액정 타블렛]으로 그려도, [https://www.youtube.com/watch?v=M37nylLfjIo 3D 펜]으로 그려도 일정한 퀄리티의 그림을 뽑아내는 프로다.</ref>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