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종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ofinal.png|섬네일|오른쪽|300px|<math>\omega</math>와 그의 한 공종 집합을 나타낸 그림. 선 하나는 <math>\le</math> 관계를 나타낸다. 이에서 볼 수 있듯이, <math>\omega</math>, 또는 임의의 가산 집합의 공종 집합은 그 기수가 <math>\aleph_0</math>여야 한다. 또한, '공종'이라는 용어의 의미 역시 알 수 있다, 즉 '같이 끝나는' 집합을 공종 집합이라고 하는 것이다.]]
[[분류:집합론]] [[분류:순서론]]


[[수학]]에서, 특히 [[집합론]]이나 [[순서론]]에서, [[반순서집합]](poset) <math>\alpha</math>의 '''공종도'''(共終度, {{영어|cofinality}}, {{일본어|共終数}}, {{중국어|共尾性}}) <math>\operatorname{cf}(\alpha)</math>는 <math>\alpha</math>의 공종 부분집합의 최소(least) 기수를 말한다. 이는 [[서수]]나 [[기수]]가 얼마나 복잡한지를 나타내며, 모든 서수나 기수는 그 공종도에 적절한 연산을 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학술}}
 
[[파일:Cofinal.png|섬네일|오른쪽|300px|<math>\omega</math>와 그의 한 공종 집합을 나타낸 그림. 선 하나는 <math>\le</math> 관계를 나타낸다. 이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math>\omega</math>, 또는 임의의 가산 집합의 공종 집합은 그 기수가 <math>\aleph_0</math>여야 한다. 또한, '공종'이라는 용어의 의미 역시 알 수 있다, 즉 '같이 끝나는' 집합을 공종 집합이라고 하는 것이다.]]
 
[[수학]]에서, 특히 [[집합론]]이나 [[순서론]]에서, [[반순서집합]](poset) <math>\alpha</math>의 '''공종도'''({{llang|en|cofinality}}, <small>[[한자]]:&nbsp;</small>共終度, {{llang|ja|共終数}}, {{llang|zh|共尾性}}) <math>\operatorname{cf}(\alpha)</math>는 <math>\alpha</math>의 공종 부분집합의 최소(least) 기수를 말한다. 이는 [[서수]]나 [[기수]]가 얼마나 복잡한지를 나타내며, 모든 서수나 기수는 그 공종도에 적절한 연산을 하여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공종도를 정의할 때, 기수들의 공 아닌 집합(collection)은 최소원소를 갖는다(well-ordered)는 가정을 하는데, 이는 [[정렬정리]]로 [[선택공리]]와 [[동치]]인 명제이다. 즉, 공종도가 잘 정의되려면 선택공리가 필요하다.
또한 공종도를 정의할 때, 기수들의 공 아닌 집합(collection)은 최소원소를 갖는다(well-ordered)는 가정을 하는데, 이는 [[정렬정리]]로 [[선택공리]]와 [[동치]]인 명제이다. 즉, 공종도가 잘 정의되려면 선택공리가 필요하다.
12번째 줄: 16번째 줄:
=== 서수의 경우 ===
=== 서수의 경우 ===
서수, 특히 [[극한서수]](limit ordinal)의 경우, 동치인 정의가 있다:
서수, 특히 [[극한서수]](limit ordinal)의 경우, 동치인 정의가 있다:
* <math>\alpha</math>를 극한서수라 하자. 이때 <math>\sup_{i<\lambda} \alpha_i = \alpha</math>인 <math>\langle \alpha_i  < \alpha: \, i < \lambda \rangle</math>이 존재하는 <math>\lambda</math> 중 최소의 것을 <math>\alpha</math>의 '''공종도'''라 한다.
* <math>\alpha</math>를 극한서수라 하자. 이때 <math>\sup_{i<\lambda} \alpha_i = \alpha</math>인 <math>\langle \alpha_i  < \alpha: \, i < \lambda \rangle</math>이 존재하는 <math>\lambda</math> 중 최소의 것을 <math>\alpha</math>의 '''공종도'''라 한다.  
* 서수 <math>\alpha</math>의 '''공종도'''는 그 공종 집합들의 [[순서형]](order type)들 중 가장 작은 서수이다.
* 서수 <math>\alpha</math>의 '''공종도'''는 그 공종 집합들의 [[순서형]](order type)들 중 가장 작은 서수이다.


==== 정칙 서수와 특이 서수 ====
==== 정칙 서수와 특이 서수 ====
<math>\operatorname{cf}(\alpha) = \alpha</math>인 <math>\alpha</math>를 '''정칙 서수'''(regular ordinal)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서수를 '''특이 서수'''(singular ordinal)이라고 한다. ''당연하게도'' 모든 정칙 서수는 기수이다.
<math>\operatorname{cf}(\alpha) = \alpha</math>인 <math>\alpha</math>를 '''정칙 서수'''(regular ordinal)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서수를 '''특이 서수'''(singular ordinal)이라고 한다. '''당연하게도''' 모든 정칙 서수는 기수이다.


서수 <math>\alpha</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서수 <math>\alpha</math>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37번째 줄: 41번째 줄: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Elsevier. {{ISBN|0-444-86839-9}}.
* Kunen, Kenneth (1980).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Elsevier. ISBN 0-444-86839-9.
* Hrbacek, Karel; Jech, Thomas (1999). ''Introduction to Set Theory'' (3 ed.). {{ISBN|0-8247-7915-0}}.
* Hrbacek, Karel; Jech, Thomas (1999). ''Introduction to Set Theory'' (3 ed.). ISBN 0-8247-7915-0.
* Spencer Unger. ''Forcing Summer School Lecture Notes''. http://homepages.math.uic.edu/~shac/forcing/forcing2014.pdf 에서 2016. 01. 19.에 확인함.
* Spencer Unger. ''Forcing Summer School Lecture Notes''. http://homepages.math.uic.edu/~shac/forcing/forcing2014.pdf 에서 2016. 01. 19.에 확인함.
[[분류:집합론]]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