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경의선
|노선명 = 경의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가좌~문산</ref>
|그림크기 =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그림설명 =  
|체계 =
|그림alt  =
|번호 = 303
|나라    = {{나라|대한민국}}
|노선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가좌~문산</ref>
|구간 = [[서울역|서울]] ~ [[도라산역|도라산]] <small>(56.1 km, 25개)</small>
|번호     = 303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구간     = [[서울역|서울]] ~ [[도라산역|도라산]]
|폐지일 =  
|영업거리 = 56.1 km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역수    = 25개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궤간 = 1,435 mm ([[표준궤]])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선로 = 4 ([[가좌역|가좌]] ~ [[능곡역|능곡]])<br />1 ([[문산역|문산]] ~ [[도라산역|도라산]])<br />2 (상기 이외 구간)
|개통일  = [[1905년]] [[11월 5일]]
|전기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br />(서울 ~ 임진강)
|폐지일  =
|신호 = [[ATS]]
|경유노선 =
|최고속도 =
|차량기지 =
|주석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4 ([[가좌역|가좌]] ~ [[능곡역|능곡]])<br />1 ([[문산역|문산]] ~ [[도라산역|도라산]])<br />2 (나머지)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br />[[ATS]] ([[한국항공대역|한국항공대]] ~ 도라산)
|비고    =  
}}
}}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을 이루는 [[북한]]의 [[신의주시]]까지를 잇는 노선이다. 다만 한반도의 분단 이후 대한민국 구간은 [[파주시]]에서 끊겨 있으며, 현재는 [[도라산역]]까지만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경의선이라는 명칭은 [[서울]]<ref>서울의 명칭을 따져보면 엄밀히는 [[경성부]]의 영향으로 남은 것이기는 하다.</ref>을 뜻하는 경(京)과 [[의주시|의주]]의 의(義)를 합친 것이다.
{{+1|경의선}}<br />京義線 / Gyeongui Line<br />'''지금은 끊겨버린 한반도의 핵심 간선'''
 
== 개요 ==
통일 한반도 철도에서 가장 중요할 노선이자, 현재는 분단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을 이루는 [[신의주시]]까지를 잇는 노선이었다. 하지만 한반도의 분단 이후 대한민국 구간은 [[파주시]]에서 끊겨 있으며, 현재는 [[도라산역]]까지만 정기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경의선이라는 명칭은 경부선이라는 명칭은 [[서울]]<ref>서울의 명칭을 따져보면 엄밀히는 [[경성부]]의 영향으로 남은 것이기는 하다.</ref>을 뜻하는 경(京)과 [[의주시|의주]]의 의(義)를 합친 것이다.


과거 관보 등에서는 '''경의본선'''(京義本線)으로 부르고, '''경의선'''을 본선과 지선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과거 관보 등에서는 '''경의본선'''(京義本線)으로 부르고, '''경의선'''을 본선과 지선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했지만 현재는 그렇지 않다.


경의선 노선 자체는 [[남북철도 복원사업]]을 통해 연결은 되어있다. 다만 [[박근혜 정권]]들어 남북관계가 심각하게 경색되면서 [[개성공단]]의 폐쇄와 맞물려 화물 열차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북한측 노선은 북한이 임의로 [[경의선/미수복 구간|평부선]](혹은 평성선)으로 부르고 있다.
경의선 노선 자체는 남북철도 복원사업을 통해 연결은 되어있다. 하지만 [[박근혜 정권]] 집권 이후 남북관계가 심각하게 경색되면서 개성공단의 폐쇄와 화물 열차의 운행이 중단되었다. 북한측 노선은 북한이 임의로 [[경의선/미수복 구간|평부선]](혹은 평성선)으로 부르고 있다.


== 역사 ==
== 역사 ==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03에서 303으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203에서 303으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2021년 11월 27일: [[임진강역|임진강]] ~ [[도라산역|도라산]] 구간 전철화 개통<ref>[https://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spage=1&boardId=9863262&boardSeq=15070487&mcategoryId=&id=www_040200000000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한국철도공사 보도자료</ref>
* 2021년 12월 11일: 임진강 ~ 도라산 셔틀 전동차 운행 개시.<ref>[https://www.letskorail.com/ebizcom/event/total/EbizcomEventTotallw_cus06101_detail.do?searchKeyword2=2008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한국철도공사 공지사항</ref> 원래 11월 27일에 운행하려 했으나 민통선 북쪽지역의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연기되었다.<ref>[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View.do?key=911&bbsNo=199&nttNo=14706&searchCtgry=&searchCnd=all&searchKrwd=&integrDeptCode=&pageIndex=1 한국철도, 도라산역 관람 전용 셔틀열차 운행 연기], 한국철도공사 보도자료</ref>
 
==중요성 및 미래==
[[한반도 종단철도]]의 핵심 노선이다. 분단된 현재 상태에서 대한민국의 철도노선만 놓고 보자면 길이도 짧고, 운행열차도 많지 않아 일반 시민들에게는 [[듣보잡]] 취급을 당하는 노선이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통일이 된 상황을 가정한다면 넓게는 부산부터 신의주까지를 이어주는 한반도 종단노선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개량과 함께 기존 경의선 구간을 대폭 개량하면서 노반을 복선이 아닌 복복선 이상을 염두에 두고 각 역사의 부지나 대피선 등을 여유있게 잡아놓은 기조가 강하다. 통일 이후에는 물류와 여객 모두 중국을 거쳐 러시아나 유럽까지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도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고속철도]] 운행도 고려해야 하므로 노반을 여유있게 잡아놓은 것은 타당성이 충분한 것.
 
문제는 북한의 [[북한의 철도/문제점|열악하다못해 호흡기만 붙어있는 수준의 철도 환경]]으로, 통일 이후에 북한의 경의선 구간을 어떻게 개량해야 하는가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일제 치하에서 경의선 자체는 복선으로 가설되었으나 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물자가 궁해진 일제는 경의선의 철로를 뜯어가면서까지 자원을 공출했기 때문에 현재는 단선 구간으로 남겨진 지역이 많고, 이후 북한의 열악한 사정으로 인해 제대로 된 관리나 현대화가 이뤄지지 못해서 고속열차는 고사하고 일반 열차도 고속운행이 어려운 실정이기 때문. 기존선을 현대화 개량하는 것과 아예 새롭게 노반을 다지고 고가화를 추구하여 고속선을 깔아버리는 것 사이의 경제성이 어떤가에 따라 달라질 문제. 이를 염두에 두고 [[2018년]]에는 남북철도 공동조사가 진행되기도 하였다. 다만 남북관계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북한은 남한의 도움을 받아 철도를 개량하는 방안과 중국의 자본을 유치하여 중국식으로 철도를 개량하는 방안 등을 놓고 저울질을 하고 있기 때문에 통일 이후에도 남북 철도 규격의 차이 등이 발생할 여지는 남아있다.


== 운행 ==
== 운행 ==
전술한대로 경의선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끊겨있는데, 이 지점이 서울에서 50 km 남짓한 구간이다보니 이른 시기부터 이미 근교형 영업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른 노선들이 무궁화호가 들어갈 때도, 이 노선은 꾸준하게 서울발착 [[통근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전철화 이후에는 [[문산역]] 이남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남은 구간은 수요 저조로 셔틀열차가 몇 대 운행 중이다.
전술한대로 경의선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끊겨있는데, 이 지점이 서울에서 50 km 남짓한 구간이다보니 이른 시기부터 이미 근교형 영업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른 노선들이 무궁화호가 들어갈 때도, 이 노선은 꾸준하게 서울발착 [[통근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전철화 이후에는 [[문산역]] 이남 구간에서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남은 구간은 수요 저조로 통근열차가 감축되었고, 하루 3~4편 정도 남았다가, 그나마도 승객이 거의 없어 남은 비전화 구간은 관광열차인 [[DMZ-Train]]으로 대체해 운행 중이다. 이 비효율성 때문인지 몰라도, 간간히 단선 전철화 등에 대한 구상이 제기되고는 한다.


또한, 90년대까지는 비교적 한산한 근교선이라는 특성 때문에 서울역 발착 열차의 기지선을 따서 놓았는데, 노선 중간에 일반열차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색차량사업소]]와 고속철도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들여놓았다. 때문에 열차 회송 용도로 용량 소모가 심각한 편. 하지만 고속철도의 경우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행신역]]을 유치하는 등의 소득은 얻었다.
또한, 90년대까지는 비교적 한산한 근교선이라는 특성 때문에 서울역 발착 열차의 기지선을 따서 놓았는데, 노선 중간에 일반열차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색차량사업소]]와 고속철도의 핵심 차량기지인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들여놓았다. 때문에 열차 회송 용도로 용량 소모가 심각한 편. 하지만 고속철도의 경우 고속철도 정차역으로 [[행신역]]을 유치하는 등의 소득은 얻었다.
53번째 줄: 42번째 줄:
[[KTX]]의 경우 최초 운행 시부터 일부가 [[행신역]] 발착으로 운행되었다. 이는 전술한대로, 차량기지를 유치하는 대신 얻어낸 대가이며, 덕분에 하루 십 수편 정도 경부선을 포함한 각 계통의 연장 운행이 실시되고 있다. 행신역까지 연장하지 않는 계통은 경부선 KTX 중 수원 경유 1개 계통뿐이며, 나머지는 편도라도 행신역 발착을 최소 1회 확보하고 있다.
[[KTX]]의 경우 최초 운행 시부터 일부가 [[행신역]] 발착으로 운행되었다. 이는 전술한대로, 차량기지를 유치하는 대신 얻어낸 대가이며, 덕분에 하루 십 수편 정도 경부선을 포함한 각 계통의 연장 운행이 실시되고 있다. 행신역까지 연장하지 않는 계통은 경부선 KTX 중 수원 경유 1개 계통뿐이며, 나머지는 편도라도 행신역 발착을 최소 1회 확보하고 있다.


2014년부터는 수색직결선의 공사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선]]과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방면의 KTX 열차가 경의선 일부를 경유하는 형태로 운행하기도 하였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4년만인 2018년 인천국제공항 착발 KTX는 결국 폐지되었다. 해당 부분은 인천국제공항선의 운행 단락을 참조.
2014년부터는 수색직결선의 공사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선]]과 연결되어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방면의 KTX 열차가 경의선 일부를 경유하는 형태로 운행되기 시작했다. 해당 부분은 인천국제공항선의 운행 단락을 참조.


=== 광역전철 ===
=== [[수도권 전철]] ===
{{참고|경의·중앙선}}
{{참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은 [[통근열차]]를 이어받아 운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용산선]]을 거쳐 [[경원선]] 및 [[중앙선]]과 함께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회송 열차의 용량 소모 때문에 [[서울역]] 착발 열차는 기존 통근열차 간격인 1시간 간격(출퇴근시 30분)으로만 운행되고 있다.


2021년 12월 11일부터는 [[평화열차]]를 대체한 도라산 셔틀 전동차 운행을 시작했다.
수도권 전철은 통근열차를 이어받아 운행되고 있으며, 현재는 [[용산선]]을 거쳐 [[경원선]] 및 [[중앙선]]과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일부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회송 열차의 용량 소모 때문에 [[서울역]] 발착 열차<ref>2016년 5월 16일부터 서울역 경의선 구내 개량 공사로 인해 출퇴근 시간 일부편을 제외하고는 운행이 중단되었다.</ref>는 기존 통근열차 간격인 1시간 간격(출퇴근시 30분)으로만 운행되고 있다.
 
=== 관광열차 ===
저조한 수요를 보이는 비전화 구간에 대한 대책으로 DMZ-Train이 운행되고 있다. 원래 [[도라산역]] 등은 안보 관광을 위한 목적으로 있었기 때문에 관광열차가 애초부터 적합한 구간이기는 했다.
 
* [[DMZ-Train]] 경의선 계통


=== 과거 ===
=== 과거 ===
과거에는 [[통근열차]]가 운행했다. 말엽에는 [[CDC]] 5량 편성을 이용한 운행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혼잡 시간대에는 병결 10량 편성이 운행된 적도 있었다. 또한, 전철화 직전에 급행 착석 열차 겸해서 문산 이후까지 넘어가는 열차는 [[새마을호]]로 운행을 했던 적이 있는데, 너무 비싼 좌석값 등으로 결국 폐지되었다. 그 후신을 [[DMZ-Train]]이 이어받지만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2019년부터 운행을 중지했고, 앞서 설명한대로 전동차로 대체되었다.
과거에는 [[통근열차]]가 운행했다. 말엽에는 [[CDC]] 5량 편성을 이용한 운행이 이루어졌으며, 일부 혼잡 시간대에는 병결 10량 편성이 운행된 적도 있었다. 또한, 전철화 직전에 급행 착석 열차 겸해서 문산 이후까지 넘어가는 열차는 [[새마을호]]로 운행을 했던 적이 있는데, 너무 비싼 좌석값 등으로 결국 폐지되었다. 물론 그 후신을 [[DMZ-Train]]이 이어받기는 했지만...


== 역 목록 ==
== 역 목록 ==
* '''용급''': [[경의·중앙선]] 용산 ~ 문산 급행
{{여객 열차 정차 범례}}
* '''서급''': 경의·중앙선 서울 ~ 문산 급행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km
! 번호
! 번호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환승
! {{세로|용급}}
! 접속 노선
! {{세로|서급}}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P313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P313
| [[서울역|서울]]
| [[서울역|서울]]
| rowspan="3" style="background: #eee;" | {{세로|[[용산선]] 직결운행}}
| <ref>단, 중국어 안내를 사용하는 경우 首尔/首爾을 사용하기도 한다.</ref>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수도권 전철 1호선|4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경부선]]
| rowspan="6" | {{세로|[[서울특별시]]}}
| [[용산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P314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P314
| [[신촌역 (지상)|신촌]]
| [[신촌역 (지상)|신촌]]
|
| 新村
| style="text-align: left;" |  
|  
| [[서대문구]]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5
| style="text-align: right;" | 5.8
| style="text-align: right;" | 5.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5
| [[가좌역|가좌]]
| [[가좌역|가좌]]
|
| 加佐
| style="text-align: left;" | [[용산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수색객차출발선]] (연결)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마포구]]
|[[용산선]] · [[수색객차출발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6
| style="text-align: right;" | 7.5
| style="text-align: right;" | 7.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6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디지털미디어시티역|디지털미디어시티]]
|
|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
|
| rowspan="3" | [[은평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7
| style="text-align: right;" | 8.1
| style="text-align: right;" | 8.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7
| [[수색역|수색]]
| [[수색역|수색]]
|
| 水色
|
|
| style="text-align: left;" |
| [[수색객차출발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8.9
| style="text-align: right;" | 8.9
| (분기점)
| colspan="2" |(분기점)
|
| colspan="3"|[[수색직결선]]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 방면)
| ┃
| style="text-align: left;" | [[수색직결선]] (연결)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8
| style="text-align: right;" | 11.5
| style="text-align: right;" | 11.5
| [[한국항공대역|한국항공대]]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8
| ┃
| [[화전역|화전]]
| ┃
| 花田
| style="text-align: left;" | [[고양기지선]] (연결)
|
| rowspan="20" | {{세로|[[경기도]]}}
| [[고양기지선]]
| rowspan="10" | [[고양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9
| style="text-align: right;" | 11.5
| style="text-align: right;" | 1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19
| [[강매역|강매]]
| [[강매역|강매]]
|
| 江梅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0
| style="text-align: right;" | 14.9
| style="text-align: right;" | 14.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0
| [[행신역|행신]]
| [[행신역|행신]]
|
| 幸信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1
| style="text-align: right;" | 16.4
| style="text-align: right;" | 16.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1
| [[능곡역|능곡]]
| [[능곡역|능곡]]
|
| 陵谷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br />[[교외선]] (연결)
| [[교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2
| style="text-align: right;" | 18.2
| style="text-align: right;" | 18.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2
| [[대곡역 (고양)|대곡]]
| [[대곡역 (고양)|대곡]]
|
| 大谷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일산선]])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연결)<br />[[일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br />[[교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교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3
| style="text-align: right;" | 19.9
| style="text-align: right;" | 19.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3
| [[곡산역|곡산]]
| [[곡산역|곡산]]
|
| 谷山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4
| style="text-align: right;" | 21.5
| style="text-align: right;" | 2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4
| [[백마역|백마]]
| [[백마역|백마]]
|
| 白馬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5
| style="text-align: right;" | 23.2
| style="text-align: right;" | 23.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5
| [[풍산역|풍산]]
| [[풍산역|풍산]]
|
| 楓山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6
| style="text-align: right;" | 25.1
| style="text-align: right;" | 25.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6
| [[일산역|일산]]
| [[일산역|일산]]
|
| 一山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7
| style="text-align: right;" | 26.8
| style="text-align: right;" | 26.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7
| [[탄현역|탄현]]
| [[탄현역|탄현]]
|
| 炭峴
| ┃
|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8
| style="text-align: right;" | 28.9
| style="text-align: right;" | 28.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8
| [[야당역|야당]]
| [[야당역|야당]]
|
| 野塘
|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10" | [[파주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9
| style="text-align: right;" | 30.4
| style="text-align: right;" | 30.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29
| [[운정역|운정]]
| [[운정역|운정]]
|
| 雲井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0
| style="text-align: right;" | 33.5
| style="text-align: right;" | 33.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0
| [[금릉역|금릉]]
| [[금릉역|금릉]]
|
| 金陵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1
| style="text-align: right;" | 35.6
| style="text-align: right;" | 35.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1
| [[금촌역|금촌]]
| [[금촌역|금촌]]
|
| 金村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3
| style="text-align: right;" | 39.7
| style="text-align: right;" | 39.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3
| [[월롱역|월롱]]
| [[월롱역|월롱]]
|
| 月籠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4
| style="text-align: right;" | 41.9
| style="text-align: right;" | 41.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4
| [[파주역|파주]]
| [[파주역|파주]]
|
| 坡州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5
| style="text-align: right;" | 46.3
| style="text-align: right;" | 46.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5
| [[문산역|문산]]
| [[문산역|문산]]
|
| 文山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문산~임진강)<br />[[문산기지선]] (연결)
| [[문산기지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6
| style="text-align: right;" | 50.0
| style="text-align: right;" | 50.0
|
| [[운천역 (파주)|운천]]
| [[운천역 (파주)|운천]]
| rowspan="3"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 미운행
| 雲泉
|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7
| style="text-align: right;" | 52.3
| style="text-align: right;" | 52.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K336
| [[임진강역|임진강]]
| [[임진강역|임진강]]
| style="text-align: left;" |  
| 臨津江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
|-
!
| style="text-align: right;" | 56.0
| style="text-align: right;" | 56.0
|
| [[도라산역|도라산]]
| [[도라산역|도라산]]
| style="text-align: left;" | [[경의선/미수복 구간|경의선 미수복 구간 (평부선)]] (연결)
| 都羅山
|
| [[경의선/미수복 구간|경의선 미수복 구간 (평부선)]]
|-
|-
|}
|}
=== 폐역 ===
* [[서소문역]]
* [[아현리역]]
* [[장단역]]


== 지선 ==
== 지선 ==
워낙 짧게 잘려진 노선이다보니 지선이 많지는 않지만, 주요 지선격 노선을 가지고 있다.
{{본문|경의선/지선}}
워낙 짧게 잘려진 노선이다보니 지선이 많지는 않지만, 주요 지선격 노선을 가지고 있다. 독립 문서에 대해서는 [[#일반 지선|일반 지선 문단]]을, 나머지 자잘한 연결선 등에 대해서는 [[경의선/지선]]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일반 지선
=== 일반 지선 ===
:* [[용산선]]
* [[용산선]]
:* [[교외선]]
* [[교외선]]


; 화물선
== 미수복 구간 ==
:* [[당인리선]] (폐지)
[[도라산역|도라산]] 이북으로는 실질적으로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권이 닿지 않는 [[북한]] 내에 속해있으며, 북한에서는 이를 임의로 '''평부선''' (혹은 평성선)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의선/미수복 구간]]에 수록.


; 연결선
== 폐역 목록 ==
:* [[#효창선|효창선]] (폐지)
{{참고|분류:경의선의 폐역}}
:* [[#수색직결선|수색직결선]]
<!--
 
* [[서소문역]]
; 기지선
* [[아현리역]]
:* [[고양기지선]]
* [[장단역]]
:* [[문산기지선]]
-->
 
=== 수색직결선 ===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수색직결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307
|구간    = 경의선 분기점(수색역 인근) ~ 공항철도 분기점
|영업거리 = 2.2 km
|역수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2014년]] [[6월 30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선로    = 2
|전기    =
|신호    = [[ATS]], [[ATP]]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의선과 동일
}}
 
'''수색직결선'''은 경의선과 [[인천국제공항선]]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인천공항 [[KTX]]를 위해 건설된 연결선이다. 수색역 구내 경의선 전동열차선(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에서 평면교차로 분기하여 가칭 고양역 인근(공항철도 서울 기점 13.583 km)에서 인천국제공항선에 입체교차로 합류한다.
 
단, 관보상에 고시된 바와 달리 실제 코레일이 국토교통부에게 영업 허가를 받은 구간은 45.8 km<ref>[http://info.korail.com/mbs/www/subview.jsp?id=www_010606060000 코레일 영업거리현황]</ref>로, 공항철도 서울 기점 12.2 km까지에 해당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
| style="text-align: left;" | 경의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2.2
| -
| style="text-align: left;" | [[인천국제공항선]] (연결)
|-
|}
{{-}}
=== 효창선 ===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효창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301
|구간    = [[용산역|용산]] ~ [[효창공원앞역|효창]]
|영업거리 = 1.8 km
|역수    = 2개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1978년]]<ref>[http://info.korail.com/mbs/www/subview.jsp?id=www_010606070000 철도거리 증감현황], 한국철도공사</ref>
|폐지일  = [[2015년]] [[7월 20일]]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선로    = 1
|전기    = 비전철
|신호    = [[ATS]]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의선과 동일
}}
'''효창선'''은 [[용산역]]과 [[효창공원앞역|구 효창역]]을 잇던 연결선이다. [[용산선]]이 입체교차하여 용산역 동측 선로와 연결된 것과 달리, 효창선은 서측 선로에서 이어지는 노선이었다.
예전에는 용산역 서측 구내에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이 있었으며, 효창선은 [[용산선]]을 통해 경의선 수색차량사업소를 잇는 단락선으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용산선이 지하화되고, 용산에 있던 차량기지가 옮겨가면서 효창선의 의의가 사라졌고, 선로도 철거되었다. 하지만 서류상으로는 아직도 여전히 남아있어 법적으로 폐지 상태는 아닌데, [[2015년]] [[7월 20일]]자로 한국철도공사의 열차운전시행세칙에서 삭제되어<ref>한국철도공사 제2015-047호 열차운전시행세칙, 2015년 7월 15일</ref> 사실상 폐선이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용산역|용산]]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br />[[경원선]], [[용산선]]
|-
| style="text-align: right;" | 1.8
| [[효창공원앞역|효창]]
| style="text-align: left;" |
|-
|}
{{-}}
== 미수복 구간 ==
[[도라산역|도라산]] 이북으로는 실질적으로 [[대한민국]]의 실효 지배권이 닿지 않는 [[북한]] 내에 속해있으며, 북한에서는 이를 임의로 '''평부선''' (혹은 평성선)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경의선/미수복 구간]]에 수록.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경의선| ]]
[[분류: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