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수도권 4호선 틀}}
|이름    = 과천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번호    = 317
|구간    = [[금정역|금정]] ~ [[남태령역|남태령]]
|영업거리 = 14.4 km
|역수    = 10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93년]] [[1월 15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ref>범계 ~ [[선바위역|선바위]] 구간은 [[가공강체가선]] 사용</ref>
|신호    = [[ATC]]
|비고    =
}}


'''果川線 / Gwacheon Line'''
{| class="wikitable"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align="center" | '''과천선'''
|-
| align="center"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align="center" | '''영업거리'''
|| 13.4㎞
|-
| align="center" | '''궤간'''
|| 1435mm [[표준궤]]
|-
| align="center" | '''신호'''
|| [[ATC]]
|-
| align="center" | '''차량기지'''
|| [[시흥차량사업소]]
|-
| align="center" | '''지상구간'''
|| 금정역
|-
| align="center" | '''연혁'''
|| 1993. 01. 15 금정↔인덕원<br />1994. 04. 01 사당↔인덕원
|}
== 개요 ==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과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까지를 잇는 [[광역전철]] 노선.
[[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과 [[경기도]] [[군포시]] [[금정역]]까지를 잇는 [[광역전철]] 노선.


34번째 줄: 36번째 줄:
당초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었을 당시, 서울특별시에서는 이 노선을 연장하여 과천시를 경유, 금정역까지를 잇는 연장선을 계획한 바 있다. 현재의 과천선과 매우 비슷한 계획인 셈.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는 계속해서 미루어졌고(...) [[1993년]]에야 철도청 관할의 과천선의 1단계 구간인 금정역-인덕원역 간 4개 역이 개통되었다.
당초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이 개통되었을 당시, 서울특별시에서는 이 노선을 연장하여 과천시를 경유, 금정역까지를 잇는 연장선을 계획한 바 있다. 현재의 과천선과 매우 비슷한 계획인 셈. 그러나, 결과적으로 이는 계속해서 미루어졌고(...) [[1993년]]에야 철도청 관할의 과천선의 1단계 구간인 금정역-인덕원역 간 4개 역이 개통되었다.


이때 당시만 하더라도 4호선과 직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철(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동차가 다녔고, 배차간격은 '''광역전철 주제에 20분(...)'''이라는, 희대의 배차간격으로 다녔다.<ref>일찍이 [[1988년]] 개통한 [[안산선]]도 당시에는 국철(1호선) 구간의 일부로 [[2003년]]까지 1호선 열차가 다녔다.</ref><s>물론 [[2010년]]대에 1시간에 1대 배차인 [[신촌역 (지상)|전철역]]도 있지만 넘어가자(...)</s>
이 때 당시만 하더라도 4호선과 직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철(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전동차가 다녔고, 배차간격은 '''광역전철 주제에 20분(...)'''이라는, 희대의 배차간격으로 다녔다.<ref>일찍이 [[1988년]] 개통한 [[안산선]]도 당시에는 국철(1호선) 구간의 일부로 [[2003년]]까지 1호선 열차가 다녔다.</ref><s>물론 2010년대에 1시간에 1대 배차인 [[신촌역 (지상)|전철역]]도 있지만 넘어가자(...)</s>


이후 [[1994년]] [[4월 1일]] 남은 구간인 인덕원-사당 구간이 완공되어 과천선 구간은 순수 4호선의 구간으로 취급되어 1호선 열차 직통은 중지되었다.(안산선 제외, 당시 안산선은 1호선과 4호선 열차가 같이 다녔다.)
이후 [[1994년]] [[4월 1일]] 남은 구간인 인덕원-사당 구간이 완공되어 과천선 구간은 순수 4호선의 구간으로 취급되어 1호선 열차 직통은 중지되었다.(안산선 제외, 당시 안산선은 1호선과 4호선 열차가 같이 다녔다.)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303에서 317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꽈배기굴 ==
== 꽈배기굴 ==
문제는 서로 운행 방식이 전혀 달랐던 안산선과 지하철 4호선을 직결하려다보니,  통행방식(4호선: 우측통행 / 안산선: 좌측통행)과 전류 공급방식(4호선: 직류 1,500 V / 안산선: 교류 25 kV)이<ref>직류 전용 전동차가 교류 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그대로 '''[[폭발]]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직류 전용 전동차는 교류 구간을 달릴수 없다.</ref> 여러모로 달라서 끝내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남태령역]]과 [[선바위역]]에 [[꽈배기굴]]을 놓아버리는, 세계 지하철 역사상 유례없는(...) 건설방식이 이루어졌다.
문제는 서로 운행 방식이 전혀 달랐던 안산선과 지하철 4호선을 직결하려다보니,  통행방식(4호선: 우측통행 / 안산선: 좌측통행)이 여러모로 달라서 끝내 결론을 내리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남태령역]]과 [[선바위역]]에 [[꽈배기굴]]을 놓아버리는, 세계 지하철 역사상 유래없는(...) 건설방식이 이루어졌다.


이 때문에 [[1994년]] 당시 뉴스를 보면 과천선 꽈배기굴 구간에서 항상 전동차의 고장이나 사고가 잦았다(...)
이 때문에 [[1994년]] 당시 뉴스를 보면 과천선 꽈배기굴 구간에서 항상 전동차의 고장이나 사고가 잦았다(...)


이런 탓에 [[1996년]] 완공 된 [[일산선]]은 철도청이 지었음에도 우측통행으로 지어졌다. 이 쪽은 [[경의선]]과도 선로가 연계가 없었고 별도의 광역전철과 직결될 예정이 아니었기 때문.
이런 탓에 [[1996년]] 완공 된 [[일산선]]은 철도청이 지었음에도 우측통행으로 지어졌다. 이 쪽은 [[경의선]]과도 선로가 연계가 없었고 별도의 광역전철과 직결될 예정이 아니었기 때문.
== 특징 ==
== 특징 ==
* 출퇴근 시간에 항상 [[지옥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원래 대한민국의 광역 전철이나 지하철이 출퇴근시간에는 항상 지옥철이긴 하지만, 이 노선은 안산 뿐만 아니라 1호선 연선 지역들(군포, 수원, 오산 등)에서부터 올라오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ref>1호선이 지연이 은근 많은 편인 것도 한몫한다(...)</ref> 특히 대공원이나 경마공원 등 유원지도 지나기 때문에 소풍철이나 이럴 때도 지옥이다(...) 이 때문에 과천선 [[급행]]열차 운행 [[떡밥]]이 항상 존재한다. <s>하지만 과천선에는 대피선이 없잖아 안 될 꺼야 아마</s>
* 출퇴근 시간에 항상 [[지옥철]]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원래 대한민국의 광역 전철이나 지하철이 출퇴근시간에는 항상 지옥철이긴 하지만, 이 노선은 안산 뿐만 아니라 1호선 연선 지역들(군포, 수원, 오산 등)에서부터 올라오는 승객들이 많기 때문.<ref>1호선이 지연이 은근 많은 편인 것도 한 몫한다(...)</ref> 특히 대공원이나 경마공원 등 유원지도 지나기 때문에 소풍철이나 이럴 때도 지옥이다(...) 이 때문에 과천선 [[급행]]열차 운행 [[떡밥]]이 항상 존재한다. <s>하지만 과천선에는 대피선이 없잖아 안 될 꺼야 아마</s>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번호
|+ 광역전철 과천선 역 목록
! 역번호
! km
! km
! 정거장
! colspan="2" | 역명
! 연계 노선
! 승강장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4
| colspan="8" |↑ [[사당역|사 당]]
| style="text-align: right;" | 0.0
|-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4
| style="text-align: right;" | 14.4
| [[남태령역|남태령]]
| [[남태령역|남태령]]
| style="text-align: left;" | [[서울 도시철도 4호선|4호선]] (연결)
| 南泰嶺
| colspan="2" | [[서울특별시]]<br />[[서초구]]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5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5
| style="text-align: right;" | 2.6
| style="text-align: right;" | 12.4
| [[선바위역|선바위]]
| [[선바위역|선바위]]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9" | {{세로|[[경기도]]}}
| ■││■
| rowspan="5" | [[과천시]]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6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6
| style="text-align: right;" | 3.9
| style="text-align: right;" | 11.4
| [[경마공원역|경마공원]]
| [[경마공원역|경마공원]]
| style="text-align: left;" |  
| 競馬公園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7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7
| style="text-align: right;" | 5.5
| style="text-align: right;" | 10.5
| [[대공원역 (과천)|대공원]]
| [[대공원역|대공원]]
| style="text-align: left;" |  
| 大公園
| ■││■
|
|
|
|-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8
| style="text-align: right;" | 9.5
| [[과천역|과 천]]
| 果 川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8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39
| style="text-align: right;" | 8.5
| style="text-align: right;" | 8.5
| [[과천역|과천]]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39
| style="text-align: right;" | 9.5
| [[정부과천청사역|정부과천청사]]
| [[정부과천청사역|정부과천청사]]
| style="text-align: left;" |  
| 政府果川廳舍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40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40
| style="text-align: right;" | 10.5
| style="text-align: right;" | 5.5
| [[인덕원역|인덕원]]
| [[인덕원역|인덕원]]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탄인덕원}} [[동탄인덕원선]] (예정)''
| 仁德院
| rowspan="3" | [[안양시]]
| ■││■
| <del>[[인덕원동탄선]]</del><ref>2015년 현재 이 노선이 4호선의 직결 노선이 될지, 별도 노선이 될지는 확정되지 않은 상태다. 일단 최초 제안 당시에는 4호선 직결 노선으로 제안되어 있다. 확정되어 착공할 경우 색을 입혀주기 바람.</ref>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41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41
| style="text-align: right;" | 11.4
| style="text-align: right;" | 3.9
| [[평촌역|평촌]]
| [[평촌역|평 촌]]
| style="text-align: left;" |  
| 坪 村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42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42
| style="text-align: right;" | 12.4
| style="text-align: right;" | 2.6
| [[범계역|범계]]
| [[범계역|범 계]]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43
| style="background-color: #32a1c8; color: white;" | 443
| style="text-align: right;" | 14.4
| style="text-align: right;" | 0.0
| [[금정역|금정]]
| [[금정역|금 정]]
| style="text-align: left;" | [[안산선]] (연결)<br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衿 井
| [[군포시]]
| │■││││■│
| <span style="color: #0d3692;">●</span>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
|-
|-
| colspan="8" |↓ [[산본역|산 본]]([[안산선]])
|}
|}


=== 과천지식정보타운역 (계획, 가칭) ===
== 참조 ==
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택지지구 개발에 따라 정부과천청사와 인덕원 사이에 새로운 역을 건설할 계획이다. 2022년 10월 7일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2-567호</ref>
<references/>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