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솔라파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9번째 줄: 9번째 줄:
==고창비행장==
==고창비행장==
{{공항 정보
{{공항 정보
|공항이름 = 고창비행장
| box-width = 300px
|원어이름 =  
| 공항명    = 고창비행장(폐쇄)
|그림    =  
| 한자명 =
|그림설명 =  
| 영어명 =  
|지도    =  
| 그림     =
|지도설명 =  
| 그림 사이즈 =
|IATA     =  
| 그림 설명     =  
|ICAO     = RKJG
| 그림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 그림2 사이즈=  
|이용지역 =  
| 그림2 설명    =
|위치    = [[전라북도]] [[고창군]]
| IATA         =  
|종류    = 민간(폐쇄)
| ICAO         = RKJG
|운영    =  
| 지도 =
|항공사  =  
| 종별        = 민간(폐쇄)
|개항일  =  
| 시간기준 =한국 표준시
|폐지일  =  
| 운영시간 =
|해발고도 = 2 m / 8 ft
| 운영기관     =  
|웹사이트 =  
| 지역  = [[전라북도]]
|활주로  =  
| 위치    = {{국기그림|대한민국}} [[전라북도]] [[고창군]]
{{공항 정보/시설
| 허브 =
|번호 = 05L/23R
| 건립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길이 = 700×25 m
| 사용시기        = <!-- for military airports -->
|표면 = 콘크리트
| 책임자    = <!-- for military airports -->
}}
| 점유기관    = <!-- for military airports -->
|헬리패드 =  
| metric-elev  = yes
|비고    =  
| 해발-f  = 8
| 해발-m  = 2
| 웹사이트      =  
<!-- 활주로 -->
| r1-방향    = 05L/23R
| r1-길이 = 700
| r1-폭 = 25
| r1-ILS =
| r1-표면   = 콘크리트
| r2-방향    =
| r2-길이 =
| r2-폭 =
| r2-ILS =
| r2-표면  =
| r3-방향    =
| r3-길이 =
| r3-폭 =
| r3-ILS =
| r3-표면  =
<!--통계 -->
| stat-연도    =
| stat1-제목 =
| stat1-수치  =
| stat2-제목 =
| stat2-수치  =
| stat3-제목 =
| stat3-수치  =  
<!--  stat4-까지 작성 가능-->
| footnotes    =  
}}
}}
고창솔라파크가 자리한 자리는 본래 1990년 5월 삼미그룹 계열사인 삼미기술산업에서 육군항공기조립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인가를 취득하고 1천미터 길이의 활주로 1기와 관제탑, 격납고 1동의 시설을 갖추어 놓았던 시설로 당초 계획은 비행훈련장 설치까지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IMF크리로 [[삼미그룹]]이 공중분해되고 당시 훈련장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의 반발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일반 경비행기의 이착륙도 주민들의 반대로 쉽지 않은 상황이었었다.
{{폐지|공항}}
고창솔라파크가 자리한 자리는 본래 1990년 5월 삼미그룹 계열사인 삼미기술산업에서 육군항공기조립공장을 설립하기 위해 인가를 취득하고 1천미터 길이의 활주로 1기와 관제탑, 격납고 1동의 시설을 갖추어 놓았던 시설로 당초 계획은 비행훈련장 설치까지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당시 훈련장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들의 반발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일반 경비행기의 이착륙도 주민들의 반대로 쉽지 않은 상황이었었다.


2003년에는 미8군 헬리콥터 기동여단에서 비행급유 훈련을 이 곳에서 실시하려고 계획하였었으나 이곳에 군 비행장이 들어설 것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발로 훈련이 무산되었던 이력도 존재한다.<ref>[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01356 고창 비행장서 미8군 헬리콥터 기동여단 첫 훈련 취소]</ref>
2003년에는 미8군 헬리콥터 기동여단에서 비행급유 훈련을 이 곳에서 실시하려고 계획하였었으나 이곳에 군 비행장이 들어설 것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발로 훈련이 무산되었던 이력도 존재한다.<ref>[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101356 고창 비행장서 미8군 헬리콥터 기동여단 첫 훈련 취소]</ref>
42번째 줄: 71번째 줄:
비행장 폐쇄 직전에는 C-172N [[세스나 172|세스나]]기 1대(HL 1068)와 성준항공의 C-172P [[세스나 172|세스나]]기1대(HL 1074)가 이 곳에 정치되어 있었다.
비행장 폐쇄 직전에는 C-172N [[세스나 172|세스나]]기 1대(HL 1068)와 성준항공의 C-172P [[세스나 172|세스나]]기1대(HL 1074)가 이 곳에 정치되어 있었다.


사실 이 고창비행장이 있던 부근 공역은 대한민국에서 드물게 비행제한구역이 거의 없는 지역이었고 해당 공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민간 전용 비행장이었기 때문에 운용하기에 따라서는 경량항공기의 메카로 떠오를 수도 있는 지점이었으나 막대한 유지비용과 주민들의 반발 등을 고려하면 애당초 특정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체에서 운영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사실 이 고창비행장이 있던 부근 공역은 대한민국에서 드물게 비행제한구역이 거의 없는 지역이었고 해당 공역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민간 전용 비행장이었기 때문에 운용하기에 따라서는 경량항공기의 메카로 떠오를 수도 있는 지점이었으나 막대한 유지비용과 주민들의 반발 등을 고려하면 애시당초 특정 개인이나 소규모 사업체에서 운영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주석}}
{{주석}}
[[분류:태양광 발전소]]
[[분류:태양광 발전소]]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