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포마을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ㅊ|이 마을을 [[홍진호]]가 싫어합니다}}
{{ㅊ|이 마을을 [[홍진호]]가 싫어합니다}}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2리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2리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 북면|북면]] 나곡6리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울진)|북면]] 나곡6리
==개요==
==개요==
[[파일:고포마을 지적도.jpg|섬네일|고포마을의 지적도. 마을 한 가운데를 도 경계선이 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고포마을 지적도.jpg|섬네일|고포마을의 지적도. 마을 한 가운데를 도 경계선이 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https://librewiki.net/images/5/53/%EA%B3%A0%ED%8F%AC%EB%A7%88%EC%9D%84_%EC%A7%80%EC%A0%81%EB%8F%84.jpg 크게보기]]]
[[파일:고포마을길.JPG|섬네일|사진으로 보이는 길 왼편은 경북 울진에, 오른편은 강원 삼척에 속한다.]]
[[파일:고포마을길.JPG|섬네일|사진으로 보이는 길 왼편은 경북 울진에, 오른편은 강원 삼척에 속한다.]]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월천2리)와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 북면|북면]] 나곡리(나곡6리)에 걸쳐져 있는 마을로 전체 약 20여가구가 모여서 사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경상북도 울진군의 가장 북쪽 마을이면서 동시에 강원도 삼척시의 가장 남쪽 마을이기도 한 곳이다 {{ㅊ|이게 무슨 소리야??}}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월천2리)와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울진)|북면]] 나곡리(나곡6리)에 걸쳐져 있는 마을로 전체 약 20여가구가 모여서 사는 마을이다. 이 마을은 경상북도 울진군의 가장 북쪽 마을이면서 동시에 강원도 삼척시의 가장 남쪽 마을이기도 한 곳이다 {{ㅊ|이게 무슨 소리야??}}


이런 이유가 발생한 것은 본래는 양 쪽 마을 모두 [[강원도]] [[삼척시|삼척군]]에 소속된 마을이었으나 1963년에 있었던 행정구역 개편 당시 마을 한복판을 흐르는 자그마한 개울이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도단위 경계선으로 결정되면서 개울 남쪽에 있는 집들이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 북면|북면]] 나곡6리로 떨어져 나가버린 것. 거기다 그 개울이 하필 복개천이라서 뚜껑(...){{ㅈ|정확히는 콘트리트 포장, 이후에 아스팔트 포장을 덧칠함}}이 덮혀있고, 그 위로 도로가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마을 가운데 도로가 두 광역자치단체의 경계선이 되어버린 것이다. 결국 근본을 따지면 한 동네임에도 불구하고 광역단위인 도(道) 단위에서 갈라져 버리게 된 요상한 형태의 마을인 것.
이런 이유가 발생한 것은 본래는 양 쪽 마을 모두 [[강원도]] [[삼척시|삼척군]]에 소속된 마을이었으나 1963년에 있었던 행정구역 개편 당시 마을 한복판을 흐르는 자그마한 개울이 [[강원도]]와 [[경상북도]]의 도단위 경계선으로 결정되면서 개울 남쪽에 있는 집들이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울진군)|북면]] 나곡6리로 떨어져 나가버린 것. 거기다 그 개울이 하필 복개천이라서 뚜껑(...){{ㅈ|정확히는 콘트리트 포장, 이후에 아스팔트 포장을 덧칠함}}이 덮혀있고, 그 위로 도로가 개설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마을 가운데 도로가 두 광역자치단체의 경계선이 되어버린 것이다. 결국 근본을 따지면 한 동네임에도 불구하고 광역단위인 도(道) 단위에서 갈라져 버리게 된 요상한 형태의 마을인 것.


보통 자연지형을 행정구역의 경계선으로 삼는 것이 당연한 것은 맞는데  '''광역단위'''의 경계선을 정하는데 조그마한 개울(이라지만 사실상 이면도로) 하나를, 그것도 '''멀쩡한 마을의 한 가운데'''를 지나가게 정한 사례는 대한민국에서 이 곳이 유일할 것이다. (다른 비슷한 사례 있으면 [[추가바람]]) {{ㅊ|당시 담당 공무원이 그냥 [[탁상행정|지도만 보고]] 선을 그었을 수도 있다}}
보통 자연지형을 행정구역의 경계선으로 삼는 것이 당연한 것은 맞는데  '''광역단위'''의 경계선을 정하는데 조그마한 개울(이라지만 사실상 이면도로) 하나를, 그것도 '''멀쩡한 마을의 한 가운데'''를 지나가게 정한 사례는 대한민국에서 이 곳이 유일할 것이다. (다른 비슷한 사례 있으면 [[추가바람]]) {{ㅊ|당시 담당 공무원이 그냥 [[탁상행정|지도만 보고]] 선을 그었을 수도 있다}}
15번째 줄: 15번째 줄:
==골때리는 현상==
==골때리는 현상==
사실 인접한 마을 내부에서 행정구역의 경계가 다를 수는 있지만 이 경우는 그 골때리는 정도가 특히나 심각하다. 보통 인접한 마을이 행정구역이 서로 다른 경우는 원래 떨어진 마을이 서로 커지면서 인접하게 되면서 연결되거나{{ㅈ|이런 경우 바로 길 건너라고 하여도 같은 마을이라는 인식은 적다. 대표적인 사례로 [[인천광역시]] [[부개동]]과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같은 경우는 두 도시가 확장하면서 경계선까지 주거지역이 맞닿은 경우이다.}} 동일한 기초자치단체 내에서 갈라지는 경우인데 이 고포마을의 경우는 원래 하나의 자연취락이 기초자치단위인 시나 군단위도 아니고 광역자치단체인 도단위에서 갈라져 버린 것이라 여러 가지로 골때리는 현상들이 나타난다.
사실 인접한 마을 내부에서 행정구역의 경계가 다를 수는 있지만 이 경우는 그 골때리는 정도가 특히나 심각하다. 보통 인접한 마을이 행정구역이 서로 다른 경우는 원래 떨어진 마을이 서로 커지면서 인접하게 되면서 연결되거나{{ㅈ|이런 경우 바로 길 건너라고 하여도 같은 마을이라는 인식은 적다. 대표적인 사례로 [[인천광역시]] [[부개동]]과 [[경기도]] [[부천시]] [[송내동]]과 같은 경우는 두 도시가 확장하면서 경계선까지 주거지역이 맞닿은 경우이다.}} 동일한 기초자치단체 내에서 갈라지는 경우인데 이 고포마을의 경우는 원래 하나의 자연취락이 기초자치단위인 시나 군단위도 아니고 광역자치단체인 도단위에서 갈라져 버린 것이라 여러 가지로 골때리는 현상들이 나타난다.
*맨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을 이름은 하나인데, 주소는 월천리와 나곡리 [[홍진호|2개]]의 주소로 나뉜다.
*맨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마을 이름은 하나인데, 주소는 월천리와 나곡리 [[홍진호|2개]]의 주소로 나뉜다.
*길 건너편에 자리한 앞집에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지역번호를 눌러야 한다. 같은 마을인데 [[지역번호]]는 [[홍진호|2개]]!!
*길 건너편에 자리한 앞집에 전화를 걸기 위해서는 지역번호를 눌러야 한다. 같은 마을인데 [[지역번호]]는 [[홍진호|2개]]!!
20번째 줄: 21번째 줄:
*마을을 방문해 보면 마을회관도 울진군쪽의 마을회관과, 삼척시쪽의 마을회관이 각각 존재한다. 마을은 하나인데 회관은 [[홍진호|2개]]. {{ㅊ|무슨 더블커맨드냐}}
*마을을 방문해 보면 마을회관도 울진군쪽의 마을회관과, 삼척시쪽의 마을회관이 각각 존재한다. 마을은 하나인데 회관은 [[홍진호|2개]]. {{ㅊ|무슨 더블커맨드냐}}
*마을 남쪽 [[한울 원자력 발전소]]로 인해 한전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주민들에게 지원금을 주는데, 길 건너편의 월천리 주민들에게는 같은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울진군]]이 아니라 [[삼척시]] 주민이라는 이유로 한푼도 돈이 돌아가지 않는다. {{ㅊ|앞집은 돈 받는데 우리집은 못받아요}}
*마을 남쪽 [[한울 원자력 발전소]]로 인해 한전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인근 주민들에게 지원금을 주는데, 길 건너편의 월천리 주민들에게는 같은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울진군]]이 아니라 [[삼척시]] 주민이라는 이유로 한푼도 돈이 돌아가지 않는다. {{ㅊ|앞집은 돈 받는데 우리집은 못받아요}}
*같은 동네에서 나고 자란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길 건너편에 사는 친구라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교에서 마주칠 일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을 같은 대학으로 가지 않는 한 학교에서는 빠빠이~. 하나의 마을인데 학군이 광역단위 규모에서 [[홍진호|2개]]로 나누어진다.
*같은 동네에서 나고 자란 사이임에도 불구하고 길 건너편에 사는 친구라면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교에서 마주칠 일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대학을 같은 대학으로 가지 않는 한 학교에서는 빠빠이~. 하나의 마을인데 학군이 [[홍진호|2개]]로 나뉘는 것이다.
*길 건너편 앞집으로 편지를 보내면 각각 반대편 우체국으로 간 다음 강릉과 대구의 우편집중국을 각기 거쳐서 배달된다. 때문에 한 마을에 강원도쪽 우체부와 경상도쪽 우체부가 각기 나눠서 돌아다닌다. 즉 20가구밖에 안 되는 작은 마을인데 담당 우체부가 [[홍진호|2명]]이다. {{ㅊ|그냥 직접 들고 가는게 더 빠르겠다}}
*길 건너편 앞집으로 편지를 보내면 각각 반대편 우체국으로 간 다음 강릉과 대구의 우편집중국을 각기 거쳐서 배달된다. 때문에 한 마을에 강원도쪽 우체부와 경상도쪽 우체부가 각기 나눠서 돌아다닌다. 즉 20가구밖에 안 되는 작은 마을인데 담당 우체부가 [[홍진호|2명]]이다. {{ㅊ|그냥 직접 들고 가는게 더 빠르겠다}}
*선거를 할 때 같은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삼척과 울진으로 각기 나뉘어서 선거를 치뤄야 한다. 한 마을인데 선거구가 [[홍진호|2개]]!! 선거철에 한쪽에는 강원도쪽 후보 현수막이, 건너편에는 경상북도쪽 후보 현수막이 걸리게 되는지라 직접 가서 보면 꽤나 아스트랄해진다.
*선거를 할 때 같은 마을임에도 불구하고 삼척과 울진으로 각기 나뉘어서 선거를 치뤄야 한다. 한 마을인데 선거구가 [[홍진호|2개]]!! 선거철에 한쪽에는 강원도쪽 후보 현수막이, 건너편에는 경상북도쪽 후보 현수막이 걸리게 되는지라 직접 가서 보면 꽤나 아스트랄해진다.
*월천리쪽 주민들의 농경지는 길 건너편의 나곡리쪽에 9할쯤 존재한다. 문제는 집과 밭의 문제 때문에 서류를 떼려고 관청을 방문하거나 기타 민원업무 처리를 하려면 [[강원도]]와 [[경상북도]]를 오가야 한다. 문제는 양쪽 관청은 서로 남북으로 70km이상 떨어져 있다. 가장 심한 경우는 개인 소유의 사유지가 양쪽에 걸쳐있는 경우 민원을 양쪽 관청에 동시에 넣어야 하는 상황이다. 왕복하면 다른 시간 다 빼고 이동시간만 [[홍진호|2시간]] 이상이 걸린다.
*월천리쪽 주민들의 농경지는 길 건너편의 나곡리쪽에 9할쯤 존재한다. 문제는 집과 밭의 문제 때문에 서류를 떼려고 관청을 방문하거나 기타 민원업무 처리를 하려면 [[강원도]]와 [[경상북도]]를 오가야 한다. 문제는 양쪽 관청은 서로 남북으로 70km이상 떨어져 있다는 것. 가장 심한 경우는 개인 소유의 사유지가 양쪽에 걸쳐있는 경우 민원을 양쪽 관청에 동시에 넣어야 한다는 것이다. 왕복하면 다른 시간 다 빼고 이동시간만 [[홍진호|2시간]] 이상이 걸린다.
*조그마한 도로가 도의 경계선이 되다 보니 폭 2미터 남짓한 하나의 길에 [[홍진호|2개]]의 이름이 붙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삼척쪽에서는 "고포월천길"이라고 부르고, 울진쪽에서는 "고포길"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한동안은 이 길이 이 마을의 유일한 진입로이기도 했었던 것
*조그마한 도로가 도의 경계선이 되다 보니 폭 2미터 남짓한 하나의 길에 [[홍진호|2개]]의 이름이 붙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삼척쪽에서는 "고포월천길"이라고 부르고, 울진쪽에서는 "고포길"이라고 부른다. 문제는 한동안은 이 길이 이 마을의 유일한 진입로이기도 했었던 것
*이 동네에서 범죄가 일어나지 않자 "범죄없는 마을"표지판을 세웠는데... 문제는 강원도쪽의 춘천지검과 경상북도쪽의 대구지검에서 각기 표지판을 붙여줘서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도 [[홍진호|2개]]가 되었다.
*이 동네에서 범죄가 일어나지 않자 "범죄없는 마을"표지판을 세웠는데... 문제는 강원도쪽의 춘천지검과 경상북도쪽의 대구지검에서 각기 표지판을 붙여줘서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도 [[홍진호|2개]]가 되었다는 것.
*도가 갈라지는 경계선이다 보니 군 작전지역도 이쪽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덕분에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정확하게 이쪽 동네의 해안으로 침투를 하였다. 문제는 하나의 마을을 관할하는 군부대가 [[홍진호|두 곳]]이라 서로 책임소재를 떠넘기기에 바빴었다.(정확히는 책임 경계구역의 딱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도가 갈라지는 경계선이다 보니 군 작전지역도 이쪽으로 나뉘게 되는데 이 덕분에 "[[울진, 삼척지구 무장공비 침투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정확하게 이쪽 동네의 해안으로 침투를 하였다. 문제는 하나의 마을을 관할하는 군부대가 [[홍진호|두 곳]]이라 서로 책임소재를 떠넘기기에 바빴다는 것.(정확히는 책임 경계구역의 딱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도 단위가 다르다 보니 당연히 마을의 담당 법원도 [[홍진호|2곳]]이 된다. 만일 도로 남쪽 주민과 북쭉 주민간의 민사나 형사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건의 관할을 놓고 꽤나 아스트랄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다행히 그런 경우는 없다고 한다. 괜히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이 [[홍진호|2개]]가 아니다)
*도 단위가 다르다 보니 당연히 마을의 담당 법원도 [[홍진호|2곳]]이 된다. 만일 도로 남쪽 주민과 북쭉 주민간의 민사나 형사상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 사건의 관할을 놓고 꽤나 아스트랄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다행히 그런 경우는 없다고 한다. 괜히 범죄없는 마을 표지판이 [[홍진호|2개]]가 아니다)
*마을의 가로등도 디자인이 울진군쪽의 가로등과 삼척시쪽의 가로등이 서로 다르다. 다만 중복투자를 막기 위해서인지 도 경계선 부근의 가로등은 모두 울진군쪽에서 설치한 가로등으로만 되어있다. 아무래도 구 [[7번 국도]]쪽에서 들어오는 진입로의 경우 울진군 지역에서 시작하기 때문인 듯. 대신 삼척쪽으로 연결되는 해안도로의 가로등은 얄짤없이 삼척시에서 설치한 가로등이다.
*마을의 가로등도 디자인이 울진군쪽의 가로등과 삼척시쪽의 가로등이 서로 다르다. 다만 중복투자를 막기 위해서인지 도 경계선 부근의 가로등은 모두 울진군쪽에서 설치한 가로등으로만 되어있다. 아무래도 구 [[7번 국도]]쪽에서 들어오는 진입로의 경우 울진군 지역에서 시작하기 때문인 듯. 대신 삼척쪽으로 연결되는 해안도로의 가로등은 얄짤없이 삼척시에서 설치한 가로등이다.
47번째 줄: 48번째 줄:


==다른 지역의 고포마을==
==다른 지역의 고포마을==
울진과 삼척에 걸쳐있는 고포리 이외에 대한민국에서 고포마을이나 고포리라는 명칭을 쓰는 곳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내비게이션]]에서 그냥 고포마을로 검색하면 이 마을은 안나오고 아래 두 마을만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 동네를 찾으려면 월천리나 나곡리로 검색을 해야 한다 {{ㅊ|마을 이름도 [[홍진호|2개]]냐}}
울진과 삼척에 걸쳐있는 고포리 이외에 대한민국에서 고포마을이나 고포리라는 명칭을 쓰는 곳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내비게이션]]에서 그냥 고포마을로 검색하면 이 마을은 안나오고 아래 두 마을만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 동네를 찾으려면 월천리나 나곡리로 검색을 해야 한다{{ㅊ|마을 이름도 [[홍진호|2개]]냐}}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고포리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고포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
*[[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고포리


==유사 상황==
==유사 상황==
58번째 줄: 60번째 줄:
[[분류:삼척시]][[분류:울진군]]
[[분류:삼척시]][[분류:울진군]]
[[분류:마을]]
[[분류:마을]]
{{리브레 맵스 마커|37.14548026939883|129.36267256736755|11|고포마을}}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