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상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놀이 정보
{{놀이 정보
|놀이이름 = 광상희
| 제목 = 광상희
|원어이름 =  
| 원제목 = 廣象戱
|배경색  =
| 이미지 = [[파일:Gwangsanghui.png]]
|글자색  =
| 설명 = 광상희의 반면
|그림    = [[파일:Gwangsanghui.png]]
| 디자이너 =  
|그림설명 = 광상희의 반면
| 출판사 =  
|다른이름 =  
| 삽화가 =  
|제작    =  
| 출시일 = 1782년 이전
|미술    =  
| 장르 = [[보드게임]]<br>[[추상전략 게임]]<br>변형 장기
|배급사  =  
| 언어 = [[한자]]
|장르     = [[보드게임]]<br />[[추상전략 게임]]<br />[[변형장기]]
| 참여 인원 = 2명
|출시일  = 1782년 이전
| 대상 연령 =  
|인원    = 2명
| 준비 시간 = 1분
|언어    = [[한자]]
| 플레이 시간 =  
|시스템  =  
| 무작위 요소 = 없음
|웹사이트 =  
| 웹 사이트 =
|비고    =  
| 각주 =
}}
}}
'''광상희'''([[廣]]象戱)는 [[한국]]에 존재하던 변형 [[장기]]를 말한다. 조선 시대의 문신 [[남유용]]이 지은 《뇌연집》(雷淵集, 1782년)의 『광상희지』(廣象戱志)에 기록되어있다.
'''광상희'''(廣象戱)는 [[한국]]에 존재하던 변형 [[장기]]를 말한다. 조선 시대의 문신 [[남유용]]이 지은 《뇌연집》(雷淵集, 1782년)의 『광상희지』(廣象戱志)에 기록되어있다.


== 기물 ==
== 기물 ==
27번째 줄: 27번째 줄:
! 기물 !! 행마법
! 기물 !! 행마법
|-
|-
| 원수(元帥) || 장기의 장군에 대응하며, 행마법은 장기의 궁과 같다. 이 기물이 잡힐 경우 패배한다
| 원수(元帥) || 장기의 장군에 대응하며, 행마법은 장기의 궁과 같다.
|-
|-
| 장(將) || 장기의 장군에 대응하며, 행마법은 장기의 궁과 같다. 이 기물을 잡을 경우 해당 진영의 상대 기물은 자신의 것이 되지만, 장을 잡은 기물이 잡힌 경우에는 무효화된다.
| 장(將) || 장기의 장군에 대응하며, 행마법은 장기의 궁과 같다.
|-
|-
| 전봉(前鋒, 前) || -
| 전봉(前鋒, 前) || -
35번째 줄: 35번째 줄:
| 후장(後將, 後) || -
| 후장(後將, 後) || -
|-
|-
| 기문(奇門, 奇) || 1칸 또는 2칸을 차처럼 움직인다.
| 기문(奇門, 奇) || 가로 세로로 1칸 또는 2칸을 차처럼 움직인다.
|-
|-
| 유격(游擊, 游) || [[샹치|중국 장기]]의 상과 같이 대각선으로 2칸 이동한다.
| 유격(游擊, 游) || [[샹치|중국 장기]]의 상과 같이 대각선으로 2칸 이동한다.
57번째 줄: 57번째 줄:


== 규칙 ==
== 규칙 ==
판은 세로줄이 15개에 가로줄이 14개가 있으며(가로줄에 놓는 칸 15개, 세로줄에 놓는 칸이 14개), 모두 210칸이다.
판은 세로줄이 15개에 가로줄이 14개가 있으며(가로줄에 놓는 칸 15개, 세로줄에 놓는 칸이 14개), 모두 210칸이다.  


각각 남북으로 나뉘는데 자기 쪽 가로줄 6개 줄 총 90칸을 삼군(三軍)이라고 한다. 자기쪽 가로줄 5개 줄과 가운데 세로줄 9개의 교차점 45개를 중군(中軍)이라고 하며, 중군의 테두리를 제외한 21칸을 내영이라고 한다. 내영의 가장 중심 아홉 칸을 구궁(九宮)이라고 한다. 구궁에는 대각선으로도 빗금을 긋고, 가운데에 원수를 놓는다. 구궁은 장기의 궁과 같다.
각각 남북으로 나뉘는데 자기 쪽 가로줄 6개 줄 총 90칸을 삼군(三軍)이라고 한다. 자기쪽 가로줄 5개 줄과 가운데 세로줄 9개의 교차점 45개를 중군(中軍)이라고 하며, 중군의 테두리를 제외한 21칸을 내영이라고 한다. 내영의 가장 중심 아홉 칸을 구궁(九宮)이라고 한다. 구궁에는 대각선으로도 빗금을 긋고, 가운데에 원수를 놓는다. 구궁은 장기의 궁과 같다.
68번째 줄: 68번째 줄:
* 원수의 뒤 좌우에 사(士)를 둔다. 사의 양 옆에 상(象)을 둔다. 차(車)는 상의 좌우에 둔다. 포는 구궁의 양 귀퉁이(사가 차지하지 않은 귀퉁이)에 둔다. 마는 상의 두칸 앞(즉 포의 좌우)에 둔다.
* 원수의 뒤 좌우에 사(士)를 둔다. 사의 양 옆에 상(象)을 둔다. 차(車)는 상의 좌우에 둔다. 포는 구궁의 양 귀퉁이(사가 차지하지 않은 귀퉁이)에 둔다. 마는 상의 두칸 앞(즉 포의 좌우)에 둔다.
* 내영을 둘러싼 스물네 칸을 외영(外營)이라 한다
* 내영을 둘러싼 스물네 칸을 외영(外營)이라 한다
* 전봉(前鋒)은 외영 위쪽의 정 가운데(즉 원수보다 두칸 위)에 둔다. 후장(後將)은 외영 아래쪽 의 정 가운데(즉 원수보다 두칸 아래)에 둔다.
* 전봉(前鋒)은 외영 위쪽의 정 가운데(즉 원수보다 두칸 위)에 둔다. 후장(後將)은 외영 아래쪽 의 정 가운데(즉 원수보다 두칸 아래)에 둔다.  
* 외영에서 원수와 가로줄이 같은 2칸에 기(奇)를, 외영의 아래쪽  양옆 모퉁이 2개에 유(游)를, 위쪽 양옆 모퉁이 2개에 복(伏)을 둔다.
* 외영에서 원수와 가로줄이 같은 2칸에 기(奇)를, 외영의 아래쪽  양옆 모퉁이 2개에 유(游)를, 위쪽 양옆 모퉁이 2개에 복(伏)을 둔다.
* 전봉(前鋒) 앞의 빈 한 칸을 영문(營門)이라고 하는 데, 영문과 한 칸을 띄우고 보(步)기(騎) 6개를 영문 맨 왼쪽에 보(步)부터 시작해서 보-기-보-기 순서로 각각 3개씩 서로 다른 기물 사이에 한칸씩 띄우고 놓는다.
* 전봉(前鋒) 앞의 빈 한 칸을 영문(營門)이라고 하는 데, 영문 왼쪽에는 영문과 한 칸을 띄우고 보(步)를 ,오른 쪽에는 역시 영문과 한 칸을 띄우고 기(騎) 6개를 놓는다.
* 왼쪽 세로 줄 3개와 아래쪽 가로줄 5개가 겹치는 곳을 좌군(左軍), 오른쪽 세로 줄 3개와 아래쪽 가로줄 5개가 겹치는 곳을 우군(右軍)이라고 한다. 역시 좌군과 우군의 중심 9개 칸도 구궁이라고 하는데 빗금이 있고,  장(將)을 둔다.
* 왼쪽 세로 줄 3개와 아래쪽 가로줄 5개가 겹치는 곳을 좌군(左軍), 오른쪽 세로 줄 3개와 아래쪽 가로줄 5개가 겹치는 곳을 우군(右軍)이라고 한다. 역시 좌군과 우군의 중심 9개 칸도 구궁이라고 하는데 빗금이 있고,  장(將)을 둔다.
* 좌군과 우군의 장 뒤에도 사를 하나 둔다.
* 좌군과 우군의 장 뒤에도 사를 하나 둔다.  
* 좌군이나 우군에 위치한 사의 양 바깥쪽 옆칸에 차를, 안쪽 옆칸에 상을 둔다. 좌군/ 우군의 구궁 위쪽 모퉁이에는 안쪽에 마를, 바깥쪽에 포를 둔다.
* 좌군이나 우군에 위치한 사의 양 바깥쪽 옆칸에 차를, 안쪽 옆칸에 상을 둔다. 좌군/ 우군의 구궁 위쪽 모퉁이에는 안쪽에 마를, 바깥쪽에 포를 둔다.


{{각주}}
{{각주}}
[[분류:장기]]
[[분류:장기]]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